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북한의 재난대응 능력

Dalam dokumen 북한 재난협력 방안과 과제 (Halaman 61-65)

재난은 재난 자체의 유형과 규모의 심각성도 중요하지만, 재난에의 대 비 여부와 재난 발생 이후 이를 어떻게 처리하고 관리하였는가에 관한 대응 방식, 그리고 재난으로부터의 사회가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 는지가 더욱 중요하다. 북한은 부족한 자원과 취약한 경제력, 사회주의 제도의 경직성 등으로 인해 재난대응 능력이 낮을 뿐 아니라, 재난 발생 이후 사회적 복원력 역시 현저히 떨어진다.102)

개별국가의 인도적 위기 및 재난상황에 대해 객관적이고 투명한 지표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집계된 INFORM의 2017년 결과에 따르면, 북한의 위기 지수는 5.6점으로 전체 조사대상 191개국 가운데 하위 30위에 해당한다.103) INFORM이 제공하는 위기관리지수(Index for Risk Management)는 인도적 위기 및 재난상황의 이해를 도움으로써 재난 감소 및 인류의 복원력(resilience) 구축을 목적으로, 인도주의적 활동과 관련된 유엔 및 비유엔 기구들의 포럼인 기구간상주위원회(Inter-Agency Standing Committee: IASC)와 유럽위원회(European Commission) 의 공동 작업을 통해 만들어진다.104) 2016년 조사에서 북한은 위기지수 4.4점으로 191개국 중 52위를 기록했는데,105) 이번 보고서는 2015년 부터 2017년까지 최근 3년 동안 인도적 위기 및 재난에 대한 북한의 위기 지수가 상승추세에 있음을 지적했다.106)

102) 김병로, “북한의 재해, 기근, 사회적 불평등,” 󰡔재난과 평화󰡕, p. 295.

103) INFORM, “Index for Risk Management Result 2017,” p. 2, <www.inform- index.org>.

104)Ibid., p. 4.

105) INFORM, “Index for Risk Management Result 2016,” p. 2, p. 17, <www.

inform-index.org>.

106) INFORM, “Index for Risk Management Result 2017,” p. 10.

