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작업의 모델링을 위해 입하, 보관, 피킹, 출하의 각 작업에 부합하는 표 준적인 장비를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입출하 작업은 포크리프트 등의 중장 비보다는 핸드 파렛트 잭의 사용이 적절하다. 이는 중장비가 차량내부로 직접 진입한다면 차량고장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보관작업은 신속한 작업수행 과 고단적재를 위해 지게차가 적합한 반면, 오더피킹은 오출고의 방지를 위한 구조로 설계된 오더피커가 적합한 장비라 할 수 있다. 검품은 핸드터미널을 이 용한 바코드 스캔 방식으로 설정하였다.
전체적인 입출고 흐름은 입고작업시 40ft컨테이너 트럭에서 20개의 파렛트 화물을 입하하여 보관하며, 출고작업은 11톤 카고 트럭에 10개의 파렛트 화물 을 피킹하여 상차한다고 가정하였다.
입출하 작업 : 일반파렛트 잭 결합소요시간 : 2.04sec 해체소요시간 : 4.30sec 이동속도 : 0.55m/sec 복귀속도: 0.62m/sec
입출고 차량
입고 : 40ft컨테이너(파렛트 20개) 출고 : 11ton화물차(파렛트 10개)
입고작업 : 포크리프트 결합소요시간 : 4.11sec 해체소요시간 : 7.80sec 이동속도 : 1.97m/sec
리프팅 : 2.0sec, 복귀속도: 2.30m/sec
출고작업 : 오더피커(리치스태커 형) 결합소요시간 : 13.56sec
해체소요시간 : 7.80sec
이동속도 : 1.60m/sec, 리프팅 : 2.0sec 복귀속도: 1.90m/sec
Table 32 Logistics equipment and time settings
전게한 가정 3에 의해 물류센터(5,000㎡)의 단위 모듈에서 40ft 컨테이너 차량 의 화물(파렛트 20개)을 입고하여, 이중 10개의 파렛트가 피킹되어 11톤 트럭으 로 출고하는데 소요되는 산술적인 작업시간은 약 49분 30초로 추정할 수 있다.
모듈의 입출고 소요시간 = 접안시간+입하시간+검품시간+보관시간+피킹시간+검품시간+출하시간 여기서 20개가 입고되어 10개가 출고된다면
단위 모듈의 입출고 소요시간
=접안시간 + 30×(입출하시간)+20×(보관시간)+10×(피킹시간)+30×(검품시간)
① 접안확인시간은 5분
② 유닛로드화물 30개의 검품시간은 2분
③ 표준장비(파렛트 잭)을 사용할 경우 입출하작업 소요시간
÷
÷ 여기서
파렛트잭 결합 시간 파렛트잭 해체 시간
컨테이너 차량의 길이 톤 트럭의 길이
모듈내축 기둥 간격
(5. 6)
④ 표준장비(포크리프트)를 사용할 경우 보관작업 소요시간
÷
÷
여기서
포크리프트 결합 시간 포크리프트 해체 시간
포크리프트 업다운시간
모듈내축 기둥간격 모듈내축 기둥간격
단위 모듈내축 기둥의 수
(5 7)
구분 파렛트수
(반복횟수) 소요시간 내역
Cycle (소요시간) 이동거리 소요시간(초)
입출하 30
결합 (2.04) 61.20
이동속도 (0.55) 7 381.82
해체 (4.3) 129.00
복귀속도 (0.62) 7 130.20
보관 20
결합 (4.11) 82.20
이동속도 1.97 40 406.09
정보확인3 60.00
해체7.8 156.00
리프팅2.0 40.00
복귀속도2.3 40 347.83
피킹 10
결합13.56 135.60
이동1.6 40 250.00
정보확인 3 30.00
리프팅2.0 40.00
해체7.8 78.00
복귀1.9 40 210.53
접안 및 검품소요시간 420
합계 2958.46
Table 33 Work time By Hypothesis 3
⑤ 표준장비를 사용할 경우 피킹작업 소요시간
÷
÷
여기서
오더피커 결합 시간 오더피커 해체 시간
오더피커 업다운시간
모듈내축 기둥간격 모듈내축 기둥간격
단위 모듈내축 기둥의 수
(5. 8)
이상의 수식 전개는 다음의 표로 표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