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1 성능비교 모델
다층형 물류센터에서 1층에 입고된 파렛트 화물을 2층과 3층으로 운반하는데 있어서 화물엘리베이터와 수직트레이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경우에 지정된 시간 내 작업량을 RaLC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성하여 검증하였다. 작업량에 대한 모 델 검증을 위해 파렛트 화물을 동시에 한 시간 동안 운반 작업을 한 것으로 가 정하여 이때 작업량을 기준으로 하였다.
시뮬레이션 모델의 구성과 결과 검증을 위한 기본적인 성능 6장의 성능모델 을 참고하여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구 분 항목 단위
작업 조건
작업시간 화물승강기작업시간
다층형 연속식 수직컨베이어 작업시간 1시간
이송속도 엘리베이터 속도
수직트레이 컨베이어 속도 60m/min
18m/min
운반속도 지게차 66m/min
물류센터
제원 층간 높이 9m
평가기준 작업량 입고 작업량 Pallet/hour
Table 43 Input parameter of performance Comparison Model
시뮬레이션 분석대상이 되는 물류센터는 3층으로, 층고는 9m로 설정하였다.
비교대상이 되는 화물엘리베이터의 이송속도는 60m/min56)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층형 물류센터에 적합한 수직트레이 컨베이어 기술에 대한 도입효과 분석을 위해 1층에서 2층과 3층으로 운반하는 입고작업만을 대상으로
56)화물승강기속도는 KSBISO4190-2:1012 엘리베이터 설비-제2부:화물엘리베이터에서 A계열의 최고속도 로 하였으며, 실제 시중에 화물엘리베이터는 30m/min, 45m/min, 60m/min을 기준으로 판매하고 있다.
그 중 가장 최고 속도로 수직트레이 컨베이어와 비교한 것이다.
Fig. 69 Result of performance Comparison
하였다. 이는 물류센터의 전체 활동을 분석할 때 다양한 요인(작업방법, 레이아 웃, 운영시스템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입고작업만을 한정한 것이다.
차량에서 내려놓은 동일한 파렛트 화물을 동일한 지게차가 층간 운반을 위해 화물엘리베이터와 수직트레이 컨베이어의 입고라인에 놓으면, 화물엘리베이터 와 수직트레이 컨베이어로 2층과 3층으로 50%씩 이송하며, 각 층에 대기하고 있는 지게차가 파렛트 화물을 보관지역에 놓는 작업을 기준으로 하였다.
7.2.2 성능비교 결과
시뮬레이션 한 결과, 기존 화물승강기처리량은 1시간에 74파렛트, 수직트레이 컨베이어의 처리량은 115파렛트로 동일조건 속에서 컨셉설계한 다층형 연속식 수직컨베이어가 41파렛트를 더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차시간을 PICK UP 시간, 파렛트 화물이 화물엘리베이터와 다층형 연속식 수직컨베이어 입구라인에 내려놓는 작업시간을 DELIVER시간, 작업자가 전체 1 시간동안 움직인 작업시간을 MOVE시간, 작업자가 처음에 파렛타이징 작업을 위해 대기한 시간을 WAIT FOR WORK시간이라 하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화물엘리베이터의 DELIVER시간은 지게차에 실린 채로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 짐에 영향을 받는다. 수직트레이 컨베이어는 입구라인에서 적체 현상이 없이
연속식으로 운반이 가능하여 PICK UP시간과 DELIVER시간이 9분 25초로 동일 하게 분석되었다. 작업자 역시 작업시간을 100% 활용하여 작업을 한 것으로 분 석된다. 화물엘리베이터는 입구라인에서의 적체현상으로 기다리는 시간이 발생 하여 DELIVER시간이 28분 9초로 실제 작업자는 PICK UP시간을 제외한 25분 47초만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분 Sum Sum(Min.) WORKER 1 WORKER 2
화물엘리베이터-PICKUP 0: 06 : 00 6.0 0. 06 : 00 0: 00 : 00 화물엘리베이터-DELIVER 0: 28 : 09 28.2 0: 28 : 09 0: 00 : 00 다층형연속식-PICKUP 0: 09 : 25 9.4 0: 00 : 00 0: 09 : 25 다층형연속식-DELIVER 0: 09 : 25 9.4 0: 00 : 00 0: 09 : 25
MOVE 1: 06 : 53 66.9 0: 25 : 47 0: 41 : 06
WAIT FOR WORK 0: 00 : 08 0.1 0: 00 : 04 0: 00 : 04 Table 44 Time based Analysis of performance Comparison model
결론적으로, 컨셉설계 결과는 기존의 수직운반기기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 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안한 수직트레이 컨베이어는 화물엘리베이터에 비해 연속적으로 화물을 처 리할 수 있어 시간당 처리량이 많고, 설치 면적도 작게 사용하면서 작업공간도 최소로 할 수 있다. 입구라인에서의 적체 현상이 사라지다 보니 작업자가 기다 리는 시간이 없어 1인 작업자의 작업시간 효율이 100% 달성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