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VISION 3050 국립공원 미래전략 2027

Ⅳ.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국내 이행 여건 분석 4. VISION 3050 국립공원 미래전략 2027

[그림 4-6] 국립공원 미래전략 2027의 비전 및 목표 출처: 국립공원관리공단(2016) VISION 3050 국립공원 미래전략 2027

미래 신사업(12개 사업): 한반도(동북아) 생태공동체 구축, 보호지역 지식 클라우드 창출, 보호지역의 공정한 관리모델 개발, 기후변화 대응 Park Care System 구축, 생물자원 전통 지식 연구 발굴로 손실

훼손 예방, 한반도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남

북 국제협력 사업, 대학교 관련학과 협업을 통한 공원관리학과 신설, 한국형 국립공원 재단 설립, 은퇴세대

지역주민 대상 평생교육 기관 운영, 공원기술 전문성 확보를 위한 공원 디자인 센터 건립, 개도국 공원관리 기술 전파(ODA), 남북 통일에 따른 공원시설 조성

미래가치 창출(4개 사업): 미래사회 견인 인재 육성(소통, 협력, 융통성), 변화관리/위기관리 프로그램 개발

운영, 미래 기술 기반 공원관리 역량 강화(노동시장 구조 변화 대비), 재무 건전성 관련 사업

상생협력 체계 강화(2개 사업): 이해관계인에 대한 이해에 기초한 갈등관리 및 상생 협력 선순환 구조, 사유지 면적 최소화를 위한 전략 다각화

나. 국립공원 미래전략 2027과 SDGs와의 연계성

국립공원 미래 전략 2027의 대부분의 이행과제가 SDGs의 성취와 직

간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주요 목표별 추진 과제를 예시하면 아래와 같음

Goal 12.8: 2030년까지 지속가능한 개발 및 생활방식에 대한 정보와 인식 보장

생애주기, 발달단계를 고려한 환경교육 서비스 제공, 교육방송 내 환경교육 애니메이션 제작 지원 및 반영, 환경교육 체험시설(연수원, 네이처센터) 체계적 확충, 탐방문화 개선을 위한 대학생 홍보 서포터즈 운영, 대학교 관련학과 협업 또는 공원관리학과 신설 등 환경교육 선도기관으로서의 역할 강화

한국 국립공원 재단 설립, 은퇴세대

지역주민 대상 평생교육 기관 운영 등 탐방 복지 서비스 강화 미래세대 전용 홈페이지 구축 등 공원 서비스에 IT 접목

안전산행 교육 및 체험 활동 제공 강화 등 국립공원 이용 안전 문화 확산 Goal 13.2: 기후변화 조치를 국가 정책, 전략 및 계획에 통합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 수립과 기후변화 장기 모니터링 체계 구축 등 기후변화 적응 공원 관리 체계 구축

Ⅳ.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국내 이행 여건 분석 4. VISION 3050 국립공원 미래전략 2027

공원 업무와 연계한 기후변화 정책 연구 등 기후변화 R&D 사업 강화 Goal 13.3: 기후변화에 관한 교육, 인식 제고 및 인적

제도적 역량 개선

기후변화 적응 전문 교육 확대 등 이해당사자 협력 및 공유 Goal 14.2: 2020년까지 해양 및 연안생태계의 지속가능한 보호

관리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보전정책 연계 강화, 해양 생태축 종합조사 및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 변화 대응과 함께 해양국립공원 관리 인프라 강화, 유관기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해양국립공원 이해관계자 협력 강화

해양생태계 핵심서식지 관리를 위한 도서, 연안 등 핵심지역 보전 강화, 복원 및 회복, 환경 오염 등으로 훼손된 핵심서식지 개선, 외래 해양 생물 유입 차단 및 개선, 핵심 해양 생물종 증식, 복원

Goal 14.5: 2020년까지 연안 및 해양의 적어도 10% 보전

해양 관리 제도 강화 및 영역 확대를 통한 해양생태계 보전 등 해양국립공원 관리 역량 강화

Goal 14.a: 과학적 지식 증진, 연구역량 개발, 해양기술 이전 등 해양국립공원 관리 인프라 강화 등 해양 생태계 보전

관리 인프라 Goal 15.2: 2020년까지 모든 유형의 숲에 대한 지속가능한 이행 촉진

국가 보호지역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관리 등 효과적이고 공정한 관리 선도

주요 서식지의 양적 확대와 질적 관리 강화와 백두대간 연결 및 핵심 생태축 복원 등 생물 다양성 위협 요인 저감

Goal 15.4: 2030년까지 생물다양성을 포함한 산악생태계의 보전 보장

생물자원 기초조사, 모니터링 강화 등 생물다양성 보전 기반 구축

서식지 내 환경 및 생물 재해 요인 분석 및 관리 등 생물다양성 위협 요인 저감 Goal 15.5: 생물다양성 손실 중지 및 자연 서식처 저하 저감, 멸종위기종 멸종 방지

멸종위기 야생생물 증식

복원 확대 등 생물다양성 보전 기반 구축 Goal 15.6: 유전자원의 공유 및 접근 촉진

국립공원 생물 유전자원 및 표본 확보 등 생태계서비스의 지속 가능한 이용 기후변화 취약종 및 유전자원 보전 관리 등 기후변화 대비 공원 관리 강화 Goal 15.8: 2020년까지 침입외래종의 유입 및 영향의 저감 방지 수단 도입

침입 외래 생물종 예방과 통제 등 생물다양성 위협 요인 저감

아열대종 및 외래종 유입 확산 예방 관리 등 기후변화 대비 공원 관리 강화

Ⅳ.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국내 이행 여건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