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제정치학에서 흔히 자유주의는 이상주의와 동의어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현실주의자들은 평화, 협력, 국제제도 등에 대한 잠재력을 낙관하는 자유주의의 제도적, 윤리적 측면을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국 제정치에 대한 자유주의적 시각을 규범적, 비과학적, 이데올로기적이 라고 말한다.117) 이러한 비판에 대해 자유주의적 전통에 서있는 국제 정치학자들은 결속력 있는 대응을 하지 못했다. 현실주의나 제도주의 와 달리 자유주의는 통일되고 일관성을 갖는 국제정치이론을 정립하 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유주의를 이상주의적 이념으로서가 아 닌 사회과학적 접근방법으로 간주할 경우, 비록 원대하고 간결한 구 조이론을 제시하지는 못했을지라도 자유주의적 전통에 입각하여 사 회적 선호와 국가행위를 인과적으로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적 시도들 은 지속되어왔다.118) 더구나 탈냉전시대에 접어들어 국제협력에 대한 117) 가장 영향력 있는 비판은 E. H. Carr, The Twenty Year's Crisis; H.

J. Morgenthau, Politics Among Nations; K. N. Waltz, Man, the State and War 이다.

118) Robert O. Keohane, "International liberalism reconsidered," The Economic Limits to Modern Politics, ed. by John Dunn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1990), pp.172-73; Andrew Moravcsik, "Taking Preferences Seriously: A Liber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p.515 참조.

관심과 실천이 점증하면서 자유주의적 시각은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자유주의 국제정치이론의 뿌리는 17세기 자유주의 정치이론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비록 20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국제정치에 관한 본 격적인 이론화 작업은 별로 이루어지지 못했지만, 자유주의 맥락에서 다루어진 국제정치적 주제들은 2차세계대전 이후 다양하게 전개된 자유주의 국제정치이론의 모태가 되었다. 이들 주제는 크게 세가지로 요약된다.119) 첫째, 평화, 번영, 정의의 실현조건들을 축적함으로써 인간의 자유를 더욱 증진하는 방향으로 국제관계를 점차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인간행위와 이성의 힘에 대한 신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신념은 현실주의자 들의 비판처럼 이상주의적이라고 매도될 수 없다. 대부분의 자유주의 자들은 인간의 완벽성이라든지 통일된 세계관의 형성을 추구하는 것 이 아니기 때문이다. 자유주의자들의 관심은 이익의 완벽한 일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이익들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에 있다.

또한 이익의 조화도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쟁취해야 할 것으로 간주된다. 둘째, 더욱 큰 자유의 실현에는 국제협력의 증 대가 중심적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비록 시대마다 자유주의자들이 강조했던 국제협력의 성격과 강도는 달랐지만, 협력이 인간의 자유를 진보시키는 기반이었다던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셋째, 국제관계는 과 학혁명에 의해 촉발되고 자유주의의 지적 혁명으로 강화되는 현대화 과정을 통해 변화한다는 것이다. 자유주의자들은 현대화 과정의 핵심 119) Mark W. Zacher & R. A. Matthew, "Liberal International Theory:

Common Threads, Divergent Strands," Controversi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Realism and the Neoliberal Challenge, ed. by Charles W. Kegley, Jr. (N.Y.: St. Martins's Press, 1995), pp.109-11 참조.

적 요소로서 자유민주주의 내지 공화정부, 국제적 상호의존, 인식의 진보, 국제사회의 통합, 국제제도에 주목한다.

이러한 전통을 이어 받은 현대 자유주의자들은 <표 III-2>와 같이 각각 서로 구별되는 국제정치이론들을 발전시키고 있다.120) 모라브칙 은 그러한 분파들 가운데 공화주의적, 상업적, 이념적 및 규제적 자 유주의만이 진정한 자유주의 패러다임에 속하며, 신자유주의적 제도 주의는 이데올로기 및 역사적 의미에서는 자유주의와 연관성을 가지 나 실제로는 현실주의 패러다임에 속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앞의 세 분파가 기본적으로 국가와 사회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그 관 계의 세계정치적 함의를 찾는다는 점에서 자유주의적 핵심가정을 공 유하고 있다고 말하며, 이상주의적 자유주의와 구별하여 구조적 자유 주의121)라는 이름으로 묶고 있다. 물론 그는 구조적 자유주의가 단지 국가의 행위(외교정책)만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국가간의 집 합적 행위(국제관계)의 역동성을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체계이론 으로도 손색이 없음을 강조한다.122)

