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중 ‧ 러 에너지 협력| 김규륜

Dalam dokumen PDF ã*ÉæÁ ö á ä (Halaman 147-151)

김규륜 통일연구원

현대 경제의 운영에서 필수불가결한 에너지 자원의 확보와 관련 된 복합적 문제는 국가의 존망을 좌우할 정도의 중요성을 가지고 있 으며, 중장기적 국가전략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또한, 에너지 의 수요와 공급의 역동적 속성은 경제성장에 즉각적이며 직접 큰 영 향을 미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한편, 국제관계에서 에너지 확보 를 둘러싼 각국의 경쟁은 국가 간 갈등의 주요 원인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국가 및 지역별 에너지 자원의 부존 상태는 지정학적 분석 의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제2차 대전의 종전과 함께 도래한 경제개발의 시기에 에너지를 둘 러싼 각국의 경쟁은 주로 서방 강대국의 석유 기업들에 의해서 좌지 우지했기 때문에 미국과 유럽은 중동의 석유를 상대적으로 저렴하 게 사용하였다. 하지만 1970년대에 벌어진 이스라엘과 아랍권 국가 간 분쟁은 석유 수출국들이 단합하는 계기를 만들어 내었으며, 석유 수출국기구(Organization of the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OPEC)의 등장과 함께 산유국의 힘을 보여주게 되었다. 그 당시 석 유파동(Oil Crisis)이라 불리었던 원유 가격의 급격한 상승 현상은 원유수입국들의 경제에 커다란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한정된 에너지원에 대한 심각한 인식과 함께 성장의 한계에 대한 전 세계적 반향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이후 에너지 사용을 줄여야 인류가 생존할 수 있다는 방향으로 에너지 수급과 관련된 정책이 수립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과거의 역사에 비추어 볼 때, 최근 COVID-19로 인해서 원유 가격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사건은 실로 경이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즉, 원유로 대표되는 에너지원에 대해 서 과거에는 고갈되어 가는(exhaustible) 자원이라는 인식이 중심을 이루었다면, 지금은 기술혁신(technological innovation)으로 인해 서 상업적 이익이 보장된다면 언제든지 개발할 수 있는 생산가능

(producible)의 문제로 바뀌었다는 점도 중요한 변화이다.

1980년대 말에서 1990년대 초반에 진행된 사회주의권의 붕괴로 인한 시장경제의 전 세계적 확산은 그동안 경제개발에서 소외되었던 국가들의 경제성장을 촉발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중국 및 중동부 유 럽 국가들을 포함해서 전 세계적으로 산업화가 가속화되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폭발적 산업화는 필연적으로 에너지에 대 한 수요를 증가시키게 되었으며, 에너지원의 적극적 개발과 무분별 한 확대 사용은 지구 온난화의 직접적 원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이와 관련, 중국의 에너지 소비 양상의 변화는 세계적으로 주목 하는 사안이다. 즉, 중국은 냉전 시기에는 자국이 보유하고 있는 막 대한 석탄 자원의 부존 상황과 상당한 수준의 원유 보유량을 활용한 에너지 수급 정책을 통해서 경제를 운영하는 자급적 정책을 유지하 였다. 하지만 냉전의 종식과 시장경제의 확산은 중국에도 경제적 도약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는데, 중국은 후발 경제개발국으로서 고도성장을 지속하고자 막대한 양의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 러한 맥락에서, 중국과 같은 거대 국가가 지속해서 석탄에 의존한 에너지 정책을 펼친다면 기후 변화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러시아는 동토의 국가이지만 막대한 영토에 부존하고 있는 다양 한 천연자원의 존재가 경제 운영의 근간을 마련해 주고 있다. 물론 러시아의 풍부한 자원 보유는 역설적으로 소위 자원의 저주라고 불 리는 상황을 만들어 내고 있다. 즉, 에너지 수출을 통한 외화 획득 위주의 경제 운영은 시장경제의 효율적 운용에 긴요한 상업적 기술 발전을 상대적으로 더디게 하고 있으며, 에너지 가격의 급격한 부침 은 러시아 경제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

본 장에서는 본 연구의 주요 대상국인 중국과 러시아 간 에너지

협력의 과거와 현재 및 미래를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중국과 러시 아의 기본적 에너지 상황을 살펴보고, 중국과 러시아 간 에너지 협 력 현황을 정리한 이후, 중‧러 에너지 협력의 추동요인과 장애요인 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중‧러 에너지 협력의 변화가 한 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고자 한다.

Dalam dokumen PDF ã*ÉæÁ ö á ä (Halaman 147-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