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진행 절차는 다음 [그림Ⅲ-1]과 같다.
연구 단계 연구 내용
자료 수집 전
선행 문헌 검토
↓
게임화 요소 및 1차 수업 설계 전략(이론적 도출)
↓
전문가 검토(1차,2차)및 수정
↓
연구도구 개발
온라인 학습 자료
오프라인 수업 교안
↓
연구도구 사용성평가
온라인 학습 자료 사용성평가
오프라인 수업 파일럿 테스트
↓
자료 수집
온라인 사전학습 /오프라인 교실학습
↓ 학습자 인터뷰
↓
자료 분석
학습자 반응 분석(강점,약점,개선점)
↓
최종 설계 전략
[그림 Ⅲ-1] 연구의 진행 절차
형성적 연구방법론(임철일, 1995)을 적용한 이 연구의 연구절차는 세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 자료 수집 전 단계에서는 요소적 게임화를 적용한 역전학습 수업 설계 전략을 도출한다. 문헌 검토를 통해 게임화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전학습 수업 설계 전략을 개발한 후, 전문가 검토를 통해 도출된 설계 전략의 내적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수 업 설계 전략을 바탕으로 자료수집에 활용할 연구도구를 개발하고, 연구 도구에 대한 학습자 사용성평가를 시행하였다. 두 번째 자료 수집 단계 에서는 연구도구를 활용하여 개발된 수업 설계 전략을 실제 수업에 적용 하고 학습자에 대한 면담과 관찰을 시행하였다. 마지막 단계인 자료 분 석에서는 면담 및 관찰 결과를 분석하여 도출된 의견을 통해 수업 설계 전략의 강점, 약점, 개선점을 도출하여 모형을 개선하였다.
가. 문헌 검토
요소적 게임화를 적용한 역전학습 수업 설계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게임의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수업에 서 활용 가능한 전략 및 상세 설계 전략을 구성하였다. 관련 문헌 수집 을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구글학술정보, 서울대학교 도서관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하였다. 문헌 검색에는 ‘게임화’, ‘Gamification’,
‘게임 기반 학습’, ‘게임 기반 수업 설계’등의 키워드를 사용하였 다. 검토를 통해 학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게임의 요소들을 도출 하였다.
나. 전문가 검토
전문가 검토는 두 차례에 걸쳐 시행되었다. 문헌 검토를 통해 이론적 으로 탐색된 1차 수업 설계 전략은 전문가 3인을 통해 검토되었다. 전
문가는 게임화 관련 연구를 진행하거나 게임화 전략을 실제 수업에 적용 해본 경험이 있는 현장의 전문 인력으로 8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육 공학 박사 2인(A, B)과 현장 교사로 활동하는 교육공학 석사 1인(C)이 었다. 전문가 검토를 바탕으로 수업 설계 전략을 개선하여 2차 수업 설 계 전략을 개발하였다.
1차 전문가 검토를 통해 개선된 2차 수업 설계 전략은 전문가 3인을 대상을 통해 검토되었다. 전문가는 게임화 전략을 실제 수업에 적용해본 경험이 있는 현장의 전문 인력으로 8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육공학 박사 1인(B)과 현장 교사로 활동하는 교육공학 석사 1인(C), 그리고 역 전학습 관련 실무 능력을 갖춘 교육공학 박사 1인(D)이었다. 전문가 검 토를 바탕으로 수업 설계 전략을 개선하여 3차 수업 설계 전략을 개발 하였다.
다. 연구도구 개발 및 사용성평가
두 차례에 걸친 전문가 검토 이후 개선된 3차 수업 설계 전략을 바탕 으로, 이를 적용한 온라인 학습 자료 및 오프라인 수업 교안을 개발하였 다. 온라인 학습 자료는 동영상 강의를 포함한 슬라이드쇼(.pptx)의 형 태로 개발되었으며, 오프라인 수업 교안 개발에는 권오남 외 6인(2013) 의 수업 절차 모형을 활용하였다. 개발 뒤에는 교육공학 강좌 수강생 1 인과 비수강생 6인을 대상으로 사용성평가를 실시하였다.
라. 수업 적용 및 학습자 인터뷰
실제 수업이 진행된 뒤에는 7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 층 인터뷰를 시행하여 수업 설계 전략의 강점, 약점, 개선점을 도출하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