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캐나다 지속가능발전 전략(2016-2019)
가. 캐나다 지속가능발전 전략의 개요
캐나다의 지속가능발전 전략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우선순위 설정, 목표와 대상 수립, 이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지침 마련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캐나다 지속가능발전 전략의 비전은 세계에서 가장 청정한 국가 중의 하나로 발전하는 것과 국민들의 삶의 질 개선이며, 예방책 마련, 자연
・
사회・
경제적 자원의 생태적으로 효율적인 활용, 투명성과 책임, 공공참여, 조화, 오염원인자 부담, 통합, 세대간 형평성을 주요 원칙 으로 삼고 있음이를 기반으로 SDGs 이행과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캐나다를 만들어가기 위한 13개의 장기 목표를 설정함[그림 5-3]
[그림 5-3] 캐나다 지속가능발전전략 13개 목표
나. 캐나다 지속가능발전 전략의 보호지역 관련 목표
보호지역 관련한 목표는 기후변화에 대한 효과적 조치(Effective Action on Climate Change), 건강한 해안과 해양환경 조성(Healthy Coasts and Oceans), 토지와 산림의 지속 가능한 관리(Sustainable Managed Lands and Forests), 건강한 야생동식물 존속개체군 확보 (Healthy Wildlife Populations), 캐나다 국민들의 자연과의 연결(Connecting Canadians with Nature)의 5개가 있음
기후변화에 대한 효과적 조치를 위해서 전세계적 평균 기온 상승을 2도로 제한하기 위한 저탄소 경제 실현을 장기 목표로 설정하여 2030년까지 캐나다 온실가스 방출량을 2005년 기준 30%까지 감소시키려는 중기 목표를 설정
- 온실가스 방출 규제, 기후변화에 대한 파트너들과의 협업, 기후변화 관련 정책 연구 등을 수행할 예정이며, 또한 각 주별로 기후변화 적응 대책 및 전략을 수립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단계적 이행계획을 추진하고 있음[그림 5-4]
[그림 5-4] 캐나다 주별 기후변화 적응 대책
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국제 이행 여건 3. 캐나다 지속가능발전 전략(2016-2019)
해안과 해양의 건강하고 회복력 있는 생산적인 생태계 지원을 장기 목표로 설정하여 2017년 까지 해안지역의 5%를 보호지역 네트워크로 보존하며, 2020년까지는 10%로 확대해 나가려고 함
- 또한 2020년까지 모든 어류, 무척추동물, 해양식물들을 지속가능하게 생태계 기반 방법을 통해 관리하고자 하는 목표를 수립하고 있음
토지와 산림의 지속 가능한 관리를 위해서 토지와 산림의 생물다양성 지원 및 미래세대를 위한 다양한 생태계서비스 제공을 장기목표로 설정하였으며, 2019년까지 국립공원에서 생태 온전성 지수(Ecological Integrity Indicators) 90% 유지 또는 개선과 2020년까지 캐나다 영토의 최소 17% 보호지역 네트워크 구성을 목표로 하고 있음
건강한 야생동식물 존속개체군 확보를 위하여 모든 종들의 건강과 자립가능성 확보라는 장기 목표와 함께 2020년까지 연방법 내 멸종위기종 개체수의 회복 전략 및 관리계획 목표 달성과 2025년까지 관리중인 철새 종의 59%에 대한 허용가능 범위 내에서 존속 개체수 확보를 중기 목표로 수립하였음
캐나다 국민들의 자연과의 연결을 위하여 국민들에게 자연의 가치 홍보, 자연의 직접 경험과 함께 적극적으로 관리에 참여시키고자 하는 장기 목표 설정
- 2020년까지 2010년 기준 공원 및 녹지공간 등 자연으로의 방문객 수 유지 또는 증가,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에의 참여 증가를 목표로 하고 있음
Ⅲ
SDGs를 반영한 보호지역 분야 추진과제
K O R E A N A T I O N P A R K R E S E A R C H I N S T I T U T E
Ⅵ
Ⅵ. SDGs를 반영한 보호지역 분야 추진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