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태평양연어위원회
FAO어업수역 67번을 관할수역으로 하는 태평양연어위원회(Pacific Salmon Commission: 이하 PSC)는 태평양연어협약의 이행을 위해 미국과 캐나다에 의해 설립된 의사결정 기구이다104). 미국과 캐나다의 연어가 타국에 의해 중간에서 어획되는 것을 막고, 최적의 생산을 달성하여 태평양 연어 보존에 대한 공동책 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전문).
1800년대 시작된 퍼시픽 노스웨스트 사의 상업적 어업으로 인해 연어가 남획 되고, 그 개체수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이에 미국과 캐나다의 갈등이 심화되었 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양국은 1930년 프레이저 강 협약을 체결하고, 1937년 103) Patricia Lee Devaney, op. cit., p. 37.
104) http://www.psc.org/ (검색일자: 2018.11.25)
태평양연어어업위원회가 설립되었다. 1985년 「태평양연어협약(Treaty Between the government of Canada and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Concerning Pacific Salmon)」채택과 함께 태평양연어어업위원회는 태 평양연어위원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태평양연어협약은 관할수역의 연어에 대 한 남획을 방지하고 최적 생산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105) 동 협약은 1999 년 개정되어 국가간 경계위원회와 과학협력위원회를 창설하였으며, 2002년과 2008년 지속가능한 어획을 위해 다시 개정되었다. 2018년 9월 17일 미국과 캐 나다 정부는 향후 10년간의 어족자원의 보존과 어획을 위해 다시 한번 협약을 개정하였다.106)
<그림5> 태평양연어협약 관할수역107)
동 협약의 특징 중 하나는 협약의 정의에 있어 목표 어종인 연어의 특성을 고려한 용어에 대한 정의를 하였다는 것이다. 제1조 제1항은 ‘강화(enhancement)’
란 연어의 자연적 서식지와 연어종의 개체수를 늘릴 수 있는 양식문화기술의
105) 태평양연어협약 제3조.
106) https://www.psc.org/news-announcements/psc-press-release-pacific-salmon-treaty-renewal-2018/
(검색일자: 2018.11.25)
107) http://www.fao.org/figis/geoserver/factsheets/rfbs.html (검색일자: 2018.10.30)
적용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동 조 제5항은 ‘가로챔(interception)’
이란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서 연어수확을 하는 행위로 정의하고 있다.
두 번째 특징은 2개의 시험어업지역을 설정하고, 5개의 패널로 지역을 나누 어 감독하는 것이다(제1부속서).
2개의 시험어업어업지역은 아래와 같다.
<그림6> 태평양연어협약 시험어업수역108) 108) http://www.psc.org/publications/fisheries-maps/ (검색일자: 2018.02.02)
5개의 패널지역은 Caution cape 남쪽 연어가 서식하는 남부 패널지역, 붉은연 어가 서식하는 Fraser River 패널지역, Caution cape와 Suckling cape 사이 연 어가 서식하는 북부 패널지역, Alsek 및 Stikine, Taku 강에 연어가 서식하는 양 국 해양경계 패널지역, Yukon 강 연어에 대한 Yukon 강 패널지역으로 나뉜다.
각 패널은 해당 지역의 수확, 산란 및 서식지 품질을 모니터링 한 후 위원회 에 정보를 제공하며, 이러한 정보는 어업 할당량 등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양국은 연어의 지속적인 어업을 위해 전년도 어획활동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 하여 위원회에 제공한다. 이러한 보고서는 각 패널에서 검토하게 된다(제2조 제 19항-22항).
미국과 캐나다는 시행에 필요한 법령을 국내법으로 제정하고 자국 선박의 어 획 및 노력 등에 대한 데이터를 위원회에 보고하는 형태로 어업자원을 관리한 다(제14조).
세 번째 특징은 의사결정과정이다. 두 국가로 구성된 위원회로 모든 의사결 정은 양국의 합의로 결정된다(제2조 제6항).
