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ᅳ 84

중국과 일본의 경우 숙박 요소는 약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미국의 경우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ᅳ 85

개별관광객이 언어소통의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관광안내서비스의 증진, 외국어가 되어있는 표시판의 증가가 필요하다.

그리고 인터넷에서 한국관광정보를 입수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한국의 관광정보가 인터넷으로 통해 홍보하는 것이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 중국인 관광객의 여행동기와 여행활동 1위는 쇼핑이다. 쇼핑의 편리성과 서비스 제공을 강화하는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의 국가이미지 제고에서 대중교통, 숙박, 음식, 쇼핑, 관광지매력도, 관광안내서비스, 언어소통, 여행경비, 치안 등 관광요소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국인 관광객이 한국에 대한 이미지 제고에서 음식과 관광지매력도 위주로 개선하여야 한다.

실증분석에서 음식과 관광지매력도는 국가이미지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중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지역에서 중국 사람들의 입맛에 맞는 음식을 개발하고, 식당 메뉴에 선택 종류를 증가하고, 메뉴판에 중문이나 사진을 기재하는 방법들은 중국인 관광객들이 음식에 대한 만족도가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그리고 관광지매력도 방면, 한국의 아름다운 풍경을 즐길 수 있는 관광 코스의 개발, 한국의 독특한 문화를 즐길 수 있는 관광활동의 개발, 관광지 언어서비스의 제공, 관광지 인프라의 제고 등 방안이 관광지매력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넷째, 국제관광객의 나라간 차이점과 비슷한 점을 인식하는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한국의 3대 관광시장인 중국인, 일본인, 미국인 관광객이 관광과정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밝혔다. 국가이미지의 영향관계에서 세 나라가 다 음식 요소가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국가이미지를 제고시키는 데 음식이 중요시해야

ᅳ 86

한다. 식당에서 외국인들이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메뉴판에 외국어이나 사진이 들어가는 것이 외국인 관광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 음식 체험활동, 한국음식 홍보활동, 예를 들면, 외국인 김치 만들기 교실 등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본인과 미국인 관광객들이 한국 국가이미지 평가에서 치안 만족도도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치안은 세계에서 아주 높은 수준이지만 범죄 현상이 계속 나오고 있다. 치안은 절대 소홀하면 안 되는 부분이다. 특히 근년에 실업률과 자살률이 높은 상황이며 사회에서 불안정 요소가 많다. 국가이미지에 강한 영향력을 주는 치안 요소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 차이점에는 중국과 일본의 경우 숙박 요소는 국가이미지에 약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미국의 경우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인이 많이 찾는 숙박 지역에 미국인의 요구에 맞는 수박시설 개선이 필요하다.

나라별로 맞추는 관광정책이 만들면 만족도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국가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본 연구에서 활용된 설문조사는 문항이 적으며, 인터뷰는 간략하므로 외래관광객에 대한 일반적이고 표면적인 관광자료만 수집하였다. 하지만 관광과정은 복잡하는 것이며 더 구체적인 상황을 파악해야 관광객을 잘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듯이 국가이미지는 다양한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ᅳ 87

연구는 관광이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만 연구하므로 국가이미지의 전체적인 영향요소를 파악되지 못한다.

따라서 향후 더 구체적인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고 외래관광객을 자세히 분석하여야 한다. 그리고 관광 밖에 다른 분야를 연구하고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요소를 파악하고 국가이미지 제고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ᅳ 88

참고문헌

국내문헌:

곽엄(2013). 중국인 관광객의 관광자원 선호도, 만족도 및 행동의도 간 관계-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도훈김지흔(2015).국가 이미지와 관광목적지 선택속성, 관광객만족의 구조적관계 연구. 『관광연구』30(3). 415-430

김병철(2007). 국가이미지가 제품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상우장영혜(2011). 국가이미지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의 관계-한ㆍ미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24(1).381-400

김용상(1999a). 국가이미지 국제비교에 관한 연구.

『관광정책학연구』 5(2).1-27

김용상(1999b). 국가이미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전통상학회』13(2). 215-252

김은정(2009), 어촌관광참여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어촌마을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진선김병헌(2015). 중국인 재방문 유치 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광진흥연구』3(1). 37-54

김홍빈차석빈(2010). 외래 관광객 국적에 따른 서울 물적 도시 관광자원의 인식 차이와 관광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25(3).

