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정신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적극적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63

정신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도움 요청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령, 성별, 교육수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여부, 배우자 유무, 장애등록상태, 주요진단명, 유병 기간, 거주 지역, 재활시설 유형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 1]에서 독립변수인 차별 경험과 통제변수를 투입하여 분석한 결 과, 분석 모형의 적합도 F값은 31.896으로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수정된 설명력은 .425로 모형에 포함된 변수들은 적극적 대 처행동으로서 도움 요청 행위 변량의 42.5%를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회 귀계수를 살펴본 결과, 정신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증가할수록 도움 요청 행동이 증가하여(B(se)=.494(.027), p<.001), 차별 경험이 도움 요청 행위 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정신장애인 이 차별을 많이 경험할수록 적극적 대처행동을 적게 보일 것이라는 연구 가설 1은 기각되었다. [연구문제 1]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 11>에 제시 하였고, 검증된 연구모형은 [그림 5]와 같다.

변수명 B S.E. β t

상수 -1.545 .863 -1.790

통제변수

연령 .001 .017 .002 .033

성별 -.701 .271 -.094 -2.583 **

교육수준 1.058 .511 .075 2.071 *

국민기초생활 보장제도 수급 여부

-.062 .289 -.008 -.213

배우자 유무 -.022 .559 -.001 -.039

장애등록상태 .004 .345 .000 .013

주요진단명 .218 .321 .026 .679

유병 기간 -.010 .018 -.027 -.571 거주 지역 .297 .267 .040 1.112 재활시설 유형 .273 .275 .037 .994 독립변수 차별 경험 .494 .027 .655 18.154 ***

R2 .439

수정된 R2 .425

F 31.896 ***

* p < .05 ** p < .01 *** p < .001

<표 11> 정신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적극적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그림 5] 차별 경험이 도움 요청 행위에 미치는 영향

2.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의 매개효과

[연구문제 2] 차별 경험이 적극적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 가 매개하는가?

연구가설 2. 차별 경험이 적극적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가 매개할 것이다.

[모형 2]

(식 2-1)     

(식 2-2)      

: 도움 요청 정도

: 차별 경험

: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

: 연령

: 성별

: 교육수준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여부

: 배우자 유무

: 장애등록상태

: 주요진단명

: 유병 기간

: 거주 지역

: 재활시설 유형

[연구문제 2]는 차별 경험이 적극적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가 매개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매개효과를 검증 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3단계 검증방법을 적용하였고, 최종 적으로는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Model 4번을 활용하였다. Baron & Kenny(1986)에 따르면, 3단계를 거 쳐 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1단계에서는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통 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쳐야 하고, 2단계에서는 독립변수가 매개변수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 한편, 1단계에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는 이미 [연구문제 1]에 대한 검증을 통해 확인 되었다. 따라서 이어지는 내용에서는 2단계와 3단계의 검증 과정을 제시 하였다.

2단계 검증의 분석 결과는 <표 12>에 제시되어 있다. 2단계 검증 결 과, 독립변수인 정신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에 미 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모형 2]의 모형 적합도는 F=5.169로, 유의수준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모형 2]의 수정된 설명력은 .072로, [모형 2]에 투입된 변수들이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의 전체 변량 중 7.2%를 설명하였다.

차별 경험은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 다(B(se)=.346(.090), p<.001). 이는 정신장애인이 삶 속에서 더 많은 차 별을 경험할수록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참여서비스의 충분도를 높게 인 식하게 됨을 의미한다.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나왔기 때문에, 매개효과 분석을 위한 2단계 조건을 충족하 였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통제변수 중에서는 연령(B(se)=-.194(.053), p<.01), 교육수준 (B(se)=-1.071(1.589), p<.05), 배우자 유무(B(se)=-3.665(1.837), p<.05), 재활시설 유형(B(se)=-2.453(.908), p<.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는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고등학교 졸업 미만인 사람이 고등학교 졸업 이상인 사람보다, 배우자가 있는 사람보다 배우자가 없는 사람이, 이용하고 있는 시설의 유형이 거주형이 아닌 이용형인 사람이 사회참여 서비스 지원이 충분하다고 인식함을 의미한다. 반면, 성별과 국민기초생 활보장제도 수급 여부, 장애등록상태, 주요진단명, 유병 기간, 거주 지역 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3단계 검증의 분석 결과는 <표 13>에 제시되어 있다. [모형 3]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모형적합도는 F=33.198로 유의수준 p<.001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모형 3]의 수정된 설명력은 .453으

변수명 B S.E. β t

상수 9.800 2.654 3.693 **

통제변수

연령 -.194 .053 -.202 -3.632 **

성별 -.522 .887 -.024 -.589

교육수준 -1.071 1.589 -.027 -.674 *

국민기초생활보장

제도 수급 여부 1.127 .960 .052 1.173 배우자 유무 -3.665 1.837 -.038 -1.995 * 장애등록상태 2.124 1.125 .085 1.889

