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 지식이라고 일컬어진 것들은 온전한 지식이 아니라면 참된 지 는 어떻게 가능한가? 왜 장자는 진지 이전에 진인의 존재에 대해 말을 했는가? 그렇다면 우리는 진인은 어떠한 존재인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장자』에는 깨달음을 얻은 자의 자유분방하고 역동적이며 긍정적 인 태도가 비유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진인은] 장차 조물자와 벗 삼다가 싫증나면 또 저 큰 새를 타고 천지 바깥 으로 나가 무하유(無何有)의 곳에서 노닐다가 끝없이 넓은 들판에서 산 다.181)
[진인은] 자연의 본성을 타고 온갖 기운의 변화를 거느려 무궁의 세계에서 노니는데 무엇에 의지하겠는가!182)
막고야 산에 사는 신인(神人)은 …… 오곡을 먹지 않고 바람을 마시고 이슬 을 먹으며 구름을 타고 비룡을 거느려 사해 밖에서 노닌다.183)
[진인은] 구름을 타고 해와 달을 몰아 사해 밖에서 노닌다.184)
장자는 깨달은 자를 진인(眞人), 지인(至人), 신인(神人), 성인(聖人)으 로 일컫는다.185) 그들은 마음이 편안하기 때문에 어디에서든지 자신의 몸을 뉘일 수 있고 그들의 행동은 자유자재하며 거리낌이 없다. 위와 같 은 구절은 깨달음을 얻은 자의 샘솟는 역동성과 생명력을 엿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요하는 사람에 대한 묘사가 중인(衆人)이 보기에는 허풍에 불과하여 말이 되지 않는다고 여길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를 진인이 현 실에서 기상천외하고 신비한 요술을 부리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치언(巵言)의 용례를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무엇에도 얽매이지 않은 진인의 자유로운 마음이 곧 구름을 타고 새를 타며 용을 부리는 모습으
181) 予方將與造物者為人,厭則又乘夫莽眇之鳥,以出六極之外,而遊無何有之 鄉,以處壙埌之野.「응제왕」
182) 若夫乘天地之正,而御六氣之辯,以遊無窮者,彼且惡乎待哉!「소요유」
183) 藐姑射之山,有神人居焉……不食五穀,吸風飲露. 乘雲氣,御飛龍,而遊乎 四海之外.「소요유」
184) 若然者,乘雲氣,騎日月,而遊乎四海之外.「제물론」
185) 노자가 묘사한 이상적인 인간상은 천진무구하여 아무런 목적의식도 갖지 않는 ‘갓난아이’였지만 장자는 다르다. 그는 지인이나 진인, 신인과 같은 최 대로 성취된 인간을 인간으로 내세웠다. 그러한 인간은 노자가 요구하는 자 연에 순종하는 종속적인 인간이 아니라, 조물자와 벗하고 천지 정신과 교류 하며 자연을 생명 향유의 장으로 삼는 인간이다. 김충열, 앞의 책, 251쪽.
로 비유된 것이다. 특히 깨달음을 얻은 자는 외적인 면에 마음 쓰는 바 가 없으므로 무엇에 의해서도 다치지 않는다는 점이 아래에 잘 표현되어 있다.
[지인(至人)은] 어떤 것도 이길 수 있어 다치지 않는다.186)
어떤 사물로 지인을 다치게 하지 못하여 홍수가 범람하여 하늘에 이르러도 그를 빠뜨리지 못하고 큰 가뭄에 쇠와 돌이 녹아 흐르고 땅과 산이 불타더 라도 뜨거워하지 않는다.187)
지인은 신과 같아 큰 못가의 숲이 불타올라도 그를 뜨겁게 하지 못하고 황 하와 한수가 얼어붙어도 그를 춥게 하지 못하고 사나운 천둥이 산을 깨고 바람이 바다를 흔들어대도 그를 놀라게 할 수 없다.188)
진인(眞人)은 높은 곳에 올라가서도 두려워하지 않고 물속에 들어가서도 젖지 않고 불 속에 들어가서도 뜨거워하지 않는다.189)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져도 진인은 근본을 잃지 않는다.190)
위와 같은 문구 또한 치언(巵言)의 용법을 상기시키며 해석해야 하지, 진인(眞人)이 실제로 깊은 물속과 뜨거운 불 속에 들어갔는데에도 아무 런 외상을 입지 않으며 육체적 고통을 호소하지 않는다고 단편적으로 이 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만큼 이들은 어떠한 외부적인 요건에도 불구 하고 다른 곳에 일거수일투족 마음을 쓰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설 령 다리를 하나 잃었다고 할지라도 사람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연이 그렇 게 되게끔 한 것이라고 진인은 담담하게 말한다.191)
186) 故能勝物而不傷.「응제왕」
187) 之人也,物莫之傷,大浸稽天而不溺,大旱金石流土山焦而不熱.「소요유」
188) 至人神矣:大澤焚而不能熱,河漢沍而不能寒,疾雷破山風振海而不能驚.
