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향후 추진방향 및 시사점

SDGs는 사회

경제

환경의 조화되어 통합적인 지속가능발전을 도모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특징이 있으며, 특히 환경 관련 목표의 효과적인 성취가 MDGs와는 다른 SDGs의 차별적 정체성을 부여함

SDGs는 포괄적이며 구체적인 다양한 개발목표를 담고 있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이의 효과적 이행을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적절한 재원 마련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한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협력체계 구축 및 새로운 재원 확보 노력이 필요함(추진 과제별 협력 네트워크 구축, DB 구축 및 정보 교류 강화, 주기적인 소통 등)

광범위한 주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전 지구적 맥락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현황과 비전을 잘 반영하여 정책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음. 따라서 어떤 분야에 집중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국민, 시민사회, 학계 등 다양한 관련 주체의 참여와 함께 효과적 이행을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함

거의 모든 목표들이 상호 연관성이 깊으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폭넓은 공감대 형성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인식증진 프로그램 강화, 국가 주요 정책

계획에 SDGs의 주류화가 요구됨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6개 분야 15개 추진과제는 SDGs의 성취에 기여할 수 있는 보호지역 분야의 주요이슈를 제안하고 있음

- 범정부차원의 법정 국가계획 등을 참고하여 추진과제를 도출하였기 때문에, 추진과제별로 각 국가계획과 연동하여 사업계획을 수립함으로서 그 추진동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 또한 분야별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 등 폭넓은 파트너쉽을 통해 공감대 형성은 물론

사업 실행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참고문헌

참고문헌

관계부처합동(2015)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p293 관계부처합동(2015) “제3차 자연환경보전 기본계획” p171 관계부처합동(2015) “제4차 국가환경종합계획” p146 관계부처합동(2016) “제3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p174

국립공원관리공단(2016) “VISION 3050 국립공원 미래전략 2027” p358

국회입법조사처(2015) “2030 개발의제 시대의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이행전략” 세미나 자료집 김지현(2016) “SDGs 지표 확정과 의의” 개발과 이슈 25호 p18

김지현(2016) “UN 고위급정치포럼(HLPF)의 SDGs 이행과정검토” 개발과 이슈 26호 p15 산림청(2017) “제6차 산림기본계획(안)” p236

손동필, 오성훈(2016)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대비 건축

도시분야 대응방향 연구” 건축도시 공간연구소 보고서 p354

이상훈(2014) “Post-2015 개발의제란 무엇인가

한국 시민사회의 관점에서” Issue Brief p22 임소영, 김성규, 김지혜(2016)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경제산업 부문의 효과적인 국내이행을

위한 기초연구” 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6-804 p143

정지원, 송지혜(2014) “Post-2015 개발의제: 논의동향 및 시사점” 지역경제 포커스 8(30), 대외 경제정책연구원 p10

통계개발원(2016)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을 위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방안

I. 해설편” p331 통계개발원(2016)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을 위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방안

I. 글로벌

지표편(SDGs 17개 목표별 지표업무관리카드)” p511

환경부(2012) “2013~2022 자연공원기본계획수립을 위한 연구” p577 해양수산부. http://www.mof.go.kr, (2017. 7. 11.)

MAB한국위원회(2016) “MAB 전략(2015-2025)과 리마행동계획(2016-2025)” p40

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2010) “Global Biodiversity Outlook 2” p155 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2014) “Global Biodiversity Outlook 4” p81 The Minister of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Canada(2016) “Acheiving a

Sustainable Future: A Federal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for CANADA 2016-2019” p88

United Nations(2014)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Report” p55

부록

부록. 보호지역 관련 SDGs 이행전략 수립 키워드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한 국가의 중앙 혹은 지방정부 등 공공기관이나 원조집행기관이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과 복지향상을 위해 개발도상국이나 국제기구에 제공하는 자금의 흐름을 뜻합니다. 따라서 군사적 지원, 평화 유지를 위한 자금 및 인력 투입, 사회/문화적 교류 프로그램 등 수원국이 아닌 공여국을 위한 활동은 ODA의 범주 안에 포함되지 않음

국내물질소비(Domestic Material Consumption) 국내 물질(상품과 원료) 소비량을 측정

[부록그림 1] 2010년 총 국내물질소비(2010 Total Domestic Material Consumption) 출처: http://susanhaertig.com/vis/DMC/

국제연합 해양법 회의(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국제연합의 국제법위원회가 주도해 개최한 해양에 관한 일련의 국제회의. 해양 관련 국제법의 성문화 및 국제적 승인을 위한 노력은 1930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개최된 국제연맹의 국제법 편찬회의에서부터 시작되었음. 이 회의는 해양에 관한 여러 문제에 대하여 참가국 간에 합의에 이르렀음에도 불구하고 영해의 범위에 대해 합의를 보지 못해 실패함

이후 국제연합 주도로 1958년부터 1982년까지 20여 년에 걸쳐 3차례의 회의가 열렸으며, 중요한 의제는 영해의 범위를 12해리로 하는 문제, 경제수역 200해리를 설정하는 문제, 국 제해협의 자유통항을 인정하는 문제, 영해의 무해통항을 군함에도 인정하는 문제, 심해저를 개 발하는 문제, 대륙의 경계를 확정하는 문제 등 포함