Country Risk 3 YR

Trend Country Risk 3 YR

Trend Country Risk 3 YR

Trend

Afghanistan 7.8 Colombia 5.4 Haiti 6.5

Albania 2.8 Comoros 3.7 Honduras 4.9

Algeria 4.4 Congo 5.3 Hungary 2.1

Angola 4.9 Congo 7.0 Iceland 1.0

Antigua and Barbuda 2.1 Costa Rica 2.9 India 5.7

Argentina 2.5 Cote d…Ivoire 5.7 Indonesia 4.3

Armenia 3.7 Croatia 2.2 Iran 5.0

Australia 2.3 Cuba 2.6 Iraq 6.9

Austria 1.7 Cyprus 2.8 Ireland 1.3

Azerbaijan 4.7 Czech Republic 1.4 Israel 2.8

Bahamas 2.1 Denmark 1.1 Italy 2.6

Bahrain 1.8 Djibouti 5.3 Jamaica 2.5

Bangladesh 5.8 Dominica 3.0 Japan 2.0

Barbados 1.6 Dominican Republic 3.4 Jordan 4.1

Belarus 2.0 Ecuador 4.2 Kazakhstan 2.1

Belgium 2.1 Egypt 4.5 Kenya 6.1

Belize 3.3 El Salvador 5.3 Kiribati 3.6

Benin 4.4 Equatorial Guinea 4.0 Korea DPR 5.6

Bhutan 2.9 Eritrea 5.4 Korea Republic of 1.6

Bolivia 4.0 Estonia 1.0 Kuwait 2.0

Bosnia and Herzegovina 4.1 Ethiopia 6.4 Kyrgyzstan 3.5

Botswana 2.9 Fiji 3.1 Lao PDR 4.3

Brazil 3.4 Finland 0.6 Latvia 1.7

Brunei Darussalam 1.7 France 2.4 Lebanon 5.4

Bulgaria 2.6 Gabon 3.9 Lesotho 4.2

Burkina Faso 5.4 Gambia 3.6 Liberia 5.1

Burundi 6.3 Georgia 3.9 Libya 6.1

Cabo Verde 2.5 Germany 1.6 Liechtenstein 1.1

Cambodia 4.5 Ghana 3.6 Lithuania 1.4

Cameroon 6.2 Greece 2.7 Luxembourg 0.6

Canada 2.5 Grenada 1.3 Madagascar 5.0

Central African Republic 8.4 Guatemala 5.5 Malawi 4.8

Chad 7.7 Guinea 5.0 Malaysia 3.4

Chile 2.9 Guinea-Bissau 4.8 Maldives 2.1

China 4.1 Guyana 3.4 Mali 6.1

0 2.0 3.5 5.0 6.5 10.0

Very low Low Medium High Very high Not included in INFORM

표 Ⅱ-4 2017년 북한의 위기 및 재난 지수

출처: INFORM, “Index for Risk Management: Result 2017,” p. 2.

RANKINFORM RISK 3 YR

TRENDHAZARD &

EXPOSURE3 YR

TRENDNatural HumanVULNER- ABILITY 3 YR

TREND Socio-E conomic Vulner- ability

Vulner- able Groups

LACK OF COPING CAPACITY3 YR

TRENDInstitu- tionalInfrast-

ructure RELIA- BILITY INDEX

Cyprus 120 2.8 1.9 3.0 0.6 4.5 1.3 6.6 2.5 3.3 1.6 2.3

Czech Republic 175 1.4 1.2 2.1 0.1 1.1 0.8 1.4 2.1 3.1 1.0 2.0

Denmark 184 1.1 0.5 1.0 0.0 1.7 0.4 2.9 1.4 2.0 0.8 2.0

Djibouti 37 5.3 4.1 4.9 3.2 5.7 5.6 5.8 6.5 6.2 6.7 3.3

Dominica 113 3.0 2.0 3.6 0.0 3.7 4.1 3.2 3.8 4.6 2.9 5.6 Dominican Republic 100 3.4 4.3 5.7 2.6 2.0 2.6 1.3 4.6 5.5 3.6 0.6

Ecuador 69 4.2 4.8 6.8 1.9 3.5 2.4 4.5 4.3 4.7 3.8 0.7

Egypt 59 4.5 6.3 5.5 7.0 3.3 2.5 4.1 4.5 5.4 3.5 1.8

El Salvador 37 5.3 6.6 6.1 7.0 5.1 3.7 6.2 4.5 5.4 3.4 2.8 Equatorial Guinea 80 4.0 3.1 1.5 4.5 2.9 3.8 1.9 7.2 8.0 6.3 3.2

