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SDGs 관련 보호지역 추진과제

2 SDGs 관련 보호지역 추진과제

가. 지속가능 (육상) 자연자원 보전

관리

육상 생태계의 보전

관리를 위한 항목으로 주로 SDGs Goal 6과 Goal 15 관련 목표 성취에 기여할 수 있는 내용을 중점적으로 도출

건강한 생태계 대표성 확보 및 통합적 관리 강화, 생태계 위협요인 관리 강화, 보호지역 관리기반 강화, 수 생태계 관리 강화의 4개 과제를 도출하였음

건강한 생태계 대표성 확보 및 통합적 관리

국립공원 추가지정 및 공원구역 확대 도모: 건강한 생태계 대표성 확보를 위해 신규 국립 공원 추가 지정(담수생태계-하천, 하구 등 다양한 유형의 생태계 대표성 확보 모색), 인접한 주요 생태계와의 연결성 강화를 위한 공원구역 확대, 자연공원법 개정을 통한 공원보호구역 제도 시행을 통한 주변지역과의 통합적 관리 도모 등

광역적 경관(생태계)으로서의 관리: 국토 생태축 연결성 확보(훼손지

단절지 복원), 도립

군립 공원 등 여타 보호지역과의 연계 관리 및 지원, 주변 생태계와의 연결성 증진을 통한 광역 생태권역 차원의 관리 등

멸종위기종(서식처) 복원

관리 강화: 주요 멸종위기종 서식지 내 복원 강화(존속가능개체군 MVP, 존속가능서식지 MVA 확보), 멸종위기생물 증식

복원

보전 인프라 구축 등

국가차원의 보호지역 시스템 정립(예: IUCN 카테고리를 적용한 보호지역 범주 재정립), 보호 지역 질적 관리 개선(보호지역 전반에 걸친 관리효과성평가(MEE) 수행), 우수 관리 보호 지역에 대한 국제인증(IUCN 녹색목록) 등

생태계 위협요인 관리 강화

외래종

교란종 관리(유입경로, 분포 변화, 생태계영향, 확산 시나리오, 제거 등)강화: 관리 대상 외래종 확대 지정 및 DB 구축(IUCN 100대 악성 외래종 등), 침입 외래종 유입 경로 및 분포 정밀조사, 침입 외래종 모니터링 및 사후관리(제거 등) 강화, 생태계 교란 확산 추 세종 선정, 확산 예방관리 및 조기퇴치 추진 등

인간-야생생물 충돌(Human-wildlife Conflict) 관리 체계화: 유해야생동물(멧돼지, 고라니, 염소 등) 서식분포 및 영향 모니터링 강화, 유해야생동물 개체수 조절 및 피해예방시설

피해 보상 체계 강화 등

밀렵, 밀거래, 불법 자원채취 근절: 밀렵

밀거래 사전대응체계 강화(상습

지능형 밀렵

밀거래 DB 구축 및 공유) 등

훼손 생태계 복원: 훼손지, 백두대간, 태백산 폐광지 복원 등

토양 건강성(토양침식, 산사태, 토사유출, 토양 비옥도, 자연표토 유실) 관리: Web-GIS, ICBM(IoT, Cloud, Big-data, Mobile 기술 통칭)과 연계하여 토양침식 예측, 표토 유실 우려지역 목록화 포함

IT 기반 통합 오염원(소음, 토양, 빛, 대기 등) 관리체계 구축 등 보호지역 관리기반 강화

Ⅵ. SDGs를 반영한 보호지역 분야 추진과제 2. SDGs 관련 보호지역 추진과제

서식처 기반 생태계 온전성 보전관리 강화: 서식처 유형별 생태계 구조와 기능(특성) 조사

연구, 서식처 유형에 따른 주제도 작성(Habitat Map, 생태자원지도 등), 서식처 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적응형 관리(Adaptive Management) 강화, 통합 DB 플랫폼 구축 등 생태계서비스(ES) 평가 및 ES 기반 관리 강화(생태계 건강성 평가 연계 검토):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홍보, 생태계서비스 가치 보전 증진, 생태계서비스지불제(PES) 적용, 국가

