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 절의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개념규정은 실제정책에 반영되고 있거나 우리 사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경험적 사실 및 현상들을 이론적 으로 재구성해보려는 시도의 산물이다. 이것으로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이론적 접근의 가능성은 물론이고 그 궤적을 희미하나마 포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론적 논의를 보다 구체적이고 생산적으로 전개하려면, 경험적 사실을 단순히 이론적으로 재구성하는 수준을 넘 어서 서로 경쟁하는 국제정치이론들의 다양한 시각과 논의들을 토대로 한반도 평화문제에 대해 연역적으로 접근하는 시도가 요구된다.
본 절에서는 풍부한 이론적 논의를 위해 특정 이론의 입장에서 출 발하기보다 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의 이론적 패러다임들간에
이루어지고 있는 논쟁의 핵심주제들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주요이론 들간의 이론적 가정과 주장 차이를 통해 현실세계를 바라보는 시각 이 넓어질 수 있을 뿐더러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정책적 상 상력도 제고될 수 있기 때문이다. 1980년대 말 국제정치이론의 대논 쟁은 존재론, 인식론, 방법론과 관련한 다분히 철학적이고 과학이론 적 주제를 다루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체계의 질서 및 작동원리에 관한 시야를 넓혔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맥락에서 국 제레짐적 성격의 한반도 평화체제가 어떠한 질서 및 작동원리에 따 라 형성·발전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 또는 이해하기 위해 존재론과 인식론을 둘러싼 논의들을 먼저 검토할 필요가 있다.
가. 이론간 존재론 및 인식론 비교
존재론과 인식론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맺는 철학적 주제이다.
철학자들은 눈에 보이는 것만이 존재(경험론)하는 것인지 아니면 이 념이 인식을 결정(관념론)하는지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가지고 끊임 없이 논쟁을 해왔다. 사회과학에서 이 주제는 메타이론적 성격을 띠 고 있지만, 다양한 이론들간 논쟁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규명 될 필요가 있다. 사회현상에 대한 지식을 체계화 내지 형식화하는 데 일차적 목적을 갖는 사회과학에 있어서 존재론과 인식론의 문제는 사회적 차원에서 주체와 구조의 관계에 대한 논쟁으로 집약된다. 사 회과학에서는 오랫동안 두가지 존재론적 관점이 서로 경쟁해왔다. 즉 사회가 행위주체에 의해 재생산과 변화를 거듭한다는 개체주의 (individualism)와 사회적 관계가 사회를 구성하고 행위주체들의 상호 작용을 규정한다는 구조주의 내지 전체주의(holism)이다. 중요한 것 은 두 관점이 사회에 대한 상이한 모델을 구성함으로써 사회질서와
그것의 작동원리를 매우 다르게 이해하고 설명한다는 사실이다.242) 3장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국제정치학에서 주체와 구조의 문제에 대한 본격적 논의는 1980년대 말 웬트의 논문을 통해서 시작되었 다.243) 물론 이전의 국제정치이론들에서 존재론과 인식론의 문제가 무시되었던 것은 결코 아니다. 1960년을 전후한 왈츠와 싱어의 분석 수준에 대한 논의와 ‘전통주의’에 대해 ‘과학주의’의 승리로 일막을 내렸던 제2의 대논쟁은 대표적 예이다. 그러나 주체와 구조에 관한 논의는 분석수준에 대한 논의와는 기본적으로 상이한 질문에서 출발 한다. 분석수준 문제는 국제정치현상을 어떠한 수준에서 더욱 잘 설 명할 수 있는가에 관한 방법론적 질문에서 대두된 것이었던 반면, 주 체와 구조에 대한 논의는 ‘체계적 인과관계(systemic causation)’에 관한 질문에서 제기된 것이다.244) 즉 주체와 구조 중 어느 하나가 독 립적이고 다른 하나는 이에 종속적일 수 있는지, 아니면 양자가 상호 의존적인지에 대한 물음이다. 이 질문은 1960년대 말부터 과학주의 (실증주의)를 표방하고, 학문의 정체성을 국제체계 연구에서 찾는 가 운데 국가행위를 국제체계 종속적으로 받아들이는 국제정치학의 일 반적 경향에 대한 비판적 입장에서 나온 것이었다.
242) 데슬러는 사회과학에서 존재론의 문제를 모델과 동의어로 사용한다.
David Dessler, "What's at Stake in the Agent-Structure Debate?"
International Organization, Vol.43, No.3 (1989), p.445.
243) Alexander Wendt, "The Agent-Structure Problem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pp.335-70.
244) Alexander Wendt, "Levels of Analysis vs. Agents and Structures:
Part III," Review of International Studies, Vol.18 (1992), pp.182-83 참조; 이 문제에 관한 논쟁들을 비판적 시각에서 정리한 논문으로는 Harry D. Gould, "What Is at Stake in the Agent-Structure Debate?"
International Relations In a Constructed World, pp.79-98 참조.
<그림 IV-1> 주체-구조 관계에 따른 국제정치이론들의 분류245)
A
· 세계체제론
D
· 영국학파
· 세계사회론
· 포스트모던 IR
· 페미니스트 IR B
신현실주의
· 고전적 현실주의
C 구조적 자유주의
· 자유주의 신자유주의
?
