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수직트레이 컨베이어의 기본 구상

6.1.1 수직트레이 컨베이어 시스템의 개념

고층화, 자동·첨단화되고 있는 물류시설의 개발방향에 대응하고 다빈도 화 물처리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체계화된 유닛로드용 장비군으로 아래와 같이 정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직트레이 컨베이어는 수직이송장치를 기본으로, 여기에 연결된 수평이송장치, Volume Checker와 이재기의 조합과 이들을 연계할 수 있는 운 영시스템을 통해 구체화되어질 수 있다.

6.1.2 다층형 연속식 수직 트레이 컨베이어

연속식 수직트레이 컨베이어는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상하 회전 체인은 위아

main gears

carrier

cargo tilting system

Fig. 55 Basic Mechanical structure of vertical conveyor 래 각 2set의 체인기어가 체인을 돌려주면서 상하로 회전한다.

체인은 파렛트의 상․하차에 관계없이 구동된다. 파렛트의 이송을 담당하는 캐 리어는 상하 회전 체인에 총 6set의 파렛트 테이블이 매달려 체인과 같이 상하 로 움직인다. 메인기어 부는 구조면에서 정밀 가공된 지름 1.6m의 기어와 샤프 트 그리고 유닛베어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4개의 메인기어는 고하중을 분산하 여 지탱하고 회전시킬 수 있는 안전율을 가지게 하였다.

캐리어(Carrier)는 파렛트를 운반해주는 받침대로 양쪽에서 틸팅 포크가 들어갈 수 있는 홈이 있는 구조로 설계하였다.

화물의 싣기와 내리기는 상기의 Tilting System을 통해 수행된다. 틸팅시스템 은 틸딩포크가 접힘과 펴짐을 통해 화물의 인입을 실현시킨다. Tilting Fork는 수평 컨베이어에서 수직 컨베이어로 진입하는 화물이 수직 컨베이어 앞에 이르 면 90도 회전하며 펴짐으로서 화물을 진입시킨다. 그리고 Tilting Fork의 롤러가 구동하여 파렛트를 캐리어에 싣는다.

Fig. 56 Basic moving mechanism of vertical conveyor

파렛트가 캐리어에 실린 이후에 틸팅포크는 90도로 회전하여 접힘으로서 다 음 파렛트가 없을 경우에는 다음 캐리어와 그 화물이 지나갈 수 있게 한다.

메인 구동은 30HP의 AC모터이며, 모터의 회전수는 기어박스에서 900:1로 감 속하여 메인 체인 기어는 1분에 약 2회전을 하도록 하였다.

기어박스에서 나온 축은 체인 및 사프트를 통해 2개의 메인 체인기어로 동력 을 전달하며, 서로 연결되어 같은 회전수를 갖게 되며, 수직 컨베이어에는 총 4 개의 메인 체인기어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프레임과 크로스 프레임은 캐리어가 상하로 파렛트를 이송할 때 정상 궤 도의 유지를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해주며, 흔들림을 최소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Tilting fork의 다른 기능은 캐리어의 파렛트 화물을 내려받는 작업을 수행하 는 것으로 이는 적출부의 Tilting fork가 90도로 펴짐으로서 실현된다.

그리고 컨베이어의 롤러와 포크의 체인이 함께 구동하면서 파렛트 화물이 포 크 출구부의 끝부분까지 밀어준다.

포크의 상․하강은 샤프트와 유닛베어링을 축으로 하여 유압 실린더의 전․후진 으로 인해 이루어진다. 이상 수직컨베이어의 기동과정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6.1.3 연계 H/W

가. 수평컨베이어

파렛트의 수평이송용 컨베이어는 양측면 파렛트 이송부의 롤러가 구동되어 파렛트 화물을 이송하며, 가운데 파렛트/박스 이송부 롤러는 무구동상태가 되는 복합기능으로 컨셉설계를 진행하였다.

Fig. 57 Basic structure of horizontal conveyor

Fig. 58 Basic function of horizontal conveyor

박스 이송은 가운데 파렛트/박스 이송부 롤러가 구동되어 박스 화물을 이송하 며, 이송부 아래쪽에서 롤러 구동을 위한 벨트가 상승하여 구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컨셉설계물은 프리 롤러 하면에 좁은 폭의 띠벨트를 구동시켜 띠벨트 상면과 롤러 하면의 접촉 마찰력에 의해 롤러를 구동시켜 물체를 이송하는 방 식의 컨베이어이다.

나. 볼륨체커

볼륨체커는 수평이송되는 화물이 통과하는 측정부 컨베이어와 부피측정을 위 한 센서, 중량측정을 위한 센서로 구성된다.

볼륨체커는 이동하는 화물의 부피 및 중량을 측정해야 하므로 측정부에서 정 속 주행을 유지하고 진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모터의 회전력을 직접 롤러에 전달하는 구동방식을 사용하며 정밀한 속도 제어가 중요 하다.

Fig. 59 Basic function of volume checker

다. 버퍼

버퍼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수평 컨베이어, 디버팅 컨베이어, 게이트 컨베이 로 구성된다.

Fig. 60 Basic function of volume checker

버퍼의 수평 컨베이어부는 파렛트 이송을 위한 수평 컨베이어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단, 다음의 그림에서와 같이 이송라인에서 제외할 화물을 양 옆으로 빼내기 위해 디버팅 컨베이어가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화물의 방향을 90도로 전환시키기 위해 디버팅 컨베이어의 이송부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해당 부분의 롤러가 존재하지 않는다.

버퍼중 디버팅부는 수평 컨베이어에 화물이송라인에서 제외할 화물이 존재할 경우 방향전환 및 이송을 위해 다음의 그림에서와 같이 이송부가 상승하여 화 물을 라인에서 빼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버퍼의 게이트 컨베이어부는 디버팅 컨베이어에 의해 화물이송라 인에서 제외된 화물은 게이트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불 필요한 경우 다음의 그림의 오른쪽과 같이 세워져 있으며 필요시 아래 그림의 왼쪽과 같이 설치되어 동작한다.

Fig. 61 Basic function of buff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