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중국의 지역 전략으로서 일대일로와 상하이협력기구

Dalam dokumen PDF ã*ÉæÁ ö á ä (Halaman 191-200)

개혁개방 초기 중국의 발전 전략은 어떤 강대국과도 동맹을 맺지 않는 독립적인 외교 정책과 함께 자원 낭비를 피하고자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국제 분쟁에는 개입하지 않으면서 경제발전 목표를 달 성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2000년대 이래 중국의 고속성장으로 이 러한 상황이 바뀌었고, 국제적으로 중국의 더욱 적극적인 역할이 기대되었다. 우선 중국의 성공적인 경제발전과 강대국화로 중국의 참여 없이 세계적인 정치‧경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어려웠다. 그 리고 급속도의 성장과 수출에 기반을 둔 중국의 경제 발전모델로 인해 원자재 부족 문제, 새로운 수출 시장의 필요성이 생겼고 이로 써 중국의 역할이 더 적극적으로 변할 수밖에 없었다. 마지막으로 중국 국내 문제인 환경, 과잉 노동력 등은 다른 국가들 특히 인접국 들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이와 같은 세 가지 이유로 중국 은 국제무대에서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밖에 없었다. 중국의 공 세적인 외교 정책의 하나로 등장한 중국의 일대일로는 정치적인 목 적이 있었다. 즉 중국의 일대일로는 아시아 지역뿐만 아니라 서방 의 발전 개념, 특히 민주주의에 대한 대안으로 중국의 발전 개념과 모델을 제공한 것이다.161)

즉, 중국의 일대일로와 SCO와 같은 지역 다자 협력체는 중국 외 교의 자신감 발현이자 국내 문제를 외부와의 연계와 협력을 통해 해결하려는 의도로 만들어진 것이다.

161) Alexander Lukin, The China and Russia: The New Rapprochement, pp. 16~19.

가.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중국의 일대일로는 중국의 부상과 중국의 강대국화와 연계시킬 수 있고, 이는 패권 국가의 역할과 정체성 확립을 위한 도구로써 분 석할 수 있다.162) 일대일로에 대한 또 다른 관점은 이 정책이 미국 오바마 정부의 아태 재균형 정책에 대응하는 성격이라는 것이다.163) 이와 관련하여 중국의 일대일로는 유라시아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위해 추진하는 것으로 이에 대응하여 러시아는 EAEU를 추진하고, 미국은 신실크로드 전략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즉 미국은 이러한 전 략을 통해 유라시아 국가들의 대중 혹은 대러 의존도를 줄이고 유라 시아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의도이고, 중국과 러시아는 양국의 지역 전략 속에서 경쟁과 협력을 통해 유라시아에서 세력을 강화하려는 것이다.164)

정치‧경제적 측면에서 일대일로를 살펴본 연구는 일대일로가 달러 패권에 대한 도전, 중국 서부 지역 경제 발전 추진과 글로벌 영향력 확대, 중국의 새로운 경제 운용 방식 제시 등의 요인을 제시하기도 했다.165) 그리고 외부와의 연결과 영향력 확대의 관점에서 2013년

162) 홍건식, “시진핑의 중국몽과 정체성 정치-일대일로, AIIB 그리고 패권 정체성,” 󰡔국제 정치논총󰡕, 제58집 1호, (2018), pp. 99~146; 김애경,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구상 분석-제기배경, 추진현황, 함의 고찰을 중심으로,”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제 29호, (2016), pp. 112~144; 이정태, “중국 일대일로 전략의 정치적 의도와 실제 분석,” 󰡔대한정치학회보󰡕, 25권 1호, (2017), pp. 207~236.

163) 김흥규, “중국 일대일로 전략과 동북아 국제관계의 변화: 한계점과 전망,” 󰡔중소연구󰡕, 제23권 제2호 (2016), pp. 7~48.