120) 학자들마다 자유주의 국제정치이론의 분파를 구분하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다. 나이는 상업적(commercial), 민주적(democratic), 규제적 (regulatory), 사회적(sociological) 자유주의로, 키오헨은 공화주의적 (republican), 상업적, 규제적, 세련된(sophisticated) 자유주의로, 모라브 칙은 이념적(ideational), 상업적, 공화주의적 자유주의로, 자허와 매튜 는 보다 세분하여, 공화주의적, 상업적, 군사적, 인식적(cognitive), 사회 적, 제도적(institutional) 자유주의로 나누고 있다. Joseph S. Nye Jr.

"Neorealism and Neoliberalism," World Politics, Vol.40, No.2 (1988), pp.245-48; Robert O. Keohane, "International liberalism reconsidered,"

pp.174-86; Andrew Moravcsik, Liberalism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pp.17-36 & "Taking Preferences Seriously: A Liber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pp.525-33; Mark W. Zacher

& R. A. Matthew, "Liberal International Theory: Common Threads, Divergent Strands," pp.121-37 참조.

121) Andrew Moravcsik, "Federalism and Peace: A Structural Liberal Perspective," pp.123-32 참조.

<표 III-2> 자유주의 전통을 계승한 국제정치이론들 구조적 자유주의

신자유주의적 공화주의적 제도주의

자유주의

상업적 자유주의

이념적 및 규제적 자유주의 기본

행위자

개인 및 사회단체(국가)

개인, 사회단체,(국가)

개인,

사회단체,(국가) 국가 국가

행위의 결정 요인

․국내정치 및

사회 제도 ․경제적 동기 ․사회적 정체 성과 가치

․개별적으로 규정된 효용 의 극대화 (절대적 이익)

․국제체계의 구조변화

핵심적 관심 사항

․국제협력에 미치는 국내 정치구조의 영향

․국내의 경제 적 이익과 국경을 초월

한 교환행위

․경제적 상호 의존

․ 국내사회질 서(민족, 정 치, 사회경제 적 정당성) 의 국제적 조절

․국제협력의 제도적 발전

․무정부적 국 제사회에서 기능주의적 국제협력

평화의 조건

․국내적 민주 주의의 확산 (민주주의평화론)

․시장의 불균 형 교정

․국제제도의 기능적 발전 (통합)

․의사소통을 통한 다원적 안보공동체 형성

․ 시장의 실 패 ( 속 임 수 ) 보완을 위한 정보개방 확 대 및 제도 적 장치 확 립

대표적

학자 M. W. Doyle R. Rosecrance E. Haas, J. Nye,

K. W. Deutsch R. O. Keohane

122) Andrew Moravcsik, "Taking Preferences Seriously: A Liber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pp.534-36 참조.

모라브칙은 구조적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의 차이점을 크게 4가지로 요약한다.123) 첫째, 전자는 국가의 권력과 정보가 일정 하더라도 국가선호는 변화할 수 있다고 보는 반면, 후자는 국가선호 를 고정되고 외재적으로 주어진 것으로 간주한다. 둘째, 전자는 외교 정책을 사회적 문맥에서 설명하는 반면, 후자는 국제정치체계의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셋째, 전자는 국내적 갈등이 어떻게 국제 정치차원에서 차선적 결과를 낳는가에 주목하는 반면, 후자는 국제적 무정부상태가 차선의 결과를 유도하는 과정에 초점을 둔다. 넷째, 전 자는 국제협력에서 목적을 중요시하는 반면, 후자는 수단을 강조한 다. 이상의 차이를 바탕으로 모라브칙은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는 국 제협력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수정된 구조적 현실주의’와 매우 유사 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를 주도적으로 발전시켜온 키오헨 (R. O. Keohane)은 자신의 이론이 자유주의적 전통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곳곳에서 암시한다. 자신은 역사의 진보와 이 과정에서 인간이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자신의 이론 을 묵시적이나마 ‘세련된(sophisticated) 자유주의’로 분류하고 있기 때문이다.124) 그러나 1970년대부터 다양한 이론들 ― 초민족주의 내 지 상호의존 이론,125) 기능적 레짐이론,126) 국제적 제도주의이론127) 123) Andrew Moravcsik, "Federalism and Peace," p.128; Andrew Moravcsik,

"Taking Preferences Seriously," pp.536-37 참조.