나. 중서부태평양수산위원회
중서부태평양수산위원회(Western & Central Pacific Fisheries Commission: 이 하 WCPFC)는 효율적인 관리를 통하여 해당수역의 고도회유성어족 자원의 보 존과 지속적인 이용을 위해(제2조), 2004년 6월 「중서부태평양 고도회유성어족 의 보존 및 관리에 관한 협약(Convention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Highly Migratory Fish Stocks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에 의해 설립된 수산기구이다.109) 2013년 인도네시아의 가입을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총 26개 국가가 당사국이다.110)
109) https://www.wcpfc.int/ (검색일자: 2018.03.16)
110) https://www.wcpfc.int/system/files/WCPFC10-2013-06%20Status%20of%20the%20Convention_0.pdf (검색일자: 2018.03.16), 우리나라는 2004년 6월19일에 가입하였다.
동 협약은 사전예방적 접근방식의 적용 등을 포함하여 많은 부분 유엔공해어 업이행협정을 그대로 수용함과 동시에 지역의 정치·사회경제·지리적 환경들 을 반영하여 제정되었다.
동 협약 제3조는 협약에 의한 관할수역을 아래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호주의 남쪽해안에서 시작하여 동경 141도를 따라 정남쪽으로 남위 55도 와의 교차점, 그 지점에서 남위 55도를 따라 정동쪽으로 동경 150도와의 교차점, 그 지점에서 동경 150도를 따라 정남쪽으로 남위 60도와의 교차 점, 그 지점에서 남위 60도를 따라 정동쪽으로 서경 130도와의 교차점, 그 지점에서 서경 130도를 따라 정북으로 남위 4도와의 교차점, 그 지점 에서 남위 4도를 따라 정서쪽으로 서경 150도와의 교차점, 그 지점에서 서경 150도를 따라 정북으로 향하는 선
협약수역에 존재하는 꽁치류를 제외한 모든 고도회유성 어족을 적용대상으로 하고 있다. 동 협약에서 의미하는 고도회유성어종이란 유엔해양법협약 부속서
Ⅰ에 기재된 종들의 모든 어류자원과 WCPFC가 결정할 수 있는 그 밖의 어종을 말한다(제1조).
<그림7> 중서부태평양수산위원회 관할수역111)
WCPFC의 어족자원 관리방식은 총허용어획량과 쿼터를 설정한다. 참치어획량 의 점진적인 감축과 선박위치추정장치의 장착과 일부장비의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112)
가장 큰 특징은 적용수역이 중복되는 타 지역수산기구들과의 전환어업(switch fisheries)과 타 위원회의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 해 현재 10개의 지역수산기구와 협약 또는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있다.113) 111) https://www.wcpfc.int/system/files/Map.pdf (검색일자: 2018.03.16)
112) 이석용, “국제어업법의 변화와 지역수산기구 강화에 따른 대응방안 고찰”, 282-283쪽.
113) 협력관계의 지역수산기구- 1.Secretariat of the Pacific Community in respect of the Oceanic Fisheries Programme (SPC-OFP), 2.Pacific Islands Forum Fisheries Agency (FFA), 3. The International Scientific Committee for Tuna and Tuna-like Species in the North Pacific Ocean (ISC), 4. Secretariat for the Pacific Regional Environment Programme (SPREP), 5. Indian Ocean Tuna Commission (IOTC), 6.
Inter-American Tropical Tuna Commission (IATTC), 7. Commission for the Conservation of Antarctic Marine Living Resources (CCAMLR), 8. Commission for the Conservation of Southern Bluefin Tuna (CCSBT), 9. Agreement for the Conservation of Albatross and Petrels (ACAP), 10. North Pacific Anadromous Fish
동 협약에서 연안국은 국가관할권 내측수역에 대해 고도회유성어종의 탐사·
이용·보존 및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주권적 권리를 가지게 된다(제7조).
