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연구결과
6.3. 패스트푸드 주문 실험 결과
패스트푸드 주문 실험에 대해서도 측정 변수 및 실험에서 사용한 시스템 디자인 요소 개선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이변량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스템 디자인
요소 개선은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사용 의도 모두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 사용 의도 간 각각의 관계에서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9. 패스트푸드 주문 실험에서의 변인 간 상관관계
변수 1 2 3 4 5 6
1. 디자인 개선 -
2. 성별 -.101 -
3. 연령 -.040 -.364* -
4. 학력 -.119 .172 .047 -
5. 인지된 용이성 .745*** -.081 -.164 -.171 -
6. 인지된 유용성 .464** .075 -.238 -.014 .557*** - 7. 사용 의도 .454** .123 -.289 -.002 .506** .786***
주. n=40.
*p < .05, **p < .01, ***p < .001.
패스트푸드 주문 실험에서도 택시 호출 실험과 마찬가지로 가설 1부터 가설 5를 검증하기 위해 기존 시스템 사용을 0, 개선된 프로토타입 사용을 1로 더미 변환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지된 용이성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F=47.451, p < .001), 인지된 유용성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회귀모형(F=8.52, p < .05)과 사용 의도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회귀모형(F=34.89, p < .001)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표 10. 패스트푸드 주문 실험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사용 의도
B SE B SE B SE
디자인 개선 2.41*** 0.35 0.29 0.53 0.27 0.44
인지된 용이성 0.38* 0.16 0.03 0.14
인지된 유용성 0.79*** 0.13
주. n=40.
*p < .05, **p < .01, ***p < .001.
회귀계수 유의성 검증 결과, 가장 복잡한 모형의 VIF 값이 2.59 미만이었다. 시스템 디자인 요소 개선은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p < .001)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그러나 인지된 유용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p = .59) 가설 2는 기각되었다.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p < .05) 가설 3은 채택되었다. 인지된 유용성은 사용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p < .001) 가설 4는 채택되었지만, 인지된
용이성은 사용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p
= .84) 가설 5는 기각되었다. 이를 정리하면 <그림 7>과 같다.
그림 7. 패스트푸드 주문 실험에서의 변인 간 영향력 정리
다음으로 가설 6과 관련하여 시스템 디자인 요소 개선이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을 매개로 키오스크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부트스트랩을 이용하여 5,000번의 재표본추출(re- sampling) 작업을 거쳐 백분위수 방법(percentile method)으로 95%
신뢰구간을 계산하였고, 결과는 <표 11>과 같이 나타났다.
표 11. 패스트푸드 주문 실험에서의 매개효과
구분 B SE 95% 신뢰구간
LL UL
디자인 개선→ 용이성→ 유용성→
사용 의도
0.73 0.36 0.01 1.45
디자인 개선→ 유용성→ 사용 의도 0.23 0.44 -0.58 1.20 디자인 개선→ 용이성→ 사용 의도 0.07 0.61 -0.87 1.44 주. LL = 하한계; UL = 상한계.
분석 결과, 시스템 디자인 요소 개선과 사용의도 간에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을 통한 이중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B = 0.73, CI [0.01, 1.45]) 가설 6은 채택되었다. 그러나 인지된 유용성을 통한 단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CI [-
0.58, 1.20]), 인지된 용이성을 통한 단순 매개효과 또한 유의하지
않았다(CI [-0.87, 1.44]). 즉, 시스템 디자인 요소 개선은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의 이중 매개를 통해서만 키오스크 사용 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