1958년 국제연합 주도하에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제1차 국제연합해양법회의에서 영해와 접속수역에 관한 협약, 공해에 관한 협약, 공해의 어업 및 생물자원보호에 관한 협약, 대륙 붕에 관한 협약 등 4개의 제1차 해양법협약을 채택했으나 부분적이고 제한적인 내용이었 으며, 1960년에 개최된 제2차 회의도 영해의 범위를 확정하지 못하여 결렬되었음

1973년부터 열린 제3차 회의는 오랜 논의를 통해 차례차례 의견 접근을 이뤄내었으며, 1974년에는 새로운 대륙붕 개념이 성립되었고, 1976년 단일교섭수정안을 작성하였으며, 결국 1982년 12월 10일 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해양법협약)을 체결하게 되었음

1972년 스톡홀름 유엔인간환경회의에서 오염의 모든 형태와 원천으로부터 해양오염을 방지 하기 위하여 보다 더 적절하고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이와 관련된 협약이 함께 추진되었음

기후변화 리스크

IPCC(2014)에서는 1988년부터 세계 기후변화 추세 및 원인규명,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학적,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 및 그에 대한 대응전략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하여 의사결정과 정책 구상의 객관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음. 5차 평가보고서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 세계적인 혹은 지역적 ‘리스크’에 초점을 둠

전 세계적으로 각 부문에 지역에 걸쳐 높은 신뢰도를 보이는 주요 리스크는 온난화, 해수면 상승, 집중강우 및 홍수, 가뭄, 물 부족 등에 따른 인간의 생명과 건강 피해, SOC 및 공공 서비스 기능 훼손, 식량 및 경제적 피해(생계 피해 등),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 훼손의 4가지로 크게 요약할 수 있음

기후변화 취약성

IPCC(2001)에서는 기후 다양성과 극한 기후 상황을 포함한 기후변화의 역효과에 대한 시스템의 민감도 또는 대처할 수 없는 정도라고 정의함

부록

UNDP, 취약성이란 기후변동이나 스트레스에 대한 노출과 이에 대한 대처, 회복, 적응능력에 따른 노출 단위의 위험에 대한 민감도를 말하며, 사회-경제적 취약성이란 일정 범위의 유해한 변동에 대한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노출을 통합하는 인간의 복지수준을 총체적으로 측정하는 수단

UK CIP, 특정 위험상황에서 야기되는 손해의 범위를 뜻하며, IPCC 정의를 바탕으로 취약성은 시스템의 민감도 뿐 아니라 적응능력에 의해서도 결정됨

UNFCCC, 사회, 인구, 생물종, 생태계, 지역, 농업시스템이나 그 외 다른 수량이 기후변화의 역효과에 민감한 정도 또는 대처할 수 없는 정도를 뜻함

물질발자국(Material Footprint, MF)

소비를 기준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라이프 사이클을 측정

[부록그림 2] 물질발자국의 구성

출처: Lettenmeier, M.(2015) Sustainable Lifestyles 2050 The Role of Circular Economy and Bioeconomy. World Resources Forum 2015

배타적 경제수역(Exclusive Economic Zone, EEZ)

영해 기선으로부터 200해리에 이르는 수역 중 영해를 제외한 수역으로,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과 배타적 경제 수역이 겹치기 때문에 어업 협정을 체결하여 겹치는 수역을 공동으로 관리하고 있음

[부록그림 3] 한국

중국

일본의 수역 지도 출처: 한겨레신문(자료: 해양수산부)

수혜자부담 원칙(Beneficiary Pays Principle, BPP)

환경 분야에서 자연자원의 이용과 배분에 있어 적용되는 데 어떤 환경재를 이용하여 이익을 받는 사람이 있을 때 그 이익의 한도 내에서 이를 제공하기 위한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임.

상수도와 같이 시설의 이용에 대한 배제가 가능하지만 시민의 기초수요로 인식되어 공공부문이 개입하는 생활기반시설의 공급비용 배분에 주로 적용됨

유사용어로 원인자부담원칙(Polluter Pays Principle, PPP)이란 환경을 오염시킨 자는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통제하는 데 따르는 지출을 부담하여 환경을 만족스런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는 것임. 수익자부담과 원인자부담을 합쳐 이용자부담(User Charges)이라 부르기도 함

부록

생물다양성

생물다양성이란 원생생태계와 해양 등의 수생태계를 포함하는 모든 생물 간의 변이성을 나타 내며, 유전자다양성, 종내 및 종간 다양성, 생태계 다양성을 포함함

유전자(Gene) 다양성이란 개체들 간에 존재하는 유전적 변이성으로 같은 종이라도 개체마다 생김새나 구조에 차이를 보임

생물종(Species) 다양성이란 종 생물의 분류학적 기초 단위로, 같은 종은 겉모습이 닮았고 자연상태에서 지속적 교배가 가능함

생태계(Ecosystem) 다양성이란 특정 지역에서 살아가는 생물군과 그를 둘러싼 모든 환경 요인을 말함

생물다양성협약(Conserva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생물 다양성을 생태계, 종, 유전자 세 가지 수준에서 파악하고 생물 다양성의 보전, 생물 다양성 구성 요소의 지속 가능한 이용, 유전자원의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의 공정하고 공평한 배분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 조약

[부록그림 4] 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핵심의제

생태계서비스

생태계서비스(Ecosystem Service, ES)란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받는 편익(Benefit)이며, 인간의 복지는 생태계서비스의 변화에 영향을 받음(MA,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