어업을 하는 선박의 기국은 자국 선박이 동 협약의 규정을 준수하고, 무허가 조업을 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또한 자국의 국기를 게양한 선박이 국가관할권 외측의 협약수역에서 고도회유성어종을 어획하도록 허가해 서는 안된다. 모든 당사국들은 어업을 허가한 선박의 기록을 유지하고, 이러한 기록을 위원회에 매년 보고해야 한다. 공해상 어업을 하는 자국선박에 대해서 는 유사 실시간 위성위치결정송신기를 사용하여 위원회가 당해 어선을 감시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제24조).
항만국은 국제법에 따라 소지역적·지역적·전지구적 차원의 보존관리조치를 취할 권리와 의무를 가진다. 당사국의 어선이 자발적으로 다른 당사국의 항만 및 계루시설에 입항하는 경우 그 선박에 대해 서류·어구·어획물을 승선하여 검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위반 사실이 입증된 경우 관련 국가 당국이 양 륙 및 환적을 금지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을 부여하는 규정을 채택할 수 있다 (제27조).
WCPFC는 위반한 선박에 대해 승선 및 검색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이는 보존관리조치의 준수를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당사국은 위원회가 승선 및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허가해 줘야 한다(제26조).
WCPFC는 의사를 결정함에 있어 원칙적으로 총의방식을 취한다. 그러나 총의 로써 결정하고자하는 모든 노력을 다 했음에도 불구하고 결정하지 못할 경우, 절차문제는 당사국 과반수의 참석과 과반수의 찬성에 따라 결정되며 실질적인 문제는 3/4의 출석(남태평양어업회의기구 회원국 3/4, 비회원국 3/4를 반드시 포 함)과 3/4의 찬성으로 결정된다. 절차적 문제와 실질적 문제의 결정에 관한 문 제는 실질적 문제로 다루어진다(제6조).
그러나 결정이 이 협약 또는 유엔해양법협약의 규정과 일치하지 않거나 관련 당사국을 형식상 또는 사실상 부당하게 차별하는 경우, 반대를 투표했거나 불
Commission (NPAFC)
참한 국가는 결정이 채택된 날부터 30일 이내에 재심패널을 구성하고 검토해줄 것을 청구할 수 있다. 재심패널은 FAO가 임명한 3인과 재심청구국이 임명한 1 인으로 구성된다.
재심패널의 조사결과와 권고 및 위원회의 조치가 있을 때까지 결정은 효력을 가지지 않는다. 재심패널이 위원회의 결정이 수정·개정 또는 철회되어야 한다 고 권고하는 경우 위원회는 차기 연례회의에서 재심패널의 조사결과 및 권고에 합치하도록 그 결정을 수정·개정해야 한다(제6조 제5항-9항).
WCPFC는 2가지 형태의 결정을 한다.114) 첫 번째 형태는 결의안(Resolution)으 로 구속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위원회의 당사국과 협력적 관계에 있는 비당 사국에게 권고적 성격을 가진다. 두 번째는 보존 및 관리조치로 이는 당사국들 에게 구속력을 가진다.
다. 대서양참치보존위원회
대서양참치보존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for the Conservation of Atlantic Tunas: 이하 ICCAT)는 1966년 리우에서 체결된 「대서양참치보존에 관한 협약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Conservation of Atlantic Tunas)」에 의해 설립 된 RFMO이다(제3조).
ICCAT는 FAO주도로 대서양다랑어자원에 대한 어업 경쟁의 심화에 따른 IUU 어업을 방지하고, 형평하고 합법적인 어업관행의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115) 우 리나라를116) 포함한 총 52개국이 협약당사국이다.117)
114) WCPFC/Comm2/29 14 December 2005.
https://www.wcpfc.int/system/files/booklets/31/CMM%20and%20Resolutions.pdf (검색 일자: 2018.03.20)
115) 박원석, 「국제수산규범의 국내이행체제 확립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농림수 산식품부(2012.8), 47-48쪽.
116) 1970년 8월 28일 가입.
117) https://www.iccat.int/en/contracting.htm (검색일자: 2018.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