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건강정보서비스 중장기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건강정보서비스 중장기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Copied!
206
0
0

Teks penuh

(1)

CL2-2011-17

건강정보서비스

중장기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2011. 1.

건 강 보 험 심 사 평 가 원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2)

제 출 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원장 귀하

이 보고서를 “ 건강정보서비스 중장기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 과제의 최 종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

2011 년 월 1

주관연구기관명 서울대 산학협력단 :

연구책임자 김 윤 서울의대 의료관리학연구소 : ( ) 연 구 원 이진석 서울의대 의료관리학연구소 : ( )

이진용 건양의대 예방의학교실 ( ) 오주환 서울의대 의료관리학연구소 ( ) 문상준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 ) 연구보조원 양봉석 환자복지센터 : ( )

이정아 서울의대 의료관리학연구소 ( )

임숙향 건양의대 예방의학교실 ( )

임준태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 )

장현갑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 )

(3)

차례

< >

제 장 서론 1 . ···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 1 가 의료 환경의 변화에 따른 건강정보서비스 필요 증가. ——————————————————————————————————————————————— 1 나 체계적인 건강정보서비스 제공 필요성. —————————————————————————————————————————————————————————————————————— 3 다 건강정보서비스 목표. ——————————————————————————————————————————————————————————————————————————————————————————————————— 4 연구 목적

2. ———————————————————————————————————————————————————————————————————————————————————————————————————————————————————————————— 6 연구 수행체계

3. ————————————————————————————————————————————————————————————————————————————————————————————————————————————————————— 7 연구 내용 및 방법

4. —————————————————————————————————————————————————————————————————————————————————————————————————————————————— 8 가 연구 내용. ————————————————————————————————————————————————————————————————————————————————————————————————————————————————————— 8 나 연구 방법. ——————————————————————————————————————————————————————————————————————————————————————————————————————————————————— 16 건강정보서비스 수요 분석

5. ——————————————————————————————————————————————————————————————————————————————————————————————— 19 가 심평원의 내부 건강정보 수요조사. ——————————————————————————————————————————————————————————————————————————— 19 나 의료이용자의 수요조사. —————————————————————————————————————————————————————————————————————————————————————————————— 47 다 정책 연구자료 제공 미충족 요구도. (Unmet Need) 조사————————————————————————————————————————— 57

제 장 건강정보서비스 중장기 마스터플랜 수립 2 . ··· 69

건강정보 기반 질병관리서비스

1. ———————————————————————————————————————————————————————————————————————————————————————— 69 가 질병관리서비스 제공의 전략과 목표. ———————————————————————————————————————————————————————————————————————— 69 나. PHR 기반의 적정의료 및 질병관리서비스 현황—————————————————————————————————————————————————————— 72 다 서비스 개발 내용. ————————————————————————————————————————————————————————————————————————————————————————————————————— 105 라 단기 전략. ————————————————————————————————————————————————————————————————————————————————————————————————————————————————— 110 마 중장기 전략. —————————————————————————————————————————————————————————————————————————————————————————————————————————————— 114 소비자 선택지원

2. —————————————————————————————————————————————————————————————————————————————————————————————————————————————— 115 가 소비자 선택지원 강화를 위한 전략과 목표. ——————————————————————————————————————————————————————————— 115 나 소비자 선택지원 서비스 현황. ————————————————————————————————————————————————————————————————————————————————— 116 다 외국사례 분석. —————————————————————————————————————————————————————————————————————————————————————————————————————————— 121 라 단기 전략. ————————————————————————————————————————————————————————————————————————————————————————————————————————————————— 128 마 중장기 전략. —————————————————————————————————————————————————————————————————————————————————————————————————————————————— 131 바 향후 발전방향. —————————————————————————————————————————————————————————————————————————————————————————————————————————— 143 정책 연구자료 제공

3. ———————————————————————————————————————————————————————————————————————————————————————————————————————— 144 가 연구 자료제공을 위한 전략과 목표. ———————————————————————————————————————————————————————————————————————— 144 나 정책 연구자료 제공 현황. ———————————————————————————————————————————————————————————————————————————————————————— 145

(4)

다 서비스 개발 내용. ————————————————————————————————————————————————————————————————————————————————————————————————————— 156 라 단기 전략. ————————————————————————————————————————————————————————————————————————————————————————————————————————————————— 158 마 중장기 전략. —————————————————————————————————————————————————————————————————————————————————————————————————————————————— 161