164) 김재관, “미국의 ‘신실크로드 전략’과 중러의 대응,” 󰡔평화연구󰡕, 제40권 제3호 (2015), pp. 163~206; 중국의 일대일로를 미중 갈등과 지정학적 경쟁 속에서 본 연구는 다음을 참고; 원동욱, “중국의 지정학과 주변외교: ‘일대일로’를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 제17집 2호 (2016), pp. 293~328; 서정경, “지정학적 관점에서

본 시진핑 시기 중국외교: ‘일대일로(一帶一路)’전략을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제55집 2호 (2015), pp. 225~257.

165) 박홍서, “중미관계와 ‘일대일로’의 정치경제: 달러패권에 대한 취약성 극복을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 제18집 2호 (2016), pp. 73~110; 김옥준,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

중국의 실크로드 경제 벨트는 잠재적인 시장과 다른 지역으로 가는 통로로써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와의 경제 협력을 더욱 중시하는 것 을 의미했다.166) 일대일로의 이러한 연결성을 강조하여 네트워크 관점에서 일대일로를 살펴본 연구도 존재한다.167)

<표 Ⅵ-1> 중국 정부 발표 일대일로 성과

路)구상과 정치 경제적 함의: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축을 중심으로,” 󰡔국제정치연구󰡕, 제18집 1호 (2015), pp. 289~307; 남윤복,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정치경제운 용의 재구성,” 󰡔중국지식네트워크󰡕, 9권 (2017), pp. 185~222.

166) Alexander Lukin, The China and Russia: The New Rapprochement, p. 58.

167) 김인, “실크로드의 정치경제학: 중화경제권, 일대일로 전략구상과 국제관계,” 󰡔중국학 연구󰡕, 제86집 (2018), pp. 309~328.

성과 영역 성과 내용

정책조정과 소통

전문 영역 연계 협력: 디지털 실크로드(16개 국가와 협력 강 화 문건 서명), 표준 연계(49개 국가 지역과 85개 표준화 협력 협의 서명), 세무 협력(세수협정 협력네트워크 111개 국가 지 역으로 확대), 지식재산권(49개 연선 국가와 실무협정 추진 연 합 성명 발표), 법치 협력(국제상사 법원 건설 추진), 에너지 협 력(18개 국가와 에너지 협력 파트너 관계 형성), 농업 및 해양 (협력 구상 발표)

인프라 연결

철도: 러시아 유라시아철도 유라시아 대륙 16개국 108개 도 시 연결, 도로: 몽골, 러시아 등 15개 연선 국가와 18개 양자 및 다자 국제 운수 편리화 협정 체결, 항구: 47개 연선 국가와 38개 해운 협정 체결, 항공: 126개 국가 지역과 항공 운수 협 정 체결, 연선 국가와 새롭게 개설한 국제 항로 1239개, 에너 지: 중러 원유 파이프와 중국-중앙아시아 천연가스 파이프 라인 안정적 운영, 중러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일부 개통 예 정, 통신설비: 중러 광케이블 연결 진전, 국제통신연맹과 협 력 의정서 서명

교역과 투자 협력

12개 자유무역실험구 설립, 평균 관세 수준 세계무역기구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가입 시 15.3%에서 7.5%

로 하락, 2013~2018년 중국과 연선 국가 간 화물 무역 수출 입 총액 6조 달러 돌파, 중국 화물 무역 총액 비중에서 27.4%

도달, 중국과 17개 국가가 양자 전자상거래 플랫폼 기제 건설

출처: <共建“一带一路”倡议:进展、贡献与展望>, 中国一带一路网, 2019.4.23., <https://www.

imsilkroad.com/news/p/361571.html> (검색일: 2020.11.18.)에서 일부 내용 발췌

위의 표에서 보는 것처럼 중국 정부는 2019년에 발표한 보고서에 서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정책 조정과 소통, 인프라 연결, 교역과 투자 협력, 금융 협력, 문화‧사회 협력, 산업 협력 분야의 성과들을 선전하고 있다. 이는 서방 매체와 서구 국가들이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와 비관적인 전망을 쏟아내자 중국 정부 차원에 서 일대일로의 수많은 성과를 제대로 알리고 선전함으로써 서방 세 계의 일대일로와 관련된 중국 위협론을 불식시키려는 의도이다. 실 제 이러한 프로젝트들의 완성도와 지속가능성은 재평가가 필요하지 만, 그동안 중국 정부가 일대일로 사업에 얼마나 공을 들여왔는지 엿볼 수 있다.

