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정신장애인의 도움 요청 정도에 따른 특성

연구가설 검증에 앞서 본 연구의 조사자료를 통해 정신장애인 도움 요 청 정도에 따른 주요 변수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범주형 변수들에 대 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 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 정신장애인의 도움 요청 정도가 차이가 있 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성별(t=2.219, p<.05)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적으로 도움 요청을 통한 적극적 대처행동을 더 많이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 한 결과는 대처 양상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고, 일반적으로 여성이 정 서 중심 대처를 보이고, 남성이 문제 중심 대처를 더 많이 보인다는 기 존의 연구와 일치한다(Matud, 2004; Ptacek et al., 1994; Zwicker &

DeLongis, 2010).

한편, 이외의 변수들에서는 도움 요청 정도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교육수준(t=-1.615, p=.107), 국민기초생활보장 제도 수급 여부(t=-1.843, p=.066), 배우자 유무(t=.269, p=.858), 장애등록 상태(t=-1.364, p=.173), 주요진단명(t=-.723, p=.470), 거주지역(t=.276,

변수 최솟값 최댓값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종속변수 도움 요청 정도 0 25 2.25 3.70 2.943 10.379

독립변수 차별 경험 1 25 5.72 4.91 1.620 2.514

매개변수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 0 45 22.09 10.87 .014 -.346

통제변수 연령 18 83 42.65 11.22 .131 -.433

유병 기간 0 53 16.48 9.82 .417 -.215

<표 7>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p=.783), 재활시설 유형(t=-.513, p=.608)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n=461)

변수 구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t

성별 남성

여성

263 198

2.566 1.828

3.957

2.389 2.219 * 교육수준 고등학교 졸업 미만

고등학교 졸업 이상

34 427

1.264 2.327

3.510

3.707 -1.615 국민기초생활

보장제도 수급 여부

미수급 수급

207 254

1.898 2.535

3.041

4.144 -1.843

배우자 유무 기타(미혼/별거/이혼/사별) 결혼/동거

431 30

2.241 2.397

3.638

4.559 .269

장애등록상태 미등록

등록

107 354

1.822 2.378

2.272

4.026 -1.364 주요진단명 조현병 외 기타 정신과 진단

조현병

116 345

2.034 2.321

2.756

3.967 -.723

거주지역 중소도시, 농어촌

대도시

197 264

2.304 2.208

4.011

3.456 .276

재활시설 유형 거주형

이용형

230 231

2.161 2.337

3.797

3.607 -.513

* p < .05 ** p < .01 *** p < .001

<표 8>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도움 요청 정도 차이 검증

제 2 절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주요 변수 간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발생하는지를 진단하기 위해 공차 (tolerance)와 분산팽창요소(VIF)를 확인하였고, Pearson 단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표 9>, <표 10>과 같다. 먼저, 다중공선성 통계치에 관해서는 일반적으로 공차가 0.1 보다 작거나, 분산팽창요소가 10 이상인 경우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발생 한다고 판단하는데, 본 연구모형에서 사용된 변수 중 공차가 0.1보다 작 거나 분산팽창요소가 10 이상인 변수는 존재하지 않았다.

다음으로는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상관계 수의 절대값이 .7을 초과하는 경우 다중공선성을 의심해볼 수 있다. <표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몇몇 변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 를 가지기도 하였으나, 절대값이 .7을 넘어가는 수치는 존재하지 않으므 로 다중공선성 문제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차별 경험과 매개변수인 사회참여 서비스 충분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r=.110, p<.01)를 보였다. 또한 독립변수와 통제변수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차별 경험과 연령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106, p<.05), 차별 경험과 국

구분 공차 분산팽창

요소 구분 공차 분산팽창

요소

차별 경험 .948 1.055 장애등록상태 .796 1.256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 .922 1.085 주요진단명 .877 1.140

성별 .947 1.056 거주지역 .979 1.021

교육수준 .958 1.043 재활시설 유형 .894 1.118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여부 .823 1.215 연령 .476 2.099

배우자 여부 .901 1.110 유병 기간 .588 1.792

<표 9> 주요 변수의 공차 및 분산팽창요소

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 (r=.159, p<.01)를 보였다.

