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료의 수집방법
본 연구는 정부승인통계인 문화체육관광부 ‘2015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2 차 자료를 이용해서 분석하였다. ‘2015 외래관광객 실태조사’의 목표 모집단은 2015 년 방한한 외래관광객이다.
조사모집단은 만 15 세 이상으로 한국 체류기간이 1 일 이상 1 년 이하인 외래관광객이다. 조사기간은 2015 년 1 월부터 12 월까지 1 년동안이다. 조사장소는 국내 4 개 국제공항(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 2 개 국제항(인천국제항, 부산국제항) 으로 출국하는 외국인이다. 조사방법은 질문지를 토대로 응답자가 직접 작성하는 자기기입식 방법이다. 표본추출방법은 2 단계로 이루어진다. 1 단계는 2014 년 입국자 정보를 이용해 변형 비례배분법으로 연간 국가별/월별 표본수 할당으로 배분한다. 2 단계는 과거 3 개월간 입국자 정보를 이용해 비례배분법으로 국가별/입국경로/
성별 표본수 할당으로 배분한다.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항목
ᅳ 45 ᅳ
양적 연구 중 변수의 조작적 정의는 연구에서 제시된 개념적 정의를 실제 현상에서 측정 가능하도록 관찰 가능한 형태로 정의한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변수들은 5 점 리커트 형식의 다항목 척도들로 측정하였다(1=매우 그렇다, 2=그렇다, 3=보통, 4=그렇지 않다, 5=전혀 그렇지 않다).
만족도의 측정 항목은 관광과정에서의 전체적인 관광요소를 대상으로 측정한다. 관광요소에 관한 선행연구는 Echtner &
Ritchie(1991)가 물가, 교통, 인프라 건설, 숙박, 기후 등 기능적 특성과 당지 국민의 친절 정도, 안전성, 서비스 태도, 명성 등 심리적 특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조명환(2000)이 관광자원, 숙박시설, 식음료시설, 편의시설, 교통시설, 정보제고서비스를 관광요소로 본다.
한호성(2005)은 중국인 관광객의 한국관광지 선택속성으로 여행상품 가격, 쇼핑, 숙박, 음식, 여행인솔자, 여행사 등 6 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만족도의 세부 측정항목을 출입국절차, 대중교통, 숙박, 음식, 쇼핑, 관광지매력도, 관광안내서비스, 언어소통, 여행경비, 치안 이 10 문항으로 선택한다. 측정 항목이 설문지에서 다음<표 3-1>과 같이 표현된다. 그리고 ‘전반적인 만족도’ 1 항목, ‘한국에 대한 이미지 평가’ 1 항목을 측정한다.
<표 3-1> 만족도 측정항목
번호 항목
① 출입국 절차(수속, VISA 발급)
② 대중교통(편리성, 서비스)
ᅳ 46 ᅳ
③ 숙박(편리성, 서비스)
④ 음식(맛, 서비스)
⑤ 쇼핑(편리성, 시설 및 서비스)
⑥ 관광지 매력도(문화유산, 자연경관, 야간관광)
⑦
관광안내서비스(관광안내소/관광정보,가이드/안내원,안내표 지판)
⑧ 언어소통
⑨ 여행경비(관광 상품가격, 관광지 물가)
⑩ 치안(안전성)
3) 분석방법
본 연구는 설정된 가설을 실증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2 차 자료를 SPSS 22.0 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했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
<표 3-2>와 같다. 표본의 특성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요인 간 관계는 상관분석을 실시하며, 가설 검증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다.
<표 3-2> 자료분석 방법
내용 분석방법
표본의 특성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및 상관관계 분석 크론바하 알파 분석 및 상관분석
가설검증 다중회귀분석
ᅳ 47 ᅳ
제2절 질적연구 방법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양적연구 방법이 객관성, 간결성 등 장점이 지니고 있다. 하지만 문자로 된 관광객의 마음속의 생각과 평가는 연구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인 관광객이 한국 관광 과정에서 뭐가 문제인지,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국체적으로 어떠한지, 만족과 불만족한 점이 무엇인지, 이런 문제들은 설문지에서 숫자, 그리고 한정된 선택항목만 있다. 중국인 관광객의 살아있는 평가를 얻고 한국 국가이미지를 파악하기 위해 질적연구 방법을 양적연구의 보충으로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