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선원 교육(S2)
세월호 사고 시 선원의 교육훈련 미흡으로 위험을 초래하였다. 비상훈 련 부족으로 긴급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 부족, 장비조작 미숙에 대해 평가하였다.
3) 안전관리제도(S3)
운항규정이 있었음에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고, 관리감독 기관도 부적 합한 승인 및 검사를 실시하여 근본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4) 승객/화물 관리(S4)
긴급 상황시 승객에 대한 안내 및 대응 부적절, 화물의 고박 배치 점검 미흡 등의 요인으로 승객에 대한 불안감을 가중 시켰다.
5) 기타 요인(S5)
여객선 이력관리가 미흡하였고, 구조 대응에 대한 치명적 문제가 발생 하였다.
이러한 5가지 요인에 따라 사고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도표화 하면 Table 48과 같다.
안전등급표시(Ⅰ이 가장 위험, Ⅴ이 가장 안전)
CO DE
평가
항목 세부 평가항목
안전등급
Ⅰ Ⅱ Ⅲ Ⅳ Ⅴ 합계
S1
선박 안전 (선체)
S-1-1. 선체 (구조 및 외부 상태) ✔
S-1-2. 기관설비 (시운전 및 작동상태) ✔ S-1-3. 항해장비 (통신/조타장비 등) ✔ S-1-4. 구명설비 (구명/구조정 관리) ✔
S-1-5. 소방설비 (화재경보기/소화펌프 등) ✔
S1 Total 0.8 0.6 1.6 3.0
S2 선원 교육
S-2-1. 선사, 운항관리자 위탁교육 여부 ✔
S-2-2. 선원의 법정교육 이수 여부 ✔
S-2-3. 선내 비상훈련 실시 및 기록 여부 ✔ S-2-4. 항해 중 주요 보고에 관한 사항 ✔
S-2-5. 의사소통(선원 국적) 문제 ✔
S2 Total 0.4 1.8 0.8 3.0
S3
안전 관리 제도
S-3-1. 운항관리자의 안전관리 적절성 ✔
S-3-2. 안전관리 전담 인력배치 ✔
S-3-3. 입출항 점검 기준 ✔
S-3-4. 운항관리 규정 준수 여부 ✔
S-3-5. 운항해역 특성 파악 ✔
S3 Total 0.8 1.8 2.6
S4
승객 안전 관리
S-4-1. 여객명부, 화물목록 등 서류 ✔
S-4-2. 여객정원의 확인 및 준수 ✔
S-4-3. 화물 적재 관련 시설 ✔
S-4-4. 여객준수사항 전달 여부 ✔
S-4-5. 승객 특성별 안전조치 ✔
S4 Total 1.2 0.6 0.8 2.6
S5 기 타
S-5-1. 여객선 보험 가입 여부 ✔
S-5-2. 여객선 이력관리 ✔
S-5-3. 보안사고 대비 ✔
S-5-4. 사후관리 ✔
S-5-5. 불가항력 ✔
S5 Total 0.4 0.6 2.4 3.4
Table 48 2014(MV Sewol) Safety Management Evaluation Table
2014년 세월호의 평가표에 따른 계산결과는 Table 49와 같다. 2014년을 전후로 전체 여객선 사고에서 5개 요소별 사고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 는 해양사고 유발요인 변수 C(Si)를 산정하였으며, 안전관리제도 확립변수 는 안전관리제도가 도입되었으나 제도의 적용이 미비한 제도 도입기로 산출표에 의거 안전관리제도 변수 U(Si)의 가중치가 0.05로 반영되었다.
요소 수식
선박안전 S1
선원교육 S2
안전관리제도 S3
승객관리 S4
기타 S5
C(Si) (A) 0.11 0.80 0.01 0.04 0.04
U(Si) (B) - - 0.05 - -
α
n C= [0.2×(A+B)]0.022 0.160 0.012 0.008 0.008
∑(S1~S5)
(D) 3.0 3.0 2.6 2.6 3.4
S.I
(C*D) 0.07 0.48 0.03 0.02 0.03
1993년 안전관리평가지표 S.I(∑S.I) 0.63 비교 지표
2014년 여객선 등록 척수 Np = 223
2014년 여객선 사고 척수 Na = 51
2014년 여객선 등록 척수대비 사고비율
Ra = 0.219
Table 49 Calculation of S.I of the MV Sewol
평가표에 의한 점수는 5.0점 만점에 각각 S1_선박안전(3.0), S2_선원 교육 (3.0), S3_안전관리제도(2.6), S4_승객/화물관리(2.6), S5_기타요인(3.4)으로 평가되었다.
가중치를 반영한 안전관리평가지표는 1.0만점에 0.64점으로 계산되었고, 2014년 선박등록 척수 대비 해양 사고 비율인 Ra지수는 0.22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