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2차 자연공원 기본계획(2013-2022)

Ⅳ.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국내 이행 여건 분석

“자연과 인간이 만나는 생명의 요람”이라는 비전과 자연생태계 및 경관

문화자원 보전 및 복원 강화, 국제적 수준의 자연공원 관리체계 형성, 자연자원가치 확대로 사회

경제적 가치 창출, 탐방

휴양 서비스 제고로 생태복지 제공융합과 소통을 통한 공원관리 파트너쉽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음[그림 4-9]

나. 제2차 자연공원 기본계획과 SDGs와의 연계성

Goal 6.6: 2020년까지 산, 산림, 습지, 강, 암반 및 호수를 포함한 물 관련 생태계 보호

복원

계곡부 오염원(상가 등)에 대한 배출량 조사 및 수질관리대책 수립, 계곡 내 인공구조물(279개 소)의 단계적 철거 등 계곡 수생태계 복원

Goal 8.9: 2030년까지 일자리 창출 및 지역 문화

상품 홍보를 위한 지속가능관광 진흥 정책 고안

이행

지역사회 발전을 통한 사회적 가치창출: 직거래장터운영9), 특산물홍보 등 판매촉진, 주민 지원사업 확대(80억('12)→ 200억('15)) 등 주민 삶의 질 제고

지역민 대상 ‘국립공원 지킴이사업’을 통해 일자리 창출(’11년 529명)

공원구역 내 자연자원과 주변지역의 관광자원을 연계하는 지역단위 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

보급(주민

지자체 참여를 토대로 운영), 탐방객 계층별 맞춤형 생태관광 운영(테마 선정) 및 탐방해설 확대

Goal 12.8: 2030년까지 지속가능한 개발 및 생활방식에 대한 정보와 인식 보장 미래세대 대상으로 ‘자연공원 생태

문화교육 추진계획’ 수립

이행

Goal 14.5: 2020년까지 연안 및 해양의 적어도 10% 보전

해상

해안형 자연공원 내 특정도서, 습지 등 생태계 우수지역을 ‘공원자연보존지구’로 확대 지정10)하고, 생태계 보전기능11) 강화

9) 직거래장터('11) : 15개 국립공원 63개 품목, 약 10억원 소득창출

10) 현재 4개 해상・해안국립공원(육상 578㎢, 해상 2,752㎢)내 공원자연보존지구 지정비율 : 4.1%

Ⅳ.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국내 이행 여건 분석 7. 제2차 자연공원 기본계획(2013-2022)

Goal 15.1: 2020년까지 육상 및 내수 생태계, 관련 서비스의 보전, 복원, 지속가능한 이용 보장

특별한 보호가치가 있는 야생생물서식지. 계곡

습지 등을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확대(’11년 공원면적의 3.5%(234㎢) → ’20년 5.0%)

유형별 공원자원 보전가치를 평가

등급화하고, 위치

지리정보와 연계한 ‘공원 생태자원지도 (DB)’ 작성

활용

생태축 단절지역에 생태통로 설치

훼손지 복원, 필요시 핵심지역 내 도로

철도

전기통신설비 등을 단계적으로 철거 등 생태축 복원(국립공원 백두대간 단절 및 훼손현황: 도로 16개소, 훼손지 47개소 175,270㎡)

Goal 15.5: 생물다양성 손실 중지, 자연서식처 저하 저감, 멸종위기종 멸종 방지를 위한 행동 착수

공원 내 서식지 확보가 용이한 생물종 (포유류, 양서

파충류, 곤충, 식물)을 중심으로 증식

복원 활성화 등 멸종위기종 증식

복원

Goal 15.8: 2020년까지 침입외래종의 유입 및 영향 저감 방지를 위한 수단 도입

생태계 교란종 등 관리: 생태계 교란종(국립공원 내 37종), 관리대상 동물(유기견

들고양이 등) 지속 모니터링 및 포획

Goal 17.7: 효과적인 공공, 민관, 시민사회 파트너쉽 장려

증진

공원사무소 주관 ‘공원관리협의회’(주민

비정부기구(Non-Governmental Organization: NGO) 등)를 활용하여 공원별 보전

관리계획 수립 등 의사결정과정에 이해관계자 참여확대

공원위원회 산하에 ‘갈등관리분과’(민간위원장 선임)를 구성하여 자연공원 갈등영향 심의, 갈등현안의 조정

해소 추진

갈등유형화, 원인분석, 쟁점 확인, 협의

조정 절차 등을 포함하는 ‘갈등관리 규정’ 제정

11) 공원자연보존지구(해상지역) 내 행위제한 신설 : ①폐수배출시설・공작물 등 입지제한, ②함정어구 등 설치제한, ③서식지・산란지 등 훼손금지 등

재발방지를 위해 우수사례집을 작성하고, 조정된 갈등은 제도개선(공원계획 반영, 필요시 법령정비)으로 연계 등 갈등 사후관리

한반도 생태축 구축 측면에서 공원 내 중복 지정된 보호지역별 사유지 매수제도, 국민신탁 등 연계

운영방안 마련 등 기관 간 협력 강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국제 이행 여건 분석

K O R E A N A T I O N P A R K R E S E A R C H I N S T I T U T E

1 생물다양성협약(CBD) 2011-2020 전략 계획(Aichi Target)

가.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의 개요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는 생물다양성을 보호하는 차원을 넘어서며, 자연이 인간복지(Human Well-being)에 제공하는 혜택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의 측면을 다루고 있음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는 생물다양성과 지속가능한 발전 사이의 연결 요소로서 생물다양성 가치를 개발 계획에 통합할 필요성을 언급함으로서 이를 반영

생물다양성에 대한 직접적인 압력을 줄이고 각기 다른 분야에 자연을 주류화 하는 것, 지속 가능한 이용을 촉진하는 것,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의 사용으로부터 모든 사람들에게 이익을 제공하는 것까지 다양하며, 이러한 목표는 CBD의 193개 모든 당사국들에 의해 합의되었으며 SDGs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음

생물다양성전략계획과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는 현재 국가 생물다양성 전략 및 실천계획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ies and Action Plans: NBSAPs)을 통해 시행 중임. 또한 CBD COP11(11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에서는 생물다양성 목표 달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채택하였으며, 이것은 SDGs의 달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데이터 수집과 연계 가능함

나. 주요 내용

생물다양성전략계획 및 아이치생물다양성목표의 구성

생물다양성 전략계획 2011-2020 및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의 구조는 표 3-1과 같으며, 2050비전은 2020 목표 성취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음.

전략계획은 국가 및 지역 목표 수립을 위한 유연한 프레임 워크 역할을 하며, 생물다양성 협약의 3대 목적(생물다양성 보전, 생물다양성 구성요소의 지속가능한 이용, 유전자원 이용 이익의 공정하고 공평한 공유)을 이행할 수 있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