지역 계획에 ES 가치 반영(전략환경평가, 환경영향평가 활용) 추진 등

- 조사 및 관리 수행 과정(예시): 서식지 기반조사, ES 가치 평가, 관리효과성평가 → 가치 및 관리여건 이해 증진 → 가치 기반 용도지구(zoning) 시행 → 공원별 보전관리계획

→ 적응형 관리 시행

사유지 관리 강화(매수, 환지, 협약, TDR, PDR 등): 사유지 매수 우선순위에 따른 전략적 국유화 대상지 조사, 국공유지와 토지교환, 개발권 양도제

매입제 등 도입 추진, 생물다양 성관리계약 등 사유지 보전강화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확대 등

- 사유지 매수, 훼손지 복원, 지역사회 지원 등을 위한 재정자립도 강화(국립공원 복권사업 또는 국립공원기금 추진) 등

자연(유전)자원의 접근 및 혜택공유 시스템 구축: 조사

연구를 위한 자원접근(Access Control) 관리 강화, 자원 활용을 통한 혜택 공유 제도화(이익의 보전관리 환원) 등 수 생태계 관리 강화

수 생태계 오염원 관리 강화: 수질 오염원 전수 조사, 수질 관련 통합 오염원 관리체계 구축 등 물 관련 생태계(습지, 계곡, 하천 등) 보호

복원 강화: 훼손된 수 생태계 복원 (예: 사방

인공제방, 훼손지, 폐광지 등), 수 생태계 종

횡적 연결성 강화(회유성 어종 이동경로 조사 및 어도개선, 하천 좌

우안의 생태계 온전성 강화 등), 중요 수 생태계의 특별보호구역 지정 확대 등

나. 지속가능 (해양) 자연자원 보전

관리

SDGs Goal 14의 성취에 기여할 수 있는 분야로 해양오염 실질적 감소

방지, 과학기반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관리, 연안

해양생태계 보전 강화의 3개 과제를 도출하였음

해양오염 실질적 감소

방지

연안

해양 오염원 조사 및 관리 강화(사전예방적 해양환경관리 정착): 항/선착장, 양식장, 생활하수(도서 등), 항로(소음, 진동, 유류 유출) 등의 오염원 조사 및 관리, 오염 저감 방안 시행(오수처리시설, 오염폐기물 수거, 선박/항로 관리(회피/이격, 속도 제한 등), 해양폐기물, 해양산성화, 위해 외래종 등 위협요인 관리 강화 등

훼손 해역 조사 및 복원: 훼손해역 DB 구축

관리, 복원사업 시행 및 영향 모니터링 등 과학기반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관리

해양 생태계 가치 기반 통합자원관리: 자연자원조사/모니터링을 통한 DB 강화, 생태계 서비스(ES) 평가, 해양생물자원/ES 지도화(Mapping), 가치 기반 용도지구(Zoning) 설정, 서식처 유형별 관리(예: 해초류, 산호, 조간대 관리 등) 도모 등 통합자원관리, 해양건강성 평가(지수) 개발 및 적용, IT 기반(VMS(Virtual Managed Service) 등) 통합 관리 체계 구축 등

Ⅵ. SDGs를 반영한 보호지역 분야 추진과제 2. SDGs 관련 보호지역 추진과제

연안

해양 생태계 보전 강화

해양 국립공원 확대: 신규 국립공원 지정(갯벌, 12해리~EEZ 관할해역), 기존 국립공원 해양 면적 확대(공원보호구역 적용) 등 해양 국립공원을 포함한 해양 보호지역이 우리나라 관할 해역의 최소한 10%로 확대에 기여 (연안

해양보호구역(서

동해 접경해역 해양보호구역 등) 지정 및 람사르 습지 등록)

해양국립공원 용도지구 체계 강화: No-take Zone 확대(보호대상 해양생물/서식처), 특별 보호구 지정 확대, 도서자원 관리 강화 등

해양공간 통합관리체계(해양공간계획(MSP) 도입 등) 구축: 과학적 DB 기반 보전정책 강화 (인접해역, 수심별 관리), 수산자원 보호구역의 생태적 관리, TAC(총허용어획량) 제도와 생태계 기반 통합자원관리 활성화 등 지속가능한 어업관리체계 혁신, 해양생태계 보전

