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디푸스』, 김재인 역, 민음사, 2014〕

__________ (1977)

Dialogues(avec Claire Parnet),

PUF〔『디알로그』, 허희정 외 역, 동문선, 2005〕

__________ (1980)

Mille Plateaux(avec Félix Guattari),

PUF〔『천개의 고원』, 김재인 역, 새물결, 2001〕

__________ (1980)

Deleuze-Spinoza Cours du 06;01;81

__________ (1983)

Deleuze-Leibniz Cours du 19;04;83

__________ (1988)

Le Pli-Leibniz et le baroque,

PUF〔『주름, 라이프니츠와 바 로크』, 이찬웅 역, 문학과 지성사, 2004〕

__________ (1988)

Abécédére de Gilles Deleuze(avec Clair Parnet),

DIr.

Pierre-Anre Boutang, DVD, 〔대윤미디어, 2015〕

__________ (1990)

Pourparlers 1972-1990

, Les Editions de Minuit〔『대담 1972-1990』, 김종호 역, 도서출판 솔, 1993〕

__________ (2004)

Desert Island and Other Texts: 1953-1974,

trans. M.

Taormina, Semiotext(e); MIT Press.

__________ (2007)

Deuz Régimes de fous

, Minuit Descartes, R. 『철학의 원리』, 원석영 역, 아카넷, 2012 --- 『성찰』, 이현복 역, 문예출판사, 1997

Eugene W. Holland, (1999)

Deleuze and Guattari’s Anti Oedipus:

Introduction to schizoanalysis

Routeledge

F. Guattari (1977)

La révolution moléculaire,

Editions de Recherhes〔분자 혁명, 윤수종 역, 푸른숲, 1999〕

__________ (1979)

L'Inconscient machinique,

Editions de Recherhes 〔『기계 적 무의식』, 윤수종 역, 푸른숲, 2003〕

Freud, G.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성욕에 관한 세편의 에세이』, 김정일 역, 열린책들, 2004

_________「정신적 기능의 두 가지 원칙」, 「무의식에 관하여」, 『정신분석학의 근 본개념 』, 윤회기 역, 열린책들, 2004

_________「나의 이력서」, 『정신분석학 개요』, 박성수 역, 열린책들, 2004

_________「서른한번째 강의: 심리적 인격의 해부」, 『새로운 정신분석강의』, 홍혜 경 역, 열린책들, 2004

國分 功一郞 (2013)

ゥル-ズの哲學原理 國分

功一郞, 岩波〔『고쿠분 고이치로의 들뢰즈 제대로 읽기』 , 박철은 역, 동아시아, 2015〕

Hardt. M. (1995)

Gilles Deleuze: An Apprenticeship in Philosoph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마이클 하트, 『들뢰즈의 철학사상』, 이성민 외 역, 갈무리, 1996〕

Ellenberger H. F. (1994)

The Discovery of Unconscious

, Fontana Press Hughes. J. (2009)

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 A Reader's

Guide,

Continuum Intl Pub Group Jolley, N. (2005)

Leibniz,

Routledge

Jorati. J.(2017)

Leibniz On the Causation and Agen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Jung, C.G. (2001) 『융 기본 저작집 1:정신요법의 기본문제』,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 역, 솔

__________(2007) 『융 기본 저작집 4: 인간의 상과 신의 상』,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 역, 솔

Kant, I. (1781)

Kritik der reinen Vernunft

, hrsg. v, R. Schmidt, edit. Felix Meiner, Hamburg, 1990〔『순수이성비판2』, 백종현 역 아카넷, 2006〕

Kerslake, C. (2013)

Deleuze and The Unconscious,

Continuum Intl Pub Group

Klossowski, P. (1969)

Nietzsche et le Cercle Vicieux

, Mercure de France Paris〔『니체와 악순환』, 조성천 역 그린비, 2009〕

Lacan, J. (1957)

L’instance de la lettre dans l’inconscient ou la rasion depuis Freud

, Paris, PUF〔「무의식에 있어서 문자가 갖는 권위(주장) 또는 프로이트 이후의 이성」, 『욕망이론』, 권택영 외 역, 문예출판사, 1994〕

_________(1973)

Le séminaire ⅩⅠ

, Paris, Seuil〔『자크 라깡 세미나11』, 맹정 현 외 역, 새물결, 2008〕

Lambert, G. (2006)

Who’s Afraid of Deleuze and Guattari?