Eritrea 32 5.4 4.2 4.1 4.3 4.8 5.9 3.5 7.9 8.2 7.5 3.3

Estonia 186 1.0 0.5 0.9 0.1 1.1 1.2 1.0 2.1 3.0 1.0 2.2

Ethiopia 15 6.4 5.6 4.3 6.6 6.7 6.5 6.9 6.9 4.6 8.4 1.9

Fiji 108 3.1 2.4 3.8 0.8 3.5 3.7 3.3 3.7 2.9 4.4 3.2

Finland 189 0.6 0.1 0.1 0.0 1.5 0.7 2.3 1.3 1.6 0.9 2.2

France 139 2.4 2.7 3.8 1.5 2.5 0.9 3.9 2.0 2.8 1.1 1.9

Gabon 83 3.9 3.6 1.9 5.0 2.8 3.0 2.6 6.0 6.6 5.4 1.8

Gambia 95 3.6 1.7 2.2 1.1 5.1 6.3 3.5 5.5 4.9 6.0 1.9

Georgia 83 3.9 3.7 4.5 2.8 4.6 2.9 5.9 3.4 4.6 2.0 2.4

Germany 170 1.6 1.2 2.2 0.1 2.4 0.5 4.0 1.5 2.2 0.7 2.8

Ghana 95 3.6 2.5 2.4 2.6 3.5 4.0 3.0 5.3 4.4 6.1 2.1

Greece 126 2.7 3.9 4.7 2.9 2.2 1.5 2.8 2.4 3.6 1.0 2.1

Grenada 179 1.3 0.3 0.5 0.1 1.9 3.1 0.5 3.8 5.0 2.4 3.7

Guatemala 31 5.5 6.0 6.9 4.8 4.9 4.4 5.4 5.7 6.2 5.2 1.8

Guinea 45 5.0 3.4 2.4 4.2 4.8 5.7 3.8 7.5 6.3 8.4 1.9

Guinea-Bissau 54 4.8 2.3 2.4 2.2 6.0 7.2 4.5 7.8 8.0 7.6 2.6

Guyana 100 3.4 1.8 3.1 0.4 3.9 4.2 3.6 5.5 6.3 4.6 2.6

Haiti 14 6.5 5.4 5.6 5.2 6.7 6.6 6.7 7.5 7.7 7.3 1.9

Honduras 50 4.9 4.9 5.8 3.9 4.6 4.0 5.2 5.2 6.0 4.3 1.3

Hungary 145 2.1 2.7 3.6 1.8 1.6 1.5 1.7 2.0 2.9 1.1 1.9

Iceland 186 1.0 0.7 1.3 0.0 0.8 0.6 0.9 1.9 2.1 1.7 2.6

India 26 5.7 7.3 7.9 6.7 5.4 3.9 6.6 4.8 3.8 5.6 2.7

Indonesia 66 4.3 7.2 7.8 6.6 2.3 2.3 2.3 4.8 4.5 5.1 1.3

Iran 45 5.0 6.3 7.2 5.3 4.2 2.7 5.5 4.7 5.5 3.7 2.5

Iraq 10 6.9 7.7 5.5 9.0 6.0 2.8 8.0 7.0 8.2 5.3 2.2

Ireland 179 1.3 1.0 2.0 0.0 1.2 0.7 1.7 1.8 2.2 1.3 1.9

Israel 120 2.8 4.4 4.3 4.5 2.1 1.2 2.9 2.3 3.3 1.1 2.5

Italy 131 2.6 3.4 5.0 1.3 2.2 1.0 3.3 2.4 3.7 0.9 1.7

Jamaica 135 2.5 2.5 3.7 1.1 1.7 2.5 0.9 3.9 4.3 3.5 3.1

Japan 153 2.0 5.7 8.3 0.6 0.9 0.9 0.8 1.5 2.0 1.0 3.3

Jordan 74 4.1 2.8 3.9 1.5 6.1 3.8 7.7 4.1 5.4 2.6 2.3

Kazakhstan 145 2.1 3.0 4.3 1.5 0.8 1.2 0.4 3.8 5.0 2.4 2.7

Kenya 19 6.1 6.1 4.9 7.0 5.9 4.9 6.7 6.4 5.3 7.3 3.0

Kiribati 95 3.6 1.7 3.0 0.1 4.6 6.1 2.7 6.0 6.2 5.8 4.3

Korea DPR 30 5.6 5.1 4.8 5.3 5.0 5.0 5.0 6.9 8.8 3.4 4.0 Korea Republic of 170 1.6 3.7 5.2 1.8 0.6 0.8 0.4 1.9 2.5 1.3 2.8

Kuwait 153 2.0 1.4 2.3 0.4 1.7 2.4 0.9 3.5 5.2 1.4 2.0

Kyrgyzstan 98 3.5 4.7 5.9 3.2 2.1 3.0 1.0 4.5 5.4 3.4 1.6

Lao PDR 66 4.3 3.9 4.7 2.9 3.2 4.2 2.0 6.2 6.4 6.0 1.7

Latvia 164 1.7 1.3 2.3 0.2 1.3 1.6 0.9 2.8 3.8 1.6 2.3

표 Ⅱ-5 2017년 북한의 위기・재난 순위 및 분야별 지수

출처: INFORM, “Index for Risk Management: Result 2017,” p. 23.