297-315.

박동진손관영(2004). 관광동기, 이미지, 기대, 만족 및 충성도간의

ᅳ 89

구조적 관계 : 안동지역 방문자를 대상으로. 『관광학연구』 28(3):

65-83

박석희부소영(2002). 관광 후 이미지와 만족도 간의 관련성.

『관광학연구』26(1).47-62

박인규전희원(2012). 중국대학생들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관광기대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관광연구』27(5).219-236

박주옥박정아(2011). 대구광역시의 도시이미지와 생태이미지가 관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일본인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15(4). 119-127

박춘엽정월순(2010). 일본인과 중국인 방한 고나광객의 쇼핑 만족도 비교 연구. 『유라시아연구』7(4). 35-51.

송영민이영진(2011). 방한 중국 관광객의 전반적 관광만족도,

재방문의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중소연구』35(1).81-119

신봉규권용주(2010). 한식에 대한 인식, 이미지, 태도, 세계화에 대한

차이분석-일본인, 중국인, 미국인을 중심으로.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if Korea』13(3). 311-332

안보섭(1998). 국가 이미지 개선을 위한 PR 방안. 『연세 커뮤니케이션즈』. Vol.1998 No.9.

양정희(2009). 한류문화콘텐츠가 방문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일본 관광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염성원(2003). 한국의 국가이미지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14(3). 87-117

염성원오경수(2003). 한국의 국가이미지 제고활동 현황과 인식에

ᅳ 90

관한 연구. 『홍보학연구』7(2).98-142

오미영박종민장지호(2003).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14(1).149-177

온정희(1996). 한국 관광이미지 마케팅전략-일본관광객 유치전략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세경(1998). 우리나라의 경제위기상황에 대한 해외언론 보도경향과 국가 이미지. 홍보학연구. Vol. 2. 254-289

유소영(2012). 관광공연 관람만족도가 긍정적 한국이미지 및 사후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승관(2014). 한국 드라마와 K-pop 이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태국수용자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2014:33).

27-50

윤진영(2001). 국제이벤트가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002 년 월드컵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태연(2003). 중국관광자의 한국관광 선택동기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구서(2011). 방한 중국관광객 관광행동특성에 따른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분석.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도훈(2006). 국가이미지 제고를 위한 메가문화이벤트 컨셉 도출에 관한 이론적 고찰- 프랙탈(fractal) 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도훈(2006). 국가이미지 제고를 위한 메가문화이벤트 컨셉 도출에 관한 이론적 고찰-프랙탈(fractal)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ᅳ 91

이병철(2009). 國家이미지 提高를 위한 統合的 해외 PR 커뮤니케이션 方案에 관한 硏究:국가브랜드위원회 주한외국인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논총』 (2009:16). 59-80

이상진(2009). 패밀리레스토랑 선택속성과 고객만족도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부산 지역 대학생 중심으로. 영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장로이춘수양소영(2009). 한국의 국가이미지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실증연구. 『대한경영학회지』22(3).1583-1601

이정원송래현(2014). 한식이미지와 국가이미지의 관계-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Food Service Industry Journal.

10(4).69-80

임복순(2013). 중국 관광시장 규모와 인센티브 여행 시장 현황.

『CHINA 연구』15. 355-386

임은순 이우진(2012). 국가홍보관 서비스환경과 관람만족이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2010 상하이 EXPO 한국홍보관 방문 중국인 대상으로. 『관광연구』27(4).395-410

임정우이교은하동현(2013). 한국의 국가이미지, 관광지 인지적 및

정서적 이미지, 의료관광 이미지 간의 관계.

『관광연구』28(3).231-250

임혜미 김영수(2015). 한식당 선택속성에 대한 만족도가 국가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해외 한식당 이용경험이 있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호텔관광연구』17(3). 177-194

장서(2011). 한국을 방문한 중국관광객의 특성이 관광동기와 관광만족에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분도김명호(2010).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 만족도가 재방문 및 궞ㄴ 의사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23(1).505-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