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 입하활동의 작업 사이클
입하활동은 정보확인, 하차작업, 검품작업으로 구분된다. 정보확인이란 차량 의 접안, 관련서류, 짐 상태 등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하차작업은 ①차량내부의 파렛트 화물에 장비를 결합한 후 ②임시 적치장소로 옮겨와 ③해체 한 후 ④다 음 화물의 하차를 위해 차량으로 복귀하는 작업의 반복 수행을 통해 진행된다.
작업완료 후 ⑤임시 적치장소에서 검품작업이 수행된다.
구분 생각 행동
도구 내용 도구 내용
Cycle1 정보확인
- 접안확인 - -
- 서류확인 - -
- 화물확인 - -
Cycle2 입고 준비
결합
- - 지게차류 작업도구준비
차량내부진입 화물확인 후 도구결합
차량외부로이동
- - 파렛트잭류
- - 전동파렛트잭류
이동
- - 지게차류 적치장소로이동
화물이 적재된상태
- - 파렛트잭류
- - 전동파렛트잭류
해체
- - 지게차류
장소확인 후 화물해체
- - 파렛트잭류
- - 전동파렛트잭류
복귀
- - 지게차류 하차장소로이동
화물이 없는상태
- - 파렛트잭류
- - 전동파렛트잭류
Cycle3 검품작업 PDA 수량상태확인 - -
Table 19 Cycle definition of receiving activity
5.2.2 보관활동의 작업 사이클
보관활동은 임시적치장소에서 저장 랙에 화물을 적입하는 작업이다. ①임시적 치장에서 리프트형 장비에 화물을 결합하고 ②저장 랙으로 이동하여 ③리프팅을 통해 고단 적재를 준비한 후 ④적재랙에 적입하고 ⑤리프트 다운하여 다시 임시 적치장소로 복귀하는 작업으로 세분할 수 있다. 리프트다운 후 혹은 복귀시 적치 장소와 적치화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작업이 수행되기도 한다.
구분 인지 행동
도구 내용 도구 내용
Cycle1 정보확인 - 위치확인 - -
- 설비확인 - -
- 상품확인 - -
Cycle2 보관
결합 - - 오더피커 작업도구준비
임시적치장소에서 화물확인 후 도구결합
- - 고단적재용 지게차
- - 삼방향 지게차
이동 - - 오더피커 임시적치장소에서
보관장소로 이동 화물적재상태
- - 고단적재용 지게차
- - 삼방향 지게차
리프팅 오더피커 보관을 위한
화물의 권상작업
고단적재용 지게차
삼방향 지게차
해체 - - 오더피커 보관장소에 적입후
도구의 권하작업
- - 고단적재용 지게차
- - 삼방향 지게차
복귀 - - 오더피커
하차장소로이동 화물이없는상태
- - 고단적재용 지게차
- - 삼방향 지게차
Cycle3 정보확인 PDA 상품확인 - -
PDA 위치확인 - -
Table 20 Cycle definition of storage activity
5.2.3 피킹활동의 작업 사이클
피킹활동은 오더피킹용 장비로 출고할 화물을 저장 랙에서 배송처별로 분배 하여 임시적치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피킹활동은 ①피킹할 화물을 저장 랙에서 장비를 결합 반출하여 ②리프트 다운 후 관련정보를 확인하고 ③출고용 임시적 치장으로 이동하여 ④화물을 해체한 후 ⑤보관장소로 복귀하는 작업으로 세분 된다. 작업자는 피킹장소와 피킹한 화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작업도 수행한다.
구분 생각 행동
도구 내용 도구 내용
Cycle1 피킹
정보확인 - 위치확인 - -
- 설비확인 - -
- 상품확인 - -
결합
- - 오더피커
보관장소에서 출하품목 선택
- - 지게차
- - 삼방향 지게차
- - 오더피커(사람 탑승)
Cycle2 분배
이동
- - 오더피커 보관장소에서
출하장으로
- - 지게차 이동
- - 삼방향 지게차
해체
- - 오더피커
배송처별분류 후 임시적치
- - 지게차
- - 삼방향 지게차
- - 오더피커(사람 탑승)
복귀
- - 오더피커
보관장소에서 출하장으로
이동
- - 고단적재용 지게차
- - 삼방향 지게차
- - 오더피커(사람 탑승)
Cycle3 검품 PDAPDA 상품확인위치확인 - -
Table 21 Cycle definition of order-picking activity
5.2.4 출하활동의 작업 사이클
출하활동은 출고화물을 임시적치장소에서 배송차량으로 상차하는 작업이다.
