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구방법 및 구성

Dalam dokumen 북한 재난협력 방안과 과제 (Halaman 32-35)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북한 재난과 관련한 문헌연구를 기초로, 전문가 자문, 국내외 실무자 간담회를 통해 진행되었다. 북한 재난 발생 현황 및 대응체계는 북한 재난에 관한 국제 인도기구의 통계자료 및 국내외 언론, 북한의 주요 재난 관련 법규 및 조선중앙통신 및 로동신문의 북한 원문 자료를 참고했다. 국제사회와의 협력 현황에 있어서는 유엔인도지원조 정국(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UNOCHA) 및 국제적십자사연맹(IFRC)의 공개자료, 북한지원에 관한 주요 국내외 논문 등을 참고했다. 남북협력에 있어서는 통일부 및 관련 부처의 자료,

38) 관련 연구로는, 윤기돈, “북핵 시설의 재난 가능성과 핵 위험의 이해,” 민족화해협력범 국민협의회, 󰡔북한의 자연재해와 재난, 남북협력을 모색한다󰡕(민화협 긴급 정책토론 회 자료집, 2011.05.26.), pp. 48~59.

39) 관련 연구로는, 정기웅, “백두산 화산재해와 북한 급변사태에 관한 소고: 주변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18권 제4호 (2014), pp. 233~254; 박정란・강 동완, “백두산 화산 폭발에 의한 탈북: 향방과 대비,” 󰡔국방연구󰡕, 제54권 제3호 (2011), pp. 81~104.

관련 분야의 선행연구 등을 참고했다.

이 보고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장인 서론에서는 먼저

‘재난’ 및 ‘재난관리’의 개념 및 범위를 검토함으로써 전반적인 연구의 범위를 제시하도록 한다. 제2장에서는 북한의 재난 발생 현황 및 대응체 계를 분석・평가한다. 북한의 재난 발생 유형 및 특징을 자연재난, 사회재난, 복합재난 및 기후변화의 영향을 통해 살펴보고, 북한의 재난 관련 법제 및 기구 현황을 현재 수집 가능한 법규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국제적인 재난 지표를 통해 북한의 재난대응 능력을 살펴보고, 북한 문헌(로동신문 및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북한의 내부적인 재난대응 사례를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국제적 차원에서의 북한 재난협력 방안과 과제를 살펴본다.

먼저 재난협력에 관한 국제원칙과 재난 관련 협력 의무의 내용을 이론적 으로 검토한 뒤 유엔 및 재난대응 인도적 기구의 역할을 살펴본다.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재난협력 사례를 통해 국제적 협력방안을 위한 시사점 을 도출하고, 국제사회의 재난협력의 주요 영역을 살펴봄으로써 국제적 차원의 북한 재난협력 과정에서의 대한민국 역할을 모색한다. 제4장에 서는 남북한 차원에서의 북한 재난협력 방안과 과제를 살펴본다. 먼저 남북한 재난협력의 필요성 및 근거를 살펴보고, 기존의 남북한 재난협력 사례 및 동서독 사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남 북한 재난협력의 기본방향 및 분야별 지원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 북한 재난 발생 현황 및

Dalam dokumen 북한 재난협력 방안과 과제 (Halaman 3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