? 구조주의
(전체주의)
개체주의
물질주의 관념주의
존 재 론
인 식 론
? 구성주의
245) 웬트는 이 도식을 1987년의 논문에서부터 조금씩 발전시켜왔다. 체계 와 이념에 이론적 중점을 두고있는 그의 원래 도식에는 ‘체계구조에 대한 관점(종축)’과 ‘이념의 역할에 대한 관점(횡축)’이 분류기준으로 되어있지만, 기본적 문제의식은 존재론과 인식론에 있다. 또한 그의 구 성주의적 관점도 독자성을 가지고 있다. 웬트가 처음 이 도식을 창안 했을 때, 구성주의는 (D)군에 포함되어있었다. 그러나 구성주의 내의 비판적 논의를 거치면서 1999년 그의 저서에는 구성주의가 (D)군에서 빠졌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그의 도식을 약간 수정하여 게재한다.
Alexander Wendt, "The Agent-Structure Problem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lexander Wendt & Daniel Friedheim,
"Hierarchy under Anarchy: Informal empire and the East German state," International Organization, Vol. 49, No.4 (1995), p.639; Ronald L. Jepperson, Alexander Wendt, & Peter J. Katzenstein, "Norms, Identity, and Culture in National Security," The Culture of National Security: Norms and Identity in World Politics, p.38; Alexander Wendt,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p.29 & 32; Emanuel Adler, "Seizing the Middle Ground: Constructivism in World Politics," p.331; David Dessler, "Constructivism within a positivist social science," Review of International Studies, Vol.25, No.1 (1999), pp.123-37 참조.
웬트는 사회이론의 차원에서 존재론적 문제를 제기하는 방식에 따 라 인식론적 접근방법이 달리 결정된다고 주장246)하면서, 존재론과 인식론적 차이를 기준으로 국제정치이론들을 <그림 IV-1>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횡축은 행위주체의 동인을 물질 또는 이념 중 어디에 서 찾는가에 관한 인식론의 문제를 보여준다. 물질주의자는 세계정치 의 기반을 군사력, 경제력, 기술 등과 같은 물질적 힘에서 찾으며, 이 념은 기껏해야 상부구조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이에 반해 관념주 의자들은 공유하는 지식구조를 세계정치의 기반으로 간주하며, 이러 한 지식구조의 의미부여를 통해서만이 비로소 물질적 힘이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종축은 앞에서 언급했던 존재론적 문제 와 관련한 방법론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양축의 관계지움에서 국제체계의 질서와 작동원리에 대한 설명 및 이해의 방식은 크게 4가지로 나뉘어진다. 첫째, (A)군에 속하는 이론 으로서 세계체제론은 국제질서가 자본주의경제 구조와 원칙에 의해 구성되고 작동한다는 엄격한 구조주의적 접근을 취하고 있다. 즉 국 가행위는 물질적 힘의 원칙에 입각한 자본주의 경제구조에 의해 결 정되기 때문에 국제구조는 국가차원으로 환원시켜 설명될 수 없다는 것이다.
둘째, (B)군에는 현실주의 계열의 이론들이 자리잡고 있다. 이들은 주권을 가진 국가를 기본 행위주체로 하는 무정부상태의 국제사회에 서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둔 생존노력이 세력균형이라는 국제질서를 창출 및 유지한다는 공통된 가정을 가진다. 그러나 행위주체의 성격 과 국제체계의 작동원리에서 고전적 현실주의와 신현실주의 사이에 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인간의 천성을 바탕으로 물질적 힘과 이익을 246) Alexander Wendt, "The Agent-Structure Problem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p.339.
설명하는 고전적 현실주의의 경우, 행위주체는 정치엘리뜨와 여론을 포함하는 국가이다. 그리고 국제체계를 유지·변화시키는 중요한 동인 을 특히 강대국들의 외교에서 찾는다. 이에 비해 신현실주의는 철저 히 국가중심적이며, 구조주의적이다. 그러나 왈츠의 구조개념은 본질 적으로 구조주의와는 거리가 멀다. 신현실주의에서 구조는 실제로는 단위(국가)들의 연결에 의해 발생하는 반영적 성질의 것으로서 자체 적 동력이나 부분에 대한 전체의 우월적 권위를 전혀 갖지 않기 때 문이다. 비록 구조개념을 도입했지만, 국가를 국제체계의 구조에 선 행시키는 신현실주의는 방법론적으로 개체주의적 성격을 갖는다.
이론적 가정의 측면에서 신자유주의는 신현실주의에 더욱 가깝지 만, 갈등과 경쟁에 중점을 두는 현실주의자들과 달리 문제영역 (issue-area)별로 국제레짐 내지 제도를 통한 협력의 발전가능성에 주목한다. 즉 신자유주의는 신현실주의에 비해 국가들간의 사회적 관 계 ― 공동이익과 지식의 공유 ― 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 러나 국제레짐이 존재하기 위해 전제되는 상호주관적 요소를 인정하 면서도 동시에 심리적인 통찰이나 인과성을 경험적으로 증명할 수 없다는 입장247)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능주의적이며 물질주의적 이다.
셋째, (C)군에는 자유주의 계열의 이론이 속한다. 자유주의 이론들 은 개인, 사적 단체, 그리고 이들의 집합으로서 국가를 국제정치의 기본 행위자로 간주한다. 자유주의는 이들 행위자가 여러 한계들 속 에서도 다양화된 이익들을 증진시키기 위해 상호 교류와 집단 행동
247) Robert O. Keohane, "The Analysis of International Regimes: towards a European-American Research Programme," Regime Theor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ed. by V. Rittberger (Oxford: Clarendon Press, 1993), pp.27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