한편 2020년 코로나 팬데믹과 이로 인한 세계 경제의 추락은 중국 의 일대일로 사업에도 큰 타격을 입혔다. 올해 2월, 이집트는 중국 일대일로 자금으로 시작된 세계에서 두 번째로 규모가 큰 화력 발전

성과 영역 성과 내용

금융 협력

실크로드기금과 유럽투자기금이 공동 투자한 중유럽 공동 투 자 기금 실질적 운영 시작, 27개국 재정부 일대일로 융자지도 원칙 비준, 중앙은행 다자개발기구 간 연합 융자 누계 투자 100개 이상 70여 개국 지역 포함, 20여 개 연선 국가와 양자 본원 화폐 상호 교환 안배, 7개 연선 국가와 런민비 청산 안배 건설, 런민비 국제 지불시스템 40개 국가 지역 건설 국민 간 이해

(문화사회 협력)

연선 국가에 17개 중국 문화 센터 설립, 35개 연선 국가 중의 약 해외 센터 건설, 43개 중의약 국제협력 기지 건설, 연선 개 도국 20억 위안의 긴급 양식 원조 제공

산업 협력

2013~2018년 중국 기업의 연선 국가에 대한 직접 투자 4천 억 달러 돌파, 이집트와 브라질 등 40여 개 국가와 산업 설비 협력 문건 체결,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일본 등 국가와 제3 자 시장 협력 문건 서명

소 건설을 무기한 연기하였다. 3월에 방글라데시 역시 화력 발전 계 획을 취소하였다. 파키스탄은 4월에 3백억 달러 규모의 전력 프로젝 트에 대한 상환 조건을 완화해 줄 것을 중국에 공식 요청하였다. 지 난 4월, 탄자니아의 존 마구풀리(John P. Magufuli) 대통령은 전임 대통령이 중국과 계약한 100억 달러 규모의 항구 개발 프로젝트를 취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이지리아 의회는 협력 프로젝트에 대한 중국의 대출 조건에 불리한 요소가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자 이를 전 면 검토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아프리카 지도자들은 세계적인 경 제 위기 속에서 중국을 포함한 채권국들이 1,450억 달러 대출 중 올 해 상환금 8억 달러 규모의 채무에 대한 긴급 면제를 요청했다. 베트 남에서도 신설된 지하철에 대한 시범 프로젝트가 COVID-19로 인해 지연되었는데, 이는 원래 계획보다 4년이나 지체된 것이었다. 하지 만 만약 중국이 일대일로 명목으로 대출을 제공한 것에 대해 상환 유예를 허용하면, 광산, 항구 등의 대출 담보에 대한 권리를 중국이 행사하는 계약조건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서방에서는 중국의 일 대일로가 다른 국가들을 채무의 덫에 빠뜨리고, 전략적으로 중요한 인프라에 대한 통제권을 중국이 가져가려는 의도라는 비판이 끊이 지 않았다. 이제 COVID-19 위기를 맞아 중국은 일대일로에 추가로 의료 실크로드를 주창하기 시작했다. 여러 가지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일대일로는 고속철도 건설을 통해 수여국의 경제 성장률을 3.4% 높이는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따라서 COVID-19 위기 이후 일대일로를 제외하면 전 세계적인 인프라 건설의 성장은 일어나기 어려울 것이다.168)

한편, 일대일로를 환영하지 않는 국가들도 있다. 예를 들어, 인도

168) “The Pandemic is Hurting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The Economist, 2020.6.4., <https://www.economist.com/china/2020/06/04/the-pandemic-is-h urting-chinas-belt-and-road-initiative> (검색일: 2020.6.4.).

Dalam dokumen PDF ã*ÉæÁ ö á ä (Halaman 19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