IV. 러-카-중 교통회랑 구축과 소다자 협력
2) 소다자 철도협력 작동의 시작
의를 이루는 것은 세계질서차원의 협력을 지향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75) 또한 경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2009년 6월 양국은 투자 협력 계획 , 2010년 9월 메드베데프 대통령의 방중 기간 동안에 양국은 러-중 전략적 동반자관계 심화 공동성명을 발표하였다. 중국과 카자흐스탄의 경우, 1992년 외교관계 수립으로부터 ‘우호적 관계’, ‘협력 동반자 관계’를 걸쳐 2005년 중국과 카자흐스탄이 형성된 ‘전략적 파트너관계’는 양국 간 협력 을 심화하였다.76) 또한 2003년 6월 「2003년-2008년 중·카협력개요」, 2006년 12월 「중·카 21세기협력적략」과 「중·카경제협력발전구상」, 2007년
「중-카 비자원경제분야협력계획」 등의 체결을 통해 경제협력을 구체적으 로 계획하였다.
이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려 노력해 왔다. 2003년 5월 후진타오 주 석은 제3차 SCO 원수 정상회담에서 연설을 진행하였는데, 그는 경제협력 은 SCO의 중요한 기반이자 우선시하는 사항이라고 강조하였고, ‘본 지역 의 실질적 발전요구를 감안하여 중국은 교통운송영역에서 출발하여 다자 운송협정의 체결을 추진해야 하며 효율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것을 권장한 다’ 고 주장하였다. 중국 교통부는 외교, 공안, 해관, 품질검사 등 부서들 의 적극 협조 하에 SCO 소속 교통장관회의 메커니즘을 통해 적극적으로 활동하여 중국과 중앙아시아 국가와의 교통운송에서 직면하는 문제점에서 출발하여 SCO 국제통로운송편리화협정을 제정해야 한다는 건의를 제시하 였다. 이는 UN ESCAP와 아시아 개발은행의 기술과 자금 지원을 받았다.
따라서 SCO는 2004년 8월부터 「SCO 회원국 정부간 국제통로운송편리화 협정(초안)」을 제정하기 시작하였다.77) 이어서 2009년 제4차, 2011년 제5 차 교통장관회의에서 러·카·중 3국은 회원국 간 교통인프라 연결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었고 협정의 체결을 가속화해야 하며 우선 국 제적 운송 여건을 보유하는 통로를 연결시킨 다음 복잡한 통로를 연결시 켜야 하는 건의를 하였다. 또한 러시아 교통부장관 레비틴은 상하이협력기 구 교통부장관 제5차 회의에서 인프라표준의 일치, 특히 교통규칙, 도로 표기와 기호 등의 일치는 상하이협력기구 내부 운송 네트워크 발전의 요 점이라고 지적하였고, 상하이협력기구는 구성원의 운송노선 인프라시설 건 설에서 도움을 주고 이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다자협력 틀에 힘입어 소다자 협력을 이루어지는 3국은 또한 해당 노선의 활성화하기 위해 각자의 전략을 추진하였다. 러시아와 CIS국 가 간의 해관협력은 러-카-중 노선 활성화에 해당된 조건을 마련하였다.
2007년 러시아, 벨로루시, 카자흐스탄은 새로운 「관세동맹조약」을 체결하 여 2010년 러·벨·카 관세동맹은 공식적으로 형성되었다. 관세동맹은 동일 한 수입 관세율과 통관절차에 대해 규정하여 3국 간 화물유통의 해관 신 고와 검사절차를 취소하여 화물의 통과운송 수속들을 간화하면서 3국 간 화물운송 뿐만 아니라, 러-카-중 간의 국제운송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
77) 史謝虹, 2012, p.118.
쳤다. 이에 따라 러-카-중 노선에서 운영하는 화물운송열차의 운송시간과 비용을 줄이면서 열차 수량이 많이 늘어났다.
또한 이들 국가와 운송기제 완화 측면에서 러시아도 많은 노력을 하 였다.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정부 간 협력위원회(IPC)는 1997년에 설립되었 고, 현재 교통, 지역 및 국가 간 협력, 투자와 금융 협력, 군사기술 협력, 과학과 신기술 협력, 에너지와 연료 협력 등을 포함한다. 그 중 운송위원 회는 2005년에 설립되어 정기적으로 회의를 개최하여 도로, 철도, 해양, 항공 운송에 관한 문제점을 토론하고,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국경지역 인프 라건설, 국경통과 문제, 국경통과 검사 감면 등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1990년대 말부터 시작한 TSR노선의 개선 사업도 이 시기에 효과가 나타났다. 2002년 TSR 전선이 전기화 실현되었고, 광섬유를 배치하여 운 송량과 운송속도도 대폭 늘어났으며, 최고 시속은 120km에 달했다. 이는 운송비용을 감축하게 하였고 경쟁력을 제고 하면서 화물 운송량도 많이 늘어났다.78) 이는 자국의 철도노선 경쟁력을 제고하여 TCR의 발전에 불 리한 영향을 미치는 한편,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도 있다. 즉 TCR 의 러시아 부분은 TSR를 경과하기 때문에 TCR의 운행속도와 효율을 향 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2006년부터 러시아는 새로운 TSR 현대화 개조 사업을 추진하여 교량 개조, 전철화, 광통신 등 많은 인프라 사업을 통해 노선의 현대화를 추진하여 노선의 운송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러시아는 이전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는 동시에, 중국과 카자흐 스탄도 걸음을 멈추지 않았다. 양국도 양자 및 다자적 협력을 통해 노선의 활성화를 추진해 왔다. 2003년 중국과 카자흐스탄의 공통성명에서 양국은 교통운송협력과 경제무역협력은 두 국가 관계 중 중요한 부분이고, 양국은 중국과 카자흐스탄 정부 간 경제무역협력위원회와 교통과 랜드 포트 분과 위원회의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평등하고 호혜적인 기반에서 범아시아 철 도 북 통로를 포함한 협력을 강화하며, 드루쥬바-아라산커우의 운송능력을 지속적으로 제고하면서 양국 해관 작업을 조정하겠다는 것에 대해 합의되
78) 陳秋杰,“俄遠東鐵路貨物運輸及其國際合作,” 『西伯利亞研究』 , 第2期 (2004).