124) 그에 따르면, ‘세련된 자유주의’는 상업적 자유주의와 규제적 자유주의 의 종합에다가 이익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을 첨가한 것이다. R. O.

Keohane, "International liberalism reconsidered," p.183 참조.

125) 이에 대한 대표적 저술은 R. O. Keohane & J. Nye, Power and Interdependence: World Politics in Transition (N.Y.: Little, Brown, 1977)

126) R. O. Keohane, After Hegemony: Cooperation and Discord in the

― 을 제시하면서 자신의 연구프로그램을 발전시키는 가운데 키오헨 은 자신의 이론적 주 관심을 국제체계에 두었던 것도 사실이다. 이는 구조적 자유주의와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비록 그는 국제적 협력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국내정치를 분석과정에 체계적으로 도입해 야 할 필요성을 수긍하고 있지만,128) 그의 이론은 여전히 국제체계에 맞춰져 있다. 또한 자신의 이론이 세계정치의 대안적 이론틀을 만들 어 내기보다 신현실주의에 새로운 개념을 제공함으로써 신현실주의 의 이론적 지평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는 점을 인정하기도 한다.129)

이러한 차이점을 감안하여 여기서는 자유주의의 핵심가정을 구조 적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로 구분하여 정리할 것이다.

가. 핵심가정

(1) 구조적 자유주의130)

가정 1: 국제정치의 기본 행위자는 개인 및 사적 단체이다.

자유주의이론은 개인과 사회단체를 기본 행위자로 간주한다. 자유 주의자들이 가정하는 이들 행위자의 특징은 보편적으로 합리적이며 World Political Economy (Princeton, N.J.: Princeton Univ. Press, 1984) 참조.

127) R. O. Keohane, International Institutions and State Power: Essay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Boulder, Co.: Westview Press, 1989) 참조.

128) ibid, p.30.

129) ibid, p.251 참조.

130) 구조적 자유주의의 핵심가정들은 주로 다음 두 글을 참조. Mark W.

Zacher & R. A. Matthew, "Liberal International Theory: Common Threads, Divergent Strands," pp.118-20; Andrew Moravcsik, "Taking Preferences Seriously," pp.516-24.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려 하며, 물질적 희소성, 가치갈등, 그리고 여러 형태의 사회적 영향력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 한계들 속에서도 다양 화된 이익들을 증진시키기 위해 상호 교류와 집단 행동(정치)을 한다 는 것이다.

개인과 집단이 추구하는 물질적·이념적 복지는 애초 정치에 앞서 동기화되지만, 물질적 희소성과 이념적 다양성 탓에 경쟁이 불가피하 게 되며, 이 가운데 문제해결을 위한 상호교류 및 집단 행동, 즉 정 치가 발생한다고 자유주의 이론은 가정한다. 여기서 행위자들은 기대 이익이 크면 클수록 행위에 대한 동기도 강해진다는 점에서 합리적 이다. 또한 기존 투자를 방어하려는 의도는 강한 반면, 새로운 이익 추구를 위해 예상되는 비용과 위험에 대해서는 매우 조심스럽다는 점에서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지 않으려 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가정아래 자유주의 이론은 스스로 이익을 가지는(self-interested) 행 위자들의 행위를 협력과 갈등으로 수렴하게 만드는 사회적 조건들을 일반화하려고 한다. 이와 관련, 자유주의자들의 관심은 주로 ‘다양한 근본신념’, ‘물질을 둘러싼 갈등’, 그리고 ‘정치적 권력에서의 불평등’

이라는 세가지 요소에 집중된다.

가정 2: 국가는 국내사회의 하부구조적 상태를 반영한다.

자유주의이론에 따르면, 국가는 그 자체로서 단일적 행위자가 아니 며, 항상 변화하는 사회적 행위자들의 연합이익을 대표하는 집합적 내 지 다원주의적 행위자이다.131) 따라서 정부관료에 의해 규정되는 국가 의 선호는 어떠한 특정 사회적 행위자들 내지 그들의 집단 이익을 강 131) 모라브칙은 구조적 자유주의에서 국가는 원칙적으로 행위자가 아니라 고 말한다. 그러나 자허를 비롯하여 대개의 자유주의 맥락에 서있는 학자들은 국가도 집합적 의미의 행위자로 간주한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