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1 문헌연구
물류센터 내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범용적인 화물이송장비로는 컨베이어, 자 동운반대차, 크레인 및 AS/RS를 손꼽을 수 있다.
Ülgen and Upendram(2002)는 이러한 장비들로 화물이송체계를 구성하는 과 정을 컨셉설정, 설계, 구현, 운영의 4단계로 제시하고 각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Y.C. Chiu et al.(2006)은 인력을 대신해 개발된 기존 자동화 팔렛 적재시스템 을 저비용의 팔렛취급시스템으로 개발하고, 수리적 모델기반의 프로토타입 (prototype) 시스템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한 팔렛의 적재 및 하역작업시간에서 의 성과율과 노동절약, 비용감소를 가져온다는 것을 밝혔다.
47) A document which describes individual orders contained within a shipment.
48) 차량과 물류센터 사이의 공간은 도크와 도크 대기장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도크 대기장은 작업 생산성 증진, 상품 훼손 최소화, 정확한 재고 관리를 목적으로 배송차량의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물량을 수용 할 수 있도록 도크 뒤쪽으로 공간을 의미한다. 도크 공간에서 입출고 장비(팔렛트, 대차, 폐기예정 용기, 회수 용기, 등)를 보관 활용하는 장소도 요구된다. 도크 대기장이 축소되면 낮은 작업생산성, 상품, 장비, 시설 파손 증가, 상하역 에러 증가, 시간지연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a) Working process of tray-supplying operation for pallet loading operation
b)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pallet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ig. 34 Multi-level cargo transportation system image
D.J. Fonseca, et al.(2004)은 컨베이어장치 선택에 대한 문제에 관해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접근법을 이용한 prototype 컴퓨터 기반 시스템을 개발하 였다. 컨베이어의 형태는 컨베이어의 특성에 의해 화물취급조건의 이행을 측정 하는 적정성(suitability score)에 기반하여 선택하였고, 적정성의 계산은 가중평 가법과 위험 아래의 의사결정에 대한 기대가치기준(Expected Value Criterion)에 의해 시행되었다. 또한 두 개의 산업 사례를 통해 Prototype 시스템을 성공적으 로 검증하였다.
3.4.2 관련기술
다층형 화물이송시스템과 관련된 수직이송과 관련된 기술적 문제들을 해결하 기 위한 수단으로는 개발된 수직컨베이어는 Z형 수직 컨베이어, C형 수직 컨베 이어, 회전형 수직컨베이어, 승강기형 컨베이어 등을 기존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컨베이어 시스템의 핵심 기술들은 주로 유럽과 일본에 집중되어 있 었고 최근까지도 유럽의 특허가 다수 등록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93년 T.K.F사는 비행기와 연계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개발하였는데 다수 의 탄성이 있는 플랫폼을 가지는 구조로 구성되었으며, 1994년 후지수송기공업 주식회사는 각층의 바닥에 단차를 설치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와 컨베이어(탑재 컨베이어) 서로간의 화물을 이송할 수 있는 연속 승강 반송 장치에 관한 기술
을 개발하였다.
2000년도 WST에서는 인쇄물들을 이송할 수 있는 파렛트를 포함하는 수직 컨 베이어에 관한 발명을 하였고 2002년 NERAK GMBH에서는 레스토랑 등에서 음 식 및 식기 등을 수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회전식 컨베이어, Knapp Logistik Automation은 상층부분 등에서의 충돌을 단순한 장치로 예방할 수 있는 유형의 수직 컨베이어, 일본의 OKAMURA 회사는 이송 컨베이어의 상하 정지 위치에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승강 속도를 빠르게 하여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 는 화물 승강 이송 장치 등을 개발하였다.
2001년 CALIFORNIA NATURAL PRODUCTS에서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를 포 함하는 저장 창고로 구성된 자동화된 창고 시스템에 관한 발명을 개발하였고, 각 층마다 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카트를 포함하고 있다.
2005년에는 수직 컨베이어에서 수평컨베이어로의 화물 이송장치에 관한 발명 으로 보다 개량된 회전식 수직컨베이어를 개발하였다. 2005년 ASYST SHINKO 는 일본에 복수 층에 있어서 반송 방향의 반송 궤도가 부설되는 반송 시스템을 개발하여 층간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며, 승강 컨베이어, 턴테이블 및 롤러 컨베이어를 주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C형 연속식 수직 컨베이어 C형 기술분석 유닛
로드 연속승강장치 기술분석
기능 수단 기능 수단
2 0 0 2 년
Knapp Logistik Automation 수평 연동 ○
1994
부이반송기공업
수평연동 ○ 3층
지원 ☓ 3층
지원 ○ 유닛
로드 ○ 유닛
로드 ☓ 반출
입방향
☓
반출 입방향
☓ 동시
작업 ☓ 동시
작업 ☓ 제품
화여부 ○ 제품
화여부 ○ Table 10 Summary of previous technology 1(C type vertical conveyor)
Z형 연속식 수직 컨베이어 기술분석 Z형 연속식 수직 컨베이어 기술분석
기능 수단 기능 수단
19901993 2004
T.K.F.,INC, 오종항 ApparatebaulhlbrockGmbh
수평연동 ○
2009
KolbusGmbj&Co.KG 수평
연동 ○
3층지원 ☓ 3층
지원 ☓
유닛로드 ○ 유닛
로드 ○
출입방향 ☓ 출입
방향 ☓
동시작업 ☓ 동시
작업 ☓
제품화 ○ 제품
화 ○
Z형 다층형 연속식 수직컨베이어 기술분석
기능 수단
2000
성현모
수평연동 ○ 3층
지원 ☓
유닛
로드 ○
출입방향 ☓ 동시작업 ☓
제품
화 ☓
Table 11 Summary of previous technology 2(Z type vertical conveyor)
EV형 대표도면 수평 연동
3층 이송
유닛 로드
반출 입 유연
동시 작업
제 품 화
개발자 정보
리프콘 ☓ ○ ○ ☓ ☓ ○ 2008
호쿠쇼
EV ○ ○ ○ ○ ☓ ☓
2006
주 식 회 사 로 테코
연결
H/W ○ ○ ○ ○ ☓ ☓
2000
C a l i f o r n i a N a t u r a l Product Table 12 Summary of previous technology 3(Cargo elevator & advanced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