었다. 또한 2008년 6월 중국과 카자흐스탄은 양국 간 컨테이너 운송협력 을 강화하기 위해 ‘중-카 철도컨테이너 운송 합자 회사’를 설립하였다. 이 같은 합자 형식의 협력을 통해 양국은 이에 대한 책임을 동시에 지어야 하고 협력 관계를 더욱 긴밀화 하였다.79)
이와 동시에, 양국은 노선의 운송 능력을 위해 또한 개선사업을 진 행해 왔다. TCR 노선이 처음 연결할 때 계획하는 중-카 간 국경역 즉 아 라산커우와 도스틕(Досты)역 간의 물동량은 280만톤/년이다. 10여년의 개 선과 확장을 통해 2003년 1500만 톤/년의 운송 능력을 갖추었지만 이는 양국 간 화물운송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었고 운송지연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세관의 과부하로 인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면서 중국과 카 자흐스탄 정부는 운송능력 제고와 화물의 분산을 위해 노력해왔다. 카자흐 스탄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4-2005년에 4100만 달러를 투자 하여 도스틕역 개선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에 관해 일련의 조치를 실시하 였고 조차장 건설, 조달시스템의 현대화, 노선 수리, 악토가이-도스틕 구 간의 운행 속도 제고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치들을 통해 악토가이역 및 해당 구간의 운송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80)
2003년 중국 주석 후진타오가 카자흐스탄 방문할 때 나자르바예프 대통령과 후월궈스 국제협력센터 건설에 대해 합의되었고, 2004년 11월 중국은 카자흐스탄과 연결하는 신규 복선노선 즉 징허(精河)-이닝(伊寧)- 후월궈스(霍爾果斯) 노선을 건설하기 시작하여 2009년 12월에 완공하였 다. 중국 철도부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협력하여 총 60억 위안을 투자 하였고, 이는 신장의 첫 번째 전철화 노선이다. ‘징이후’철도는 총 286.212km이고, 징허역의 개선과 확장을 포함한다. 카자흐스탄 국내 구간 은 기존 알마티(Алматы)-후월궈스 도로에 따라 건설하여 총 290km이고, 2009 상반기에 건설 시작하여 2011년 말에 완성하였다. 총 투자는 1532
79) “中國哈薩克簽署鐵路集裝箱運輸合資公司成立備忘錄”,『中國駐哈薩克斯坦經濟商 務參讚處』,2008年8月6日,
http://kz.mofcom.gov.cn/article/jmxw/200806/20080605589009.shtml(검색 일: 2018년 11월1일)
80) 王雪,“哈薩克斯坦鐵路運力推介會在烏魯木齊舉行,” 『大陸橋視野』 , 第12期
(2008). pp.11-12.
억 텡게(약 10.4억 달러)이고, 국가 재정으로 일부 출자하였고, 카자흐스탄 철도회사가 일부분의 자금을 조달하며, 나머지는 해외 자금 조달하였다.
나자르바예프는 2010년에 「2010-2012국가예산 수정안」을 통과하여 제티 겐(zhetygen)-후월궈스 철도 건설 프로젝트의 투자액이 101억 텡게(약 6850만 달러)로 규정하였다. 이어서 2010년 카자흐스탄과 중국 지도자는 중국의 대 카자흐스탄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사항을 논의하였고, 카자흐스 탄은 중국의 도움을 받고자 하는 의도를 밝혔으며 중국은 10억 달러를 대 출하여 해당 철도 건설 사업에 사용하는 것에 동의하였다.81)
[그림4-6]중국과 카자흐스탄 간 후월궈스-알마티 신규 노선
중국 또한 많은 재원을 투입하여 서부지역의 철도망의 개선 사업에 주력하였다. TCR노선에서 중국은 표준 궤도를 적용한 반면, 독립국가연합 은 광궤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궤도 불일치와 화차부족으로 인해 화물 운 송이 순조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2005년 8월 우루무치 중앙철도 부 서비스국은 아라산커우역에 495m 광궤레일화물노선을 건설하고 카자 흐스탄 광레일과 직접 연결하였다. 이를 통해 시장자치구로부터 중앙아시 아, 중동 및 유럽에 이르는 가장 안전하고 짧은 운송루트를 형성하였다.
또한 중국의 「중장기철도망계획」과 「철도 11차 5년계획」 82)모두 TCR건
81) 新亞歐大陸橋國際協調機制辦公室(編), 『亞歐大陸橋和中國鐵路過境貨物運輸的歷程 與發展』, (北京:中國商務出版社,2013), p.35.
82) 「중장기철도망계획」는 2004년에 출범하여 철도망 규모 확대, 철도 구조 완화, 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