주요진단명 .921 1.043 .038 .882

유병 기간 .008 .057 .007 .142

거주 지역 -.728 .888 -.033 -.819 재활시설 유형 -2.453 .908 -.112 -2.702 **

독립변수 차별 경험 .346 .090 .157 3.867 ***

R2 .089

수정된 R2 .072

F 5.169 ***

* p < .05 ** p < .01 *** p < .001

<표 12> 정신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에 미치는 영향

로, 전체변량의 45.3%를 설명한다. 한편, [모형 3]의 수정된 R2은 .453로, [모형 1]에서 매개변수를 제외하고 독립변수와 통제변수만을 투입했을 때의 수정된 R2값인 .425보다 상승하였으며, 증가한 .028은 사회참여서비 스 충분도의 투입에 의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분석 결과, 다른 통제변수들을 투입하였을 때도 매개변수인 사회참여 서비스 충분도가 도움 요청 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났다(B(se)=.133(.051), p<.01). 이는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가 1단위 증가할 때, 도움 요청 행위의 수준은 .112만큼 증가함을 뜻한다.

따라서 매개변수인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가 종속변수에 정적인 방향으 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기 때문에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세 단계 의 조건을 모두 충족한다.

그리고 독립변수인 차별 경험이 도움 요청 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변수들을 모두 통제한 상태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B(se)=.448(.027), p<.001). 따라서 차별을 1단위 더 많이 경험할수록, 도 움 요청 행위의 수준은 .160만큼 증가한다.

통제변수 중에서는 성별(B(se)=-.682(.270), p<.05), 교육수준 (B(se)=1.057(.507), p<.05), 재활시설 유형(B(se)=-.352(.275), p<.01)이 적 극적 대처행동인 도움 요청 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성이 여성보다, 교육수준이 고등학교 졸업 이상인 사람이 고등학교 졸업 미만인 사람보다, 이용형 재활시설을 이용하고 있 는 사람이 거주형 재활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사람보다 더 적극적 대처행 동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Baron & Kenny(1986)의 3단계 검증법에 따르면, 3단계 모형에서는 독 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력이 1단계 모형에서 독립변수의 종속변 수에 대한 영향력보다 감소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정신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적극적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라는 매 개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차별 경험이 도움 요청 행위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 크기를 비교한 결과, 비표준화회귀계수값이 .494에서 .448로 감소하 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차별 경험이 적극적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 향에 있어서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의 매개효과를 다시 확인하였다. 모

변수명 B S.E. β t

상수 -1.782 .862 -2.066 *

통제변수

연령 .008 .017 .023 .451

성별 -.682 .270 -.091 -2.527 *

교육수준 1.057 .507 .075 2.083 *

국민기초생활보장

제도 수급 여부 -.113 .288 -.015 -.394

배우자 유무 .068 .556 .005 .122

장애등록상태 -.088 .345 -.010 -.256

주요진단명 .181 .319 .021 .566

유병 기간 -.012 .018 -.031 -.654 거주 지역 .326 .266 .044 1.226 재활시설 유형 -.352 .275 -.048 -1.280 **

독립변수 차별 경험 .448 .027 .160 16.596 ***

매개변수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 .133 .051 .112 2.597 **

R2 .464

수정된 R2 .453

F 33.198 ***

* p < .05 ** p < .01 *** p < .001

<표 13> 정신장애인의 차별 경험과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가 적극적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형별 최종 결과는 <표 14>,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모형은 [그림 6]으로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모형 1 DV: 적극적 대처행동

모형 2

DV: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

모형 3 DV: 적극적 대처행동

B β t B β t B β t

차별 경험 .494 .655 18.154*** .346 .157 3.867*** .448 .160 16.596 ***

사회참여 서비스 충분도

.133 .112 2.597 **

<표 14> 모형별 최종 결과 정리

[그림 6] 차별 경험과 도움 요청 행위,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차별 경험과 도움 요청 행위의 관계에서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 매개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Model 4번을 활용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표 15>에 제 시되어 있다. 간접효과는 95% 신뢰구간의 하한값과 상한값 사이에 0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판단한다(Shrout &

Bolger, 2002). 본 모형에서 간접효과의 크기는 .0461로 나타났으며 신뢰 구간[.0002, .0194]이 0을 미포함하고 있어, 양의 간접효과는 p<.05 수준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차별 경험과 적극적 대처행동의 직접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부분매개 관계임을 다시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를 통해 연구가설 2가 지지되었음이 재확인되었다.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Effect S.E. t p

총효과 직접효과 + 간접효과 .4942 .0272 18.1538 .0000 직접

효과

차별 경험 è 도움 요청 행위

.4481 .0271 16.5963 .0000

Effect BootSE BootLLCI BootULCI

간접 효과

차별 경험 è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

è 도움 요청 행위

.0461 .0018 .0002 .0194

<표 15>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3.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 수준에 따른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