, Continuums

〔『누가 들뢰즈와 가타리를 두려워하는가?』, 최진석 역, 자음과 모음, 2013〕

Laplanche, J., Pontalis, J.-B.(1967)

Vocabulaire de la Phychanalyse

,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정신분석학 사전, 임진수 역, 열린책 들, 2005〕

Lee. S.(2014) ‘Toward a New Reading of Leibnizian Appetites: Appetites as Uneasiness’,

Res Philosophica 91

Le‘vi-Strauss, C. (1962)

La Pensee Sauvage

, Plon 〔『야생의 사고』, 안정남 역, 한길사. 1996〕

Leibniz, G. W. 『라이프니츠와 아르노의 서신』, 이상명 역, 아카넷, 2015

______________ 『형이상학 논고』, 윤선구 역, 아카넷, 2010

______________ (1976)

Philosophical Papers and Letters,

trans. L.E.

Loemker

______________ (1989)

Philosophical Essays,

trans. by Ariew and Garber, Indianapolis: Hackett

______________ (1996)

New Essays on Human understanding

, trans.

Remnant and Bennett, Cambridge

Mann, T. (2009) 『쇼펜하우어ㆍ니체ㆍ프로이트』, 원당희 역, 세창미디어

Massumi. B. (1992)

A User’s Guide to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Deviations from Deleuze and Guattari,

London, MIT

Nietzsche, F (1970)

Aurore,

trans. Julien Hervier, Gallimard〔아침놀, 니 체 전집 10권, 박찬국 역, 책세상, 2004〕

_____________(1971)

Ainsi Parlait Zarathoustra

, trans. Maurice de Gandillac, Gallimard〔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니체 전집 13권, 정 동호 역, 책세상, 2000〕

_____________(1971)

Par-dela bien et mal : la genealogie de la morale,

trans. Cornelius Heim, Isabelle Hildenbrand, Jean Gratien, Gallimard

〔선악의 저편ㆍ도덕의 계보, 니체 전집 14권, 김정현 역, 책세상, 2002〕

______________(1982)

Le Gai savoir,

trans. Pierre Klossowski, Gallimard〔

즐거운 학문, 니체 전집 12권, 안성찬 외 역, 책세상, 2005〕

_____________(1990)

Considération inactuelle I et II

, trans. Pierre Rusch , Gallimard〔비극의 탄생ㆍ반시대적 고찰, 니체 전집 2권, 이진우 역, 책세 상, 2005; 비극의 탄생, 박찬국 역, 아카넷, 2007〕

_____________(1996) Der Wille zur Macht, Kröner, 〔

La Volonté de puissance

, trans. Geneviève Bianquis, Gallimard; 권력에의 의지, 강수 남 역, 청하, 1992〕

宇野邦一 (2015)

ドゥル-ズ·知覺·イメ-ジ

, せりか書房〔들뢰즈, 유동의 철학, 김 동선 외 역, 그린비, 2008〕

Patton. P. (2000)

Deleuze and the Political

, Routeledge〔들뢰즈와 정치, 백 민정 역, 태학사, 2005〕

Plotinos, 『영혼-정신-하나: 플로티노스의 중심개념』, 조홍규 역, 나남, 2008 Reich. W. (1933)