요약 ··· 165

(5)

표 차례

< >

표 1. 심평원 제공 정보————————————————————————————————————————————————————————————————————————————————————————————————————————— 4 표 2. 건강정보서비스의 고도화———————————————————————————————————————————————————————————————————————————————————————————— 5 표 3. 정보 제공 예———————————————————————————————————————————————————————————————————————————————————————————————————————————————— 5 표 4 정보이용 대상별 건강정보 콘텐츠 개발 양식——————————————————————————————————————————————————————————— 17 표 5. 심평원 웹사이트 분석———————————————————————————————————————————————————————————————————————————————————————————————— 24 표 6. 초점집단면접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51 표 7. 초점집단면접 내용————————————————————————————————————————————————————————————————————————————————————————————————————— 52 표 8. 응답자의 일반사항————————————————————————————————————————————————————————————————————————————————————————————————————— 61 표 9. 자료 요구도 여부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63 표 10. 자료 구득 시도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65 표 11. 자료 구득 여부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67 표 12. 자료의 이해 정도와 공용데이터 셋 사용 여부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68 표 13. 국내 건강증진 질병예방 질병관리 정보 제공 기관 및 제공 현황, , —————————————————————— 71 표 14. 고객 유형에 따른 현재 심평원의 정보 제공 현황——————————————————————————————————————————————— 117 표 15. 외국사례 건강정보 제공현황—————————————————————————————————————————————————————————————————————————————————— 121 표 16. 현 심평원 홈페이지를 재구성한 후 의료소비자에게 제공될 정보—————————————————————— 129 표 17. 질 평가 정보 제시 모식도————————————————————————————————————————————————————————————————————————————————————— 130 표 18. HCAHPS 조사방법————————————————————————————————————————————————————————————————————————————————————————————————— 134 표 19. 소비자 선택지원의 단계별 발전방향————————————————————————————————————————————————————————————————————— 143

(6)

그림 차례

< >

그림 1. 건강정보서비스 목표———————————————————————————————————————————————————————————————————————————————————————————————— 4 그림 2. 연구 진행 체계도————————————————————————————————————————————————————————————————————————————————————————————————————— 7 그림 3. 미국 Mediline Plus 질병관리서비스 화면—————————————————————————————————————————————————————————————— 8 그림 4. 영국 NHS Direct 질병관리서비스 화면—————————————————————————————————————————————————————————————————— 9 그림 5. 캐나다의 PHAC 질병관리서비스 화면——————————————————————————————————————————————————————————————————— 9 그림 6. 호주 HealthInsite 질병관리서비스 화면———————————————————————————————————————————————————————————————— 10 그림 7. 미국 CMS의 평가 결과 공개————————————————————————————————————————————————————————————————————————————————— 11 그림 8. 개별의사의 질적 수준 제시——————————————————————————————————————————————————————————————————————————————————— 11 그림 9. 영국 CHI Acute trusts 평가 결과————————————————————————————————————————————————————————————————————————— 12 그림 10. CQC 성과 평가 결과———————————————————————————————————————————————————————————————————————————————————————————— 13 그림 11. 미국 HCUP Database 화면—————————————————————————————————————————————————————————————————————————————————— 14 그림 12. 심평원 비전 및 전략과 연계한 방안 마련—————————————————————————————————————————————————————————— 18 그림 13. 심평원 비전 2020 경영전략 체계도————————————————————————————————————————————————————————————————————— 20 그림 14. 비전 2020 경영전략 목표와 건강정보서비스 연계—————————————————————————————————————————————— 23 그림 15. 심평원 병원 상세정보 화면—————————————————————————————————————————————————————————————————————————————————— 29 그림 16. 병원 평가정보 화면 (1) ———————————————————————————————————————————————————————————————————————————————————————— 30 그림 17. 병원 평가정보 화면 (2) ———————————————————————————————————————————————————————————————————————————————————————— 30 그림 18. 병원 진료비정보 화면——————————————————————————————————————————————————————————————————————————————————————————— 31 그림 19. 암질환 사용 약제 화면————————————————————————————————————————————————————————————————————————————————————————— 34 그림 20. 내가 먹는 약 알아보기 화면———————————————————————————————————————————————————————————————————————————————— 35 그림 21. 약품정보 화면——————————————————————————————————————————————————————————————————————————————————————————————————————— 36 그림 22. 약제비 계산기 화면—————————————————————————————————————————————————————————————————————————————————————————————— 37 그림 23. 사전신청 항암화학요법 및 요양기관 업무 화면————————————————————————————————————————————————— 38 그림 24. 상대가치 점수 조회 화면————————————————————————————————————————————————————————————————————————————————————— 40 그림 25.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0 New Vision ———————————————————————————————————————————————————————————— 69 그림 26. 건강정보 기반 질병관리 서비스 제공의 개념적 구성———————————————————————————————————————— 72 그림 27.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결과 및 건강위험도 서비스 화면—————————————————————— 74 그림 28.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 나이 서비스 화면——————————————————————————————————————————————————————— 75 그림 29.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대사성질환자 정보수집 화면—————————————————————————————————————————————— 76 그림 30. 건강샘의 My Health Record 화면—————————————————————————————————————————————————————————————————————— 78 그림 31. 건강샘의 생활습관 평가 화면—————————————————————————————————————————————————————————————————————————————— 79 그림 32. 건강샘의 질의응답 화면——————————————————————————————————————————————————————————————————————————————————————— 80