출하활동은 ①임시적치장소의 화물을 결합하여 ②차량으로 이동하고 ③화물을 상차한 후 ④다시 임시적치장소로 복귀하는 작업으로 세분된다.
구분 인지 행동
도구 내용 도구 내용
Cycle1 정보확인
- 접안확인 - -
- 서류확인 - -
- 화물확인 - -
Cycle2 입 고준 비
결합
- - 지게차류 작업도구준비
화물확인후도구결합
- - 파렛트잭류
- - 전동파렛트잭류
이동
- - 지게차류 출고적치장소에서
차량으로이동 화물이적재된상태
- - 파렛트잭류
- - 전동파렛트잭류
해체
- - 지게차류
상차 후 화물해체
- - 파렛트잭류
- - 전동파렛트잭류
복귀
- - 지게차류 차량에서
출고적치장소로이동 화물이없는상태
- - 파렛트잭류
- - 전동파렛트잭류
Cycle3 상차검품 PDA 화물확인 - -
- 이안확인
Table 22 Cycle definition of Loading and shipping activity
5.2.5 활동별 사용장비 현황조사
현황조사는 한국산업규격(KS)을 검색하여 물류센터와 관련된 설비, 장비, 정 보시스템 등을 검색하고, 규격 내용을 확인하여 4장의 선행연구에서 파악한 물 류활동별로 사용 장비들을 추출하였다. 이후 적정 규모(연면적 1,500㎡)와 장비 및 시설을 갖춘 물류센터를 방문하여 물류활동별 장비사용 실측조사를 실시하 였다. 표본 추출 방법은 리스트를 활용한 유의 할당 표본 추출로서, 조사된 물 류센터의 수는 338개이며, 이중 현황 및 심층조사를 모두 실시한 71개 업체를 합하면 조사 샘플은 총 409개이다.
구분 계 TC DC 복합센터
계 321 72 147 102
공항배후단지 3 - 3 -
냉장/냉동 48 17 20 11
복합화물터미널 19 4 8 7
위험물 14 2 7 5
유통업체 4 2 2 -
의류제품 24 10 8 6
의약품 15 1 3 11
일반상온 149 26 68 55
택배업체 20 10 4 6
항만배후단지 25 - 24 1
주: 1) 일반현황조사를 실시한 321개 업체를 대상으로 분석함 Table 23 Overview of survey
가. 입고활동 중 입하
입하활동 중 “하차”의 활동은 상품을 차량에서 내리는 활동을 말한다. 하차 를 위한 물류작업은 주로 유닛로드화된 화물을 지게차와 오더피커를 활용하여 하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시스템용 장비를 활용하여 하차작업 시 관련정보의 확인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C와 CC의 경우 박스화물을 신 축 컨베이어 등을 통해 컨베이어에 탑승시키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분 입고용 장비
DC TC CC 합계
샘플 수 71 146 102 319
지게차 23.9 89 83.3 65.4
오더피커 83.1 2.1 3.9 29.7
운영시스템(정보) 31.5 31.5 13.7 25.6
운반용대차 11.3 28.8 24.5 21.5
화물승강기 7 11 5.9 8.0
컨베이어 0 10.3 9.8 6.7
수직반송기 4.2 4.1 9.8 6.0
운반장비(파렛트 잭) 1.4 6.2 5.9 4.5
스태커 2.8 2.7 3.9 3.1
파렛트 87 87 89.2 87.7
Table 24 Status of unloading equipment
나. 입고활동 중 검품
입하활동 중 “검수/검품” 활동은 상품의 개수, 외관을 확인하는 활동을 말 한다. 검수작업은 보안시설(게이트 등)에서 보안요원이 수행하는 방법, 유닛로 드 화물은 지게차 운전원, 박스화물의 경우 운반용 대차를 사용하는 작업원들 이 결과를 정보시스템 장비에 활용하여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검수/검품
TC DC CC OVERVIEW
샘플 수 70 144 102 316
보안에서 검사 55.7 34.7 28.4 37.3
육안검사 15.7 3.5 4.9 36.1
운영시스템(PDA 등) 28.2 35.4 18.6 28.2
지게차 10 13.9 11.8 13.9
운반용대차 27.1 7.6 9.8 8.9
Table 25 Status of inspection equipment
다. 입고활동 중 보관
보관활동에서 활용되는 물류장비는 지게차를 이용해서 보관용 랙에 적재하 고, 작업결과를 정보시스템에 입력하는 작업이다. 지게차 이외에 파렛트 잭, 스 태커, 오더피커 등의 장비들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피킹
TC DC CC OVERVIEW
활동유무 47 135 96 278
지게차 51.1 61.5 41.7 52.9
운반용대차 21.3 23.0 27.1 24.1
운영시스템(정보) 21.3 30.4 15.6 23.7