「제물론」
189) 若然者,登高不慄,入水不濡,入火不熱.「대종사」
190) 雖天地覆墜,亦將不與之遺.「덕충부」
191) 是何人也?惡乎介也?天與,其人與? 曰 天也,非人也. 天之生是使獨也.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진인과 같이 편안한 마음으로 소요할 수 있는가 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앞에서 지적한 듯이 인식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 에 없으면서도, 어떻게 하면 좌절하지 않고 한계를 돌파하여 다른 것에 의해 개인의 몸과 마음이 상하지 않은 사람이 될 수 있다는 말인가. 이 지점에서 인식의 문제가 개체 인간의 수양에 대한 문제로 전환되어야 함 을 장자는 시사하고 있다. 인식론의 한계를 깨달을 수 있는 주체는 인간 이고, 높은 정신적 경지에 도달할 수 있는 주체 또한 결국 인간이다. 전 국시대의 학파들은 각자 자신이 옳다고 주장하는 해결 방식으로만 전국 시대의 난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보았으나, 서로의 옳음을 주장하기 전 에 먼저 해야 할 것은 자신의 내면에 대한 성찰과 수양을 통해 도와 일 치하는 참된 인간이 되어 있느냐는 것이다. 이는 곧 본인의 자각에서 시 작된다. 생명이 유래한 도로 되돌아가는 데에는 여전히 자각을 통해야 하며 자각에서 나온 공부를 통해서야 비로소 육체의 제한을 돌파하여 그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192) 개인의 인격적 수양을 통해 이상적인 경지에 도달하여 시비의 다툼마저 승화시키는 인격의 위치에 오르는 것이 어지 러운 세상을 극복할 수 있는 시급하면서도 본연적인 과제이다.193) 따라 서 인식에 대한 한계로 인해 인식론적 회의주의나, 나아가 인간이 할 수 있는 것은 없다는 윤리적 회의주의로 빠지지 않는다는 점이 장자 철학의 고유한 특색이라고 볼 수 있다.
장자가 이상적 경지에 오른 인간을 계속하여 주인공으로 등장시킨 이 유 또한 마찬가지이다. 수양의 최고의 단계에 오른 진인(眞人), 지인(至 人), 성인(聖人), 신인(神人)뿐만 아니라, 허유, 남곽자기, 왕예, 포정, 안
「양생주」
192) 徐復觀, 앞의 책, 127쪽.
193) 이강수는 수양의 방법을 ‘역추공부’로 일컫는다. “사람의 성품은 물질세계 에서 육신과 물질의 영향을 받아 마치 진흙 속의 진주처럼 구정물에 물들어 있다. 그러한 성품을 맑게 하여 본연의 성품을 되찾는 것을 성수반덕(性修反 德)이라고 한다. 성수반덕은 일종의 역추(逆推)공부이다. 그 공부는 형(形)→
성(性)→덕(德)의 환원과정을 거쳐야 하니, 이 과정은 천지만물의 근본인 도 로부터 사람과 만물이 기원하게 된 존재 순서를 역으로 돌이켜 가는 것이 다.” 이강수, 『노자와 장자: 무위와 소요의 철학』, 146쪽.
회에게 심재를 말하는 공자, 거백옥, 지리소, 왕태, 신도가, 여우, 호자 등 과 같은 인물 모두 내적 수양이 지극한 경지의 사람이다. 장자가 이들을 내세우는 이유는 성심을 가진 개인들이 서로 얼굴을 붉혀 가며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논쟁하는 것보다, 자신의 내면을 갈고 닦아 성숙한 인간 이 되는 것에 집중해야 함을 보여주려고 하는 것이다.
깨달은 자는 도(道)를 자신의 몸에서 체득(體得)하여 그것을 구현한 인간이다. 즉 도를 궁극적 실체로 대상화하여 인식하려는 것도 아니요, 옳고 그름의 기준이 무엇인지를 묻고 따지며 판별하는 것에 애를 쓰는 것도 아니다. 생명을 가진 인간이 스스로의 내면의 갈고 닦아 도와 일치 하는 위치에 올라 인간과 도의 경계가 전혀 없는 경지에 오르는 것이 먼 저인 것이다.194) 다시 말해 시비선악(是非善惡)을 절대적으로 분별할 수 있는 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해 찾으려 하기 이전에 먼저 자기 자신을 돌 이켜 마음이 충분히 닦여 있는지를 장자는 묻고 있는 것이다.
남을 통치해야 하는 위치에 있는 자도 내성(內聖)이 먼저이다. 어떻게 백성을 다스려야 이상적인가를 논쟁하기 이전, 다스리는 위치에 있는 사 람일수록 본인의 내적 완성이 우선이다. 타인에게 영향을 주기 이전에 자신의 마음을 먼저 닦아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장자는 외왕(外王) 이전 의 내성(內聖)을 중시한다.195) 내성은 자신의 마음이 도와 합일된 경지에 이르고 있는지를 계속해서 반성해나가는 것에 해당한다. 아래의 글귀는 모두 내성이 먼저이고 외왕이 그 다음 순서임을 보여주는 구절이다.
194) 장자는 ‘진지’를 이룰 수 있는 선재적 조건을 지식론 차원에서 말하지 않 고 인격적 차원에서 말하고 있다. …… 장자는 여기서 생명력의 구체적 실현 자인 ‘주체’의 성숙을 지식을 완성하는 전제 조건으로 보고 있다. …… 이 인 격적 성숙이 전제되어야만 지식의 상대적 분산을 자기 내적인 생명력과 갈 등을 빚지 않게 통일적으로 받아들여서 삶을 질적으로 고양시키고 자유로운 인격을 완성할 수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최진석, 『저것을 버리고 이것 을: 최진석의 노장 철학 독법』, 「지식은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가」, 고양:
소나무, 2014, 73쪽-74쪽.
195) ‘내성외왕(內聖外王)의 도(道)’는 장자 「천하」편에 등장한다. 유가에서 더 자주 인용되는 ‘내성외왕’은 노장학과 유학 모두 모두 백성의 통치 이전 에 본인의 수양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