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6차 산림기본계획(2018-2037)

Ⅳ.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국내 이행 여건 분석 6. 제6차 산림기본계획(2018-2037)

[그림 4-8] 제6차 산림기본계획의 비전 및 목표 출처: 산림청(2017), 제6차 산림기본계획(안)

다. 제6차 산림기본계획과 SDGs와의 연계성 주요 목표 및 추진과제와의 연계성

제6차 산림기본계획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채택하여 산림 직간접 연계 목표로 복지 증진(Goal 1), 식수 접근성(Goal 6), 지속가능에너지(Goal 7), 회복력 있는 거주지(Goal 11), 기후변화대응(Goal 13),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

사막화 방지(Goal 15)을 설정하고 있음

이 중 산림정책과 깊은 관련이 있는 SDGs 목표인 Goal 15의 육상생태계의 보호/복원 및 지속가능한 이용 도모의 세부목표를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및 사막화 방지에 초점을 두고 현장정책과 연계하고 있음

Goal 15와 관련하여 제6차 산림기본계획의 추진계획 중 대표적으로 DMZ

정맥지역의 가치 및 역할규명과 산림관리, 도서지역 산림생태계 건강성 확보, 자생생물에 대한 조사 및 식물 구계 재설정, 기후대

생태권역별 대표지역 천연수목원 조성, 희귀식물의 종자

생체 등 유전 자원 수집

보존 및 정기적 모니터링, REED+(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ODA 사업 추진, 산림보호지역 보호관리 협약 도입 등이 지속 가능한 숲 관리와 연계성을 찾을 수 있음

종의 보전과 생태계를 고려한 보호지역 지정, 희귀식물 자생지 확대, 주요보호 대상종 자생지 생육환경 개선, 복원대상지 단계별 복원방안 마련, 백두대간

DMZ 등 주요산림 및 산줄기 훼손지 복원 강화, 연결성을 저해하는 훼손지 중점 복원, 위급

위기 종의 분산보존, 위협 외래식물의 유입차단 및 제거 등의 추진계획은 보전지 훼손 및 생물다양성 손실 중지와 연계성을 찾을 수 있음

사막화 방지 국제기구와 협력을 통한 사막화방지 조림사업 추진, 사막화 방지를 위한 연구 및 네트워크 구축 등의 추진과제는 사막화 방지에 대한 SDGs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연계 추진계획임

SDGs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ODA의 중요성을 부각하며 Goal 17. 이행수단 강화 및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쉽 재활성화에 대한 연계성을 나타내고 있음

이행수단의 강화와 연계된 추진계획은 대표적으로 배출권거래제 연계와 민관협력으로 REDD+

이행 재원 마련, 산림과학기술의 확보 및 확산을 위한 전략 마련 등이 있음

ODA 기본계획 수립 및 이행체계를 강화하고 REDD+ 시범사업을 통한 전문성 강화 및 이행능력 배양, ODA 사업의 발굴

수행은 개도국을 중심으로 한다는 점에서 글로벌 파트 너쉽 활성화와 연계성을 찾을 수 있음

Ⅳ.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국내 이행 여건 분석 6. 제6차 산림기본계획(2018-2037)

제6차 산림기본계획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2 6 8 11 12 13 14 15 17 합계

1

기후변화 대응 산림탄소경영

체계 고도화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달성을 위한

산림역할 강화

17.2 17.7 2 기능과 용도별

산림자원 관리체계 확립

0

산지관리체계의 혁신 15.1 1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기여 15.1 1

국유림의 선도 역할

강화 0

2

산림 신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

산림기반 신산업 육성 0

산림생명자원 산업화 0

전문・장기 일자리

창출 및 창직개발 0

안정적 목재생산체계

구축 0

목재산업 육성 및 국산 목재제품 소비

촉진

0

3

임업인 소득 안정 및 산촌

활성화

임업인 소득 및

경영여건 개선 0

청정임산물 경쟁력

강화 0

임업통상 대응 및

임산물 수출 확대 0

산촌관광 활성화 8.9 12.b 1

(+1)

4

일상속 산림복지체계

정착

산림복지서비스 저변

확대 0

도시를 숲이 있는

생활공간으로 재창조 0

맞춤형 산림교육 제공

및 교육품질 향상 0

산림문화・휴양 인프라 확충 및 서비스 품질

개선

0

산림레포츠 활성화 0

산림치유서비스

효과성 향상 0

[표 4-2] 제6차 산림기본계획 목표와 SDGs의 연계성

제6차 산림기본계획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2 6 8 11 12 13 14 15 17 합계

5 산림생태계 보전 강화

산림생물다양성의

지속적 관리기반 구축 2.5 15.4

15.5 3

산림생물다양성

평가체계 구축 0

산림생태계서비스 평가 및 관리기반

구축

15.1 15.4 15.5

3 산림사법경찰 체계

확립 0

백두대간 및 주요 보호지역 체계 개선

및 관리 강화

15.7

15.8 2

한반도 주요산림

훼손지 복원 15.2 1

6

산림재해 예방과 대응을 통한

국민안전 실현

과학적 산불예방과 산불진화 대응역량

강화

0 산림특성을 고려한

산사태 재해 안전망 구축

0 산림유역단위

관리체계 정립 0

선제적 산림병해충

예찰 및 방제 0

7

세계녹화와 통일에 대비한 산림협력

SDGs 달성에 기여하는 국제산림협력 강화

13.1 15.3

15.a 17.2 3 (+1) 해외산림자원 개발

확대 0

REDD+ 등 신기후체제 대응

13.2

13.3 15.b 17.2 17.6 17.7 17.17

6 (+1) 통일시대 대비 통합적

산림협력 추진 0

8 산림정책 기반 구축

인문・사회・경제 요소 등 융복합 산림 거버넌스 체계 구축

6.6 17.17 2

법・제도 등 산림정책

지원체계 혁신 0

4차 산업 기술의

산림분야 적용 강화 0

산림분야 연구개발

혁신 및 성과 산업화 17.6 1

합계 1 1 1 0 0

(+1) 3 0 7

(+2) 4 -

[표 4-2] 제6차 산림기본계획 목표와 SDGs의 연계성(계속)

Ⅳ.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국내 이행 여건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