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조사 방법 및 실증 분석
1. 조사 방법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나. 자료 수집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수집 방법으로 대면면접조사
(personal interview) 방식을 이용하였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모집단은
부산, 인천, 대구 거주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이며, 표본은 300명이다.
표본은 2012년 4월 30일 주민등록인구현황에 따라 성별, 연령별, 지 역별 인구구성비에 맞게 추출하였다.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
의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집오차가 ±5.7%이다. 조사기간은 2012 년 6월 4일~21일 18일간이며, 조사기관은 ㈜한국리서치이다.
본 연구는 설문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최종 설문에 앞 서 예비조사(pilot test)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한국리서치의 패널
6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예비조사의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지의 문항을 부분 조정하였다.
실제 설문에서는 대면면접을 통해 총 30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 며, 결측값이 많거나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된 설문지 45부를 제외하 여 최종적으로 총 255부의 설문지가 실증분석에 활용되었다.
다. 자료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7점 리커드(Likert) 척도를 사용하였 다. 스마트그리드 사용 관련 질문에 대한 응답에서 “전혀 그렇지 않 다”는 1, “매우 그렇다”는 7로 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징에 대해서는 기술통계분석
(Descriptive Statistics)을 이용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설정한 스 마트그리드 수용성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SPSS 17.0과 AMOS 17.0을 활용하였다.
일단 스마트그리드 수용성 관련 요인별 측정변수가 적절하게 설계되 고 응답되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는데, 설 문자료가 요인분석에 적합한지를 보기 위해 Bartlett(바틀렛)의 단위행 렬을 점검하였다. 이를 위해서 Bartlett 검정과 Kaiser-Meyer-Olkin(KMO) 의 표본적절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요인추출모형으로는 주성분분석 (PC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방식을 활용하였으며, 요인회전 방법으로 직각회전 방식 중 배리맥스(Varimax)방식12)을 이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마치고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은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13)과 경로분석(Path Analysis)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 다.14)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은 크게 1단계 분석법과 2단계 분석법으로
12) 배리맥스 방식은 요인분석의 목적이 각 변수들의 분산구조보다 각 요인의 특성 을 알고자 하는 데 있어 보다 유용하다. 이 방식은 요인행렬에서 열의 요인부 하량을 제곱한 값의 분산을 최대화하여 각 요인을 쉽게 설명하는 방법이다. 열 에서 1 또는 0에 가깝도록 하여 최대한 단순화한다. 즉, 요인행렬에서 요인부하 량의 분산 합을 최대화하는 방법으로 요인들의 구분을 가장 분명하게 해 준다 (김계수, 2008: 201).
13) 요인분석은 크게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 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로 구분된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이론상으로 체 계화되거나 정립되지 않은 연구에서 연구의 방향을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인 목 적을 갖고 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은 기존 연구의 이론이나 경험적인 연구결 과로부터 분석대상이 되는 변수에 관한 사전지식이 이론적 결과를 가지고 있어 그 내용을 가설형식으로 모형화하기 위한 분석이다(김계수, 2008: 195-196).
14) 확인적 요인분석은 측정모형분석(measurement model analysis), 경로분석은 구 조모형분석(structural model analysis)으로 부르기도 한다.
구별된다. 2단계 분석법은 확인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형의 오류를 수정한 후 경로분석을 실시하는 것이다. 1단계 분석법은 확인요인분 석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경로분석을 한다. 현재 학계에서는 2단계 분 석법이 많이 활용된다(김대업, 2008).
2. 실증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