보다 세부적으로 이 보고서는 북한의 재난대응능력(Lack of Coping Capacity)에 6.9점을 부여하였는데, 이는 191개국 중 하위 28위에 해 당한다. 재난대응능력은 10점 만점으로 10점에 가까울수록 재해대해능 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밖에 북한은 위험노출(Hazard &

Exposure) 지수 5.1점, 지진, 홍수, 가뭄으로 구성된 자연환경 지수 4.8점, 취약성 5.0점, 사회경제적 취약성 5.0점, 취약계층 5.0점, 제도 8.8점, 인프라 3.4점, 신뢰성 4.0점을 받았다.107) 한편 2017년 위기관리지수 보고서에 한 가지 주목할 필요가 있는 점은 북한이 제도 분야에서 8.8점의 상당히 낮은 점수를 받았다는 부분이다. 이는 북한의 법제 정비와 재난 관련 기구 마련에도 불구하고 관련 기구들 간의 거버넌스가 제대로 작동 하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하여 북한은 정부 통치와 법치, 청렴도를 평가한 세계 거버넌스 지수(World Governance Indicators)에서 전 세계 최하위 수준으로 평가된 바 있다.108) 이는 북한의 재난대응능력이 제고되기 위해서는 북한 내의 부패, 거버넌스, 법치가 전반적으로 개선 되어야 함을 말해준다.

사회재난과 관련하여 감염병에 대한 위험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발표한 2016년 “세계결핵보고서”에서는 북한을 결핵 부담과 다제내성 결핵 부담이 높은 30개 국가 중 하나로 선정 하였다. 특히, 북한은 결핵 발생건수 상위 20개 국가와 다제내성 결핵환 자 수 상위 20개 국가 순위에 모두 포함되었다.109) 말라리아의 경우, 세

107) IMFORM, “KOREA DPR, Eastern Asia, INFORM Country Risk Profile, Version 2017,” <www.inform-index.org/Portals/0/Inform/2017/country-profiles/PRK.

pdf.>. 이와 관련하여 다음 언론기사 참조. “북 재해관리능력 전년보다 하락,” 󰡔자유아 시아방송󰡕, 2017.08.01., <www.rfa.org/korean>; “유엔・EU, 북한 인도주의 위기 위험성 세계 30위,” 󰡔미국의소리󰡕, 2017.08.04., <www. voakorea.com>.

108) “FAO, 북 위험관리지수 세계 하위 27%,” 󰡔자유아시아방송󰡕, 2017.07.27., <www.rfa.

org/korean>.

109) 신희영 외, 󰡔통일 의료: 남북한 보건의료 협력과 통합󰡕, p. 95.

계보건기구(WHO)는 지난 15년간 전 세계 34개국의 말라리아 퇴치사 업을 전개하였으며, 이 성과에 따라 퇴치 전(pre-elimination), 퇴치 (elimination), 재출현 예방(prevention for reintroduction), 박멸 (malaria free)의 4단계로 분류하는데 북한은 퇴치 전 단계에 속하고 있 다.110) B형간염은 바이러스성 감염에 의한 간 손상으로 급성, 만성 간질 환과 간경변 및 간암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111) 제1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북한지역에서의 실질 적인 B형간염 유병률은 높게 나타고 있다. B형간염 유병률이 높은 개발 도상국일수록 산모와 태아 간의 수직감염이 B형간염 전파의 주요 경로로 파악되고 있는데112) 2010년 북한이탈주민 조사 결과 7.5%의 소아가 표면 항원(HBsAG) 양성 산모에게서 태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113)

Dalam dokumen 북한 재난협력 방안과 과제 (Halaman 6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