관리 인프라 강화 등

다. 자연자원의 지속가능 이용

자연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은 다양한 SDGs 목표(Goal 2, Goal 12, Goal 14, Goal 15)와 관련되어 있으며 환경 친화 생산방식 정착, 농업생물다양성 보전 강화의 2개 과제를 도출 하였음

환경 친화 생산방식 정착

환경친화(지속가능) 생산방식(농업, 어업, 양식업, 자원채취 등) 확산: 환경친화 생산방식에 대한 내용 구체화 및 우수모델 발굴, 환경친화 생산 모델 확산, 친환경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환경

생태 정보 구축 공유(예: 수분 매개 영향 정보 등 기후변화 생태정보의 지역사회 제공) 등

환경친화 생산방식 지원체계 강화: 생물다양성계약, 공원보호협약 등 확대 시행을 통한 유인

지원(Incentive) 제도 활성화, 친환경농산품 인증제(예: 자연愛서) 등 지속가능 생산

판매 지원 등

농업생물다양성 보전 강화

농업 생물다양성 보전

관리 체계 강화: 보호지역 내(인접) 농업(마을) 생물자원 및 생태계 모니터링 시행, 농업 생물다양성 관련 DB 구축 및 공유 플랫폼 구축 운영, 보호지역 내 마을과 농지가 갖는 고유한 특성과 주변 생태계와의 연결성(생태적 기능) 유지

보전 강화 등 전통적 농촌경관 보전

복원: 전통생태자원을 연결한 마을생태축 보전

복원, 마을 생활공간의

생물 서식공간 보전복원, 전통지식에 기반한 마을생태산업 육성, 한계농지, 자투리땅 등을 주민이 자발적으로 보전을 통한 마을생물다양성 유지, 국가중요농업유산, 세계중요농업유산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GIAHS) 등재 등

참고로 GBO-4(Global Biodiversity Outlook4)(’14)와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15)에 따르면 미래 육상생물다양성 감소의 70%가 농업과 연관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라.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기반의 능동적 대응

SDGs Goal 13의 성취에 기여할 수 있는 분야로 기후 관련 위험과 자연재해 회복력 및 적응력 강화, 기후변화 교육, 인식 제고, 인적

제도적 역량 강화의 2개 과제를 도출하였음

Ⅵ. SDGs를 반영한 보호지역 분야 추진과제 2. SDGs 관련 보호지역 추진과제

기후 관련 위험과 자연재해 회복력 및 적응력 강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및 리스크 관리체계 구축: 기후변화 민감 생태계 미기상 관측 및 생태계 영향 모니터링 확대, 기후변화 생태계영향 통합 DB(정보기반) 구축(장기 모니터링 체계), 기후변화로 생태계 변화예측 및 적응 시스템 구축(취약종 생육지 변동 예측, 생태계 유형별 보호전략), 기후변화 취약 종/취약 지역(서식지) 보전관리 강화 등

자연재해 및 재난안전 관리 체계(산불, 폭우, 산사태/낙석, 지진, 병해충 등) 강화: 기후변화, 자연재해 취약지역 위험평가 및 위험지도 작성, 자연재해 취약지역 복원 및 관리 강화, 기후 변화 등 복합 환경재해 관리 강화(재해 상관

인과지도, 복합재해 대응매뉴얼), 기후변화 대응 공원시설 적용기술 정립 및 정비, IT 기반 기후변화 자연재해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등

기후변화 교육, 인식 제고, 인적

제도적 역량 강화

기후변화 관련 인식증진, 교육 프로그램 운영: 기후변화로 인한 생물다양성/생태계 변화에 대한 대국민 홍보, 기후변화 관련 국민 인식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운영 등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 기후변화 적응분야 전문인력 양성 및 관리자 교육 활성화, 기후

변화 적응 자연생태계 관리지침 개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