다음으로, 매개변수와 통제변수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사회참여서 비스 충분도와 연령은 부적 상관관계(r=-.144, p<.01)를 보였으며, 사회 참여서비스 충분도와 배우자 유무 또한 마찬가지로 부적 상관관계 (r=-.131, p<.01)를 보였다. 그러나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와 장애등록 상태는 정적 상관관계(r=.098, p<.05)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통제변수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통제변수는 연령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여 부(r=.299, p<.01), 연령과 배우자 유무(r=.175, p<.01), 연령과 장애등록상 태(r=.212, p<.01), 연령과 주요진단명(r=.184, p<.01), 유병 기간(r=.659, p<.01), 성별과 배우자 유무(r=.126, p<.0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여부와 장애등록상태(r=.268, p<.0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여부와 유병 기간(r=.170, p<.01), 배우자 유무와 유병 기간(r=.136, p<.01), 장애 등록상태와 주요진단명(r=.309, p<.01), 장애등록상태와 유병 기간(r=.143, p<.01), 주요진단명과 유병 기간(r=.174, p<.01)이었다.

그리고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통제변수는 연령과 교육수준(r=-.146, p<.01), 연령과 재활시설 유형(r=-.180, p<.01), 성별과 장애등록상태 (r=-.156, p<.01), 성별과 주요진단명(r=-.093, p<.05), 교육수준과 국민기 초생활보장제도 수급여부(r=-.105, p<.05), 교육수준과 배우자 유무 (r=-.064, p<.05),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여부와 재활시설 유형 (r=-.168, p<.01), 배우자 유무와 장애등록상태(r=-.105, p<.05)이다.

차별 경험

사회참여 서비스 충분도

연령 성별 교육수준

국민기초 생활보장 제도 수급 여부

배우자 유무

장애등록

상태 주요진단명 유병 기간 거주 지역 재활시설 유형

차별 경험 1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 .110 ** 1

연령 .106 * -.144 ** 1

성별 .002 -.038 .021 1

교육수준 -.015 .014 -.146 ** -.040 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여부 .159 ** .055 .299 ** -.080 -.105 * 1

배우자 유무 .046 -.131 ** .175 ** .126 ** -.064 * -.062 1

장애등록상태 .074 .098 * .212 ** -.156 ** -.057 .268 ** -.105 * 1

주요진단명 .012 .055 .184 * -.093 * -.030 .090 -029 .309 ** 1

유병 기간 .052 -.078 .659 ** -.048 -.054 .170 ** .136 ** .143 ** .174 ** 1

거주 지역 -.090 -.040 -.019 -.003 .058 -.057 -.021 -.008 -.056 .000 1

재활시설 유형 -.046 -.079 -.180 ** -.063 .067 -.168 ** .087 .058 .021 -.065 .076 1

* p < .05 ** p < .01 *** p < .001

<표 10>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

제 3 절 가설 검증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평가-대처 모델을 기반으로 정신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적극적 대처행동의 한 양상으로서 도움 요청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가 매개의 역할을 하는지 판단하는 데 있다. 나아가, 충분도를 높게 인식하는 집단과 낮게 인식하는 집단으로 나누어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나타나는 양상이 어떻 게 다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제3절에서는 세 가지 모형을 검증하였다.

먼저, [모형 1]은 연구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통제변수를 포 함하여 정신장애인의 차별경험이 도움 요청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기 위해 OLS(Ordinary Least Squares) 추정방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 [모형 2]는 연구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적용하고, SPSS PROCESS Macro Model 4번을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분석하 였다. 마지막으로 [모형 3]은 연구가설 3을 검증하기 위해 설계한 것으 로,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개별값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이분하여 각 집단에서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Model 59번을 활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