컨베이어 6.4 2.2 8.3 5.0
보관랙및행거 2.1 4.4 6.3 4.7
운반장비 2.1 4.4 4.2 4.0
오더피커 4.3 1.5 4.2 2.9
슈트 4.3 1.5 3.1 2.5
수직반송기 0.0 0.0 4.2 1.4
스태커 0.0 2.2 1.0 1.4
자동분류기 0.0 0.0 3.1 1.1
Table 27 Status of Order-Picking
구분 보관
TC DC CC OVERVIEW
활동유무 71 147 102 320.0
지게차 64.8 68.7 55.9 63.8
운영시스템(정보) 25.4 44.9 32.4 36.6
보관랙 31.0 31.3 45.1 35.6
운반용대차 16.9 19.0 19.6 18.8
화물승강기 2.8 4.1 8.8 5.3
운반장비 2.8 4.1 3.9 3.8
컨베이어 4.2 2.7 3.9 3.4
스태커 0.0 3.4 2.9 2.5
오더피커 2.8 1.4 3.9 2.5
수직반송기 1.4 0.0 5.9 2.2
파렛타이저 0.0 0.7 2.0 0.9
Table 26 Status of Storage equipment
라. 출고활동 중 피킹
피킹은 지게차와 운반용 대차, 컨베이어, 오더피커 등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대형 복합물류센터에서는 자동분류기와 수직반송기 등을 결합한 형태의 분류작업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 출고활동 중 검품
출고활동 중 “검수/검품” 활동은 출고직전 검사결과를 운영시스템을 통해 입력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업무는 지게차 운전원, 운반용 대 차나 컨베이어 작업인원들이 운반업무와 병행하여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전체
TC DC 복합센터 검수/검품
활동유무 69 145 102 316
운영시스템(정보) 29.0 37.2 18.6 29.4
지게차 17.4 14.5 11.8 14.2
운반용대차 11.6 9.0 8.8 9.5
컨베이어 2.9 1.4 2.9 2.2
보관랙및행거 0.0 2.1 2.0 1.6
운반장비 0.0 0.0 3.9 1.3
화물승강기 0.0 1.4 0.0 0.6
스태커 0.0 0.7 1.0 0.6
오더피커 1.4 0.7 0.0 0.6
Table 28 Status of Inspection equipment
사. 출고활동 중 상차
출고활동 중 “상차” 활동은 상품을 배송차량에 싣는 활동을 말한다. 상차 활동은 지게차와 운반용대차, 신축 컨베이어 등을 주로 이용하며, 해당 작업원 이 작업결과를 정보화기기로 입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컨베이어의 활용은 TC 형 물류센터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검수/검품
TC DC CC OVERVIEW
활동유무 72 147 101 320
지게차 84.7 88.4 77.2 84.1
운반용대차 23.6 25.9 23.8 24.7
운영시스템(정보) 11.1 30.6 13.9 20.9
컨베이어 18.1 8.8 10.9 11.6
램프 6.9 12.9 5.0 9.1
화물승강기 5.6 10.9 8.9 9.1
도크레벨러 5.6 4.1 8.9 5.9
운반장비 1.4 5.4 5.0 4.4
오더피커 2.8 2.0 4.0 2.8
스태커 0.0 2.0 4.0 2.2
수직반송기 1.4 2.0 1.0 1.6
도크보드 0.0 1.4 2.0 1.3
슈트 1.4 0.0 1.0 0.6
Table 29 Status of Loading equipment
5.2.9 물류센터 유형별·활동별 설비 및 장비 사용현황
물류활동별 장비사용현황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많은 경우 물류센터의 작업은 유닛로드 화물을 지게차로 활용해서 작업이 진 행되는데, 지게차 운전원은 서류접수, 제품검사의 업무를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TC형 물류센터는 상대적으로 컨베이어의 활용이 높으며, CC형 물류센터는 지게차와 함께 컨베이어, 화물승강기와 수직반송기, 소터 등의 다양한 장비들을 사용하고 있다.
검수와 검품은 필요에 따라 입고, 출고, 입출고 모두에서 수행하지만 모든 물 류센터에서 수행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의 결과들을 물류센터 유형별로 설비(물류센터의 시설)와 장비(물류센 터내 기기)로 구분한 이용실태 조사결과는 아래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