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 장 결 론
물류센터의 모델링은 모듈(기둥과 기둥사이)을 기준으로 물류센터의 물리적인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방법과 규칙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설정된 규칙들을 바 탕으로 3D 건축설계용 툴을 활용하여 다층형 기계식 및 자주식 물류센터를 구 현하였다. 완성된 5,000CC 물류센터 모형은 11m 모듈이 7개가 적용된 형태이 며, 단층으로는 최대 3,920파렛트, 3층까지는 최대 11,760파렛트가 일시 보관 가 능하다.
물류활동의 모델링은 모듈에서 수행되는 물류작업의 표준적인 ‘작업 속 도’57)를 구체화 하는 것으로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물류작업을 ① 생각(서류, 물건, 위치, 장비 등의 확인)과 ②행동(장비결합, 리프트업, 이동, 리프트다운, 장비해체, 복귀이동)으로 구분하여 그 소요시간을 실측하였다.
다층형 수직트레이컨베이어의 모델링은 구동부의 설계 재원으로 구동속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규칙화하였다. 제안한 수직트레이 컨베이어의 최대 속도는 18m/min이며 적정 속도는 9m/min이다.
시뮬레이션 분석에서는 가상의 다층형 물류센터, 물류활동 모형, 수직트레이 컨베이어의 성능모형 등을 이용하여 컨셉제품의 성능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과 현장 적용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화물 엘리베이트와 비교한 컨셉검증용 시뮬레이션에서는 화물엘리베이터가 1시 간에 74파렛트, 다층형 연속식 수직컨베이어가 115파렛트로 처리하여 컨셉설계한 다층형 연속식 수직컨베이어가 41파렛트를 더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동모드로 운영할 경우를 대비한 적정캐리어 수 할당 분석에서는 화물발생 유형에 따른 정적 캐리어수 배분을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나아 가 대기형으로 화물이 발생할 경우 적정 캐리어 수는 12대가 적정하고 분산하여 발생할 경우 캐리어의 수가 많을수록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 서 분산형 화물 발생시 적정 캐리어 수는 수직 컨베이어 속도가 0.15m/s 일 때 는 12대, 0.3m/s 일 때는 6대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시뮬레이션 결
57) 여기서 표준속도란 저자가 실측한 2개 물류센터의 작업속도 평균치라는 의미로 품질 혹은 표준의 인증 등과는 무관하다
과들은 테스트를 위해서 많은 수의 인원과 장비가 소요됨을 또한 보여준다. 따 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상의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방향전환용 디버터를 활용 하여 최소인원으로 테스트가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층형 기계식 물류센터(5,000DC 형)에 제안한 수직트레이 컨베이어시스템의 적정 도입대수를 파악해 보았고 수 직트레이 컨베이어 3대와 화물승강기1대의 설치가 램프웨이를 대체할 수 있음 을 사전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제안한 수직트레이 컨베이어 시스템은 심플한 구조로 동시, 무인, 연속, 다층작업 지원하여 특정층 반송기 독점으로 인한 입 주사 불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는 날로 고층화되어 각 층에 서로 다른 화주가 입주하는 최근의 물류센터에 적합한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직트레이 컨베이어 시스템의 도입과 활용은 기존 다층형 물류센터의 화물차 통행로와 접안공간을 최소화하여, 건축비 절감과 보 관공간 극대화를 통한 경제적 이익이 기대된다.
Fig. 85 Benefits of vertical tray convey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