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스마트그리드 위험에 대한 불안 축소

국가 차원에서 스마트그리드 인식이 올바르게 잡힐 수 있도록 스마트 그리드 용어와 관련하여 포괄적인 차원의 조정역할이 중요하다.

또한 정보의 과장이 없어야 하는데, 소비자들의 기대심리를 높이기 위해 정보를 과장하여 전달할 경우, 사용시점 이후 높은 기대감을 만 족시키지 못하고 실망감을 증폭시킬 수 있다. 기대와 만족은 상호 피 드백 관계에 놓여 있는데, 초기부터 지나친 기대감을 심어 스마트그리 드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확산하기보다는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바 탕으로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2. 스마트그리드 위험에 대한 불안 축소

은 짧다고 볼 수 있다(ERMWG, 2011).

그러나 소비자들은 스마트미터 전자파의 장기적 건강 영향을 걱정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이러한 걱정의 목소리가 높지 않지만, 미 국의 경우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일리노이즈 등 지역을 중심으로 형 성된 스마트미터 설치 반대 단체들이 스마트미터가 휴대폰과 비슷한 전자파를 발생시키며 안전성이 검증되고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 리고 일부 사람들은 스마트미터의 전자파로 두통에서부터 암 발병 위 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강조한다(Gigaom, 2012). 어떤 소비자들은 스 마트미터가 인간 건강에 부정적 영향이 없다는 것이 완벽하게 증명되 기 전까지는 스마트미터를 설치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ERMWG, 2011).

이러한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스마트미터 보급업체 또는 전력 사업자가 투명하고 전향적으로 이 문제에 대응해야 한다. 규제 차원에 서는 설치됐거나 설치될 모든 스마트미터가 적정 전자파 기준을 충족 하고 있음을 점검하고 확인해야 하며, 사업자가 스마트미터 전자파와 관련하여 소비자들의 불안을 해소하려는 최소한의 노력에 관한 기준 또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나. 기기오작동 및 성능저하 우려 축소

스마트그리드 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자파 우려보 다는 영향력이 작았지만 기기오작동 및 성능저하 우려도 주요 요인으 로 인식되었다. 기기오작동 및 성능저하 우려 사례로 스마트미터의 전 력소비량 과다 측정이나 과열 및 화재 발생 관련 소비자 우려를 들 수 있다.

스마트미터 보급 진척속도가 빠른 북미의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소 비자들의 불만과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스마트미 터 설치 이후 전기요금이 급상승한 가구에서 스마트미터의 측정 신뢰 성에 대해 의문을 품고 소송까지 제기하는 사례가 발생하였으며, 여러 소비자단체에서 스마트미터 측정 오류의 가능성을 문제 삼고 있다. 또 한 일부 스마트미터 보급 지역에서 스마트미터의 과열 및 화재발생도 문제시되고 있다.25)

이와 같은 사건사고에 있어 아직까지는 스마트미터가 문제의 직접 적인 원인이라고 밝혀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이 러한 소식으로 인해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형성되고, 과 장된 소문이 근거 없이 사실인 것처럼 사람들 사이에 빠르게 퍼지는 현상(Urban Legend)이 나타날 수 있다.

아직 국내에서는 이러한 우려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지 않 다. 그러나 이번 연구조사 결과 국내 소비자들도 마음속으로 스마트그 리드 기기오작동 및 성능저하에 대한 우려를 갖고 있고, 이러한 우려 가 스마트그리드 위험 인식을 높이며 다시 사용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소비자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스마트그리드 기기가 제조공장을 나오기 전에 엄격한 시험과정을 거치며, 규제기관에서 그 검증을 확인하고, 기기 설치에 앞서 전력회사가 재검증을 하고 있음을

25) 미국 필라델피아 지역 전력사업자 PECO는 2012년 8월 중 자사가 설치한 186,000 대의 스마트미터 중 약 15대가 과열되는 현상이 나타났고, 그 중 1대는 불이 났다고 보도하였다. 이 사건으로 PECO는 스마트미터 설치사업을 중단하고 심 층 조사에 들어갔다. 캐나다 전력회사인 BC Hydro 역시 비슷한 문제에 직면해 있는데, British Columbia에서 5년간 일반 가정에서 전기적 오작동으로 480건의 화재가 있었고, 그중 약 22건이 계량기와 배전반에서 발생하였다(Greentech Media, 2012.8.28).

투명하게 알려야 한다. 그리고 혹시 일어날 수 있는 문제 발생 시의 충분한 변상절차에 대해서도 알려야 한다.

다. 사이버보안 위협 인식 축소

스마트그리드 위험 인식을 줄이기 위해서는 스마트그리드 정보 보 호 및 사이버보안에 대한 강화도 중요하다. 과거의 전력망에서는 소비 자들의 정보보호 및 사이버보안 위협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력 망에 정보통신기술이 결합되는 스마트그리드 상에서는 방대하고 세부 적인 소비자 정보가 유통되고 사이버해킹 위협이 높아지면서 스마트 그리드 보안의 강화가 필수 과제가 되었다.

사이버보안에 관한 소비자들의 문제제기로 스마트미터 의무보급 정 책이 자율보급 정책으로 전환되는 사례를 볼 때, 스마트그리드 소비자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안전한 스마트그리드의 구축 및 이용을 위한 대안이 사전에 마련되고 공유될 필요가 있다. 은행, 신용카드회사, 통 신회사 등이 소비자 정보를 온라인상에서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과 같 이, 전력산업도 소비자 정보를 같은 수준으로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 음을 신뢰할 수 있게 해야 한다.

특히 제도적 차원에서 소비자 데이터의 소유권, 접근권한, 사용권한 이 명확히 제시돼야 한다. 그리고 소비자 데이터의 보안 및 프라이버 시를 보장하는 주체를 명확히 설정하고, 소비자 데이터를 보안 리스크 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사업자의 활용 및 공유 방식을 차별화할 필요 가 있다. 즉, 데이터 출처, 잠재적 위험, 누가 어떤 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는가에 근거하여 에너지소비 정보를 분류하고, 각 데이터 범 주별로 구체적인 프라이버시 지침을 만들 수 있다. 스마트그리드에 의

해 수집된 데이터 사용에 대하여 소비자에게 알리고, 프라이버시 관심 이 큰 영역에 대한 접근에 있어 소비자의 승인을 요구함으로써 그 위험 을 보다 낮출 수 있게 된다(김현제, 박찬국, 2011; 김현제 외, 2012:

100).

3. 스마트그리드에 관한 사회적 소통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