Die Massenpsychologie des Faschismus,

trans. Herbert

Graf, Kiepenheuer & Witsch〔『파시즘의 대중심리』, 황선길 역, 그린비,

2012〕

___________(1936)

Die sexuelle Revolution

,, Fischer Taschenbuch 〔『성혁 명』, 윤수종 역, 새길, 2000〕

Schelling, F. W. J. 『자연철학의 이념』, 「자연철학 체계의 기획 서설」, 한자경 역, 서광사, 1999

Schopenhauer. A.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홍성광 역, 을유문화사, 2015 Simons, D., Chabris. C. 『보이지 않는 고릴라』, 김명철 역, 김영사, 2017

Spinoza, B. (1991)

The Ethics

, trans. Samuel Shirley, Hackett〔『에티카』, 황 태연 역, 비홍 2014〕

Wolff, C (2017)

The Law of Nations Treated According to the Scientific Method

, Trans. Thomas Ahnert, liberty fund

Zizek, S. (1998)

Cogito and the Unconscious: Sic 2

, Duke Univ Presss〔『코 기토와 무의식』, 라깡정신분석연구회 역, 인간사랑, 2012〕

--- (2000)

The Ticklish Subject: The Absent Centre of Political Ontology,

Verso〔『까다로운 주체』, 이성민 역, 도서출판b, 2005〕

________ (2003)

Organs without Bodies: Deleuze and Consequences,

Routledge〔『신체 없는 기관: 들뢰즈와 결과들』, 김지훈 외 역, 도서출판b, 2006〕

*국내 논문 및 저서

김상환, 「데카르트, 프로이트, 라깡: 어떤 평행관계」,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제8 권, 2006

_____, 「데카르트의 코기토에서 무의식적 주체로」, 『니체, 프로이트, 맑스』, 창작 과 비평사. 2002

---, 「철학과 정신분석」, 『니체, 프로이트, 맑스 이후』, 창비, 2002

김재인, 「들뢰즈의 ‘부분대상(objet partiell)’이론」, 『미학예술학연구』 제41집, 2014

김재희, 「잠재적 무의식, 경험의 현행적 조건」, 「순수생명의 잠재성과 배아적 무의 식」, 『베르그손의 잠재적 무의식』, 그린비, 2010

김정현, 「서양 철학사에 나타난 무의식의 개념」, 『한국정신치료학회지』, 제14권 제 1호. 2000

_____,「프로이트에게 미친 니체의 영향」, 『철학과 마음의 치유: 니체, 심층심리학,

철학상담치료』, 책세상, 2013

박제철, 「물체적 실체」, 『라이프니츠의 형이상학』,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3

박찬국, 「모든 가치의 근원은 힘에의 의지다」, 『그대 자신이 되어라』, 부북스, 2016

______,「쇼펜하우어의 형이상학적 욕망론에 대한 고찰」, 『철학사상』 36호, 2010 배선복, 『라이프니츠의 삶과 철학세계』, 철학과 현실사, 2007

백승영, 「생기존재론」, 『니체, 디오니소스적 긍정의 철학』, 책세상, 2005 성기현, 「발생론적 지각론」, 『들뢰즈의 미학』, 그린비, 2019

송유례, 「플로티누스의 ‘무의식적’ 행복 이론」, 『인문학연구』 37호, 2018 윤선구, 「현상세계의 형이상학적 근거」, 『철학』 57호, 1998

조홍규, 「플로티노스의 형이상학: Heneology의 이해를 위한 소고」, 『철학논집』 제 34집, 2013

천규석, 「유목주의는 침략주의다」, 『유목주의는 침략주의다』, 실천문학사, 2006 최길준, 「식물은 이웃이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까?」, 『한국분자ㆍ세포생물학회』,

2016

홍준기, 「들뢰즈의 욕망이론: 라깡적 관점에서의 비판적 고찰」, 『진보평론』, 2007

「시각의 메커니즘」, 『Newton Hightlight 97: 감각-놀라운 메커니즘』, ㈜아이뉴턴,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