(7)

그림 33. 에버케어에서 제공하는 건강정보서비스 항목————————————————————————————————————————————————————— 82 그림 34. 365홈케어 홈페이지—————————————————————————————————————————————————————————————————————————————————————————————— 84 그림 35. My test result의 최근 검사 결과 화면——————————————————————————————————————————————————————————————— 86 그림 36. My test result의 검사 정보 화면———————————————————————————————————————————————————————————————————————— 86 그림 37. Past visit info에서 제공하는 과거 의료기관 이용 정보 화면———————————————————————————— 87 그림 38. E-mail my doctor's office의 이용 화면——————————————————————————————————————————————————————————————— 88 그림 39. Healthspace 초기화면——————————————————————————————————————————————————————————————————————————————————————————— 90 그림 40. Health details에서 체중 기입 화면————————————————————————————————————————————————————————————————————— 91 그림 41. Medications에서 약물 복용 이력 정보 입력 화면—————————————————————————————————————————————— 92 그림 42. Health Support System의 환자 정보 입력 화면———————————————————————————————————————————————— 94 그림 43. Medicare의 PHR 기반 질병관리 서비스 화면(MyMedicare) ————————————————————————————— 97 그림 44. Medicare의 예방의료서비스 제공 화면——————————————————————————————————————————————————————————————— 98 그림 45. MyMedicare 화면————————————————————————————————————————————————————————————————————————————————————————————————— 99 그림 46. 미국의 Second Opinion Manual(Medicare) —————————————————————————————————————————————————————— 103 그림 47. 영국 NHS 2nd Opinion Web ———————————————————————————————————————————————————————————————————————————— 103 그림 48. 유료 2nd Opinion Service 제공업체 홈페이지————————————————————————————————————————————————— 104 그림 49. 2nd Opinion 서비스 현황 요약————————————————————————————————————————————————————————————————————————— 105 그림 50. 단계별 서비스 유형———————————————————————————————————————————————————————————————————————————————————————————— 106 그림 51. PHR 기반의 맞춤형 만성질환 관리서비스의 영역——————————————————————————————————————————— 106 그림 52. 적정의료 이용 지원서비스의 영역————————————————————————————————————————————————————————————————————— 108 그림 53. 2nd Opinion 서비스 제공 절차————————————————————————————————————————————————————————————————————————— 110

그림 54. PHR 기반의 맞춤형 만성질환 관리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기전략 과제————————— 111

그림 55. PHR 기반의 맞춤형 만성질환 관리서비스 제공을 위한 중장기전략 과제—————— 114

그림 56. 건강정보 서비스 개발의 목표———————————————————————————————————————————————————————————————————————————— 116 그림 57. 현재 심평원에서 제공하는 주요 질환별 질 평가 정보————————————————————————————————————— 118 그림 58. 현재 심평원에서 제공하는 공급자 중심의 용어 및 지표의 예———————————————————————— 119 그림 59. 현재 심평원에서 제공하는 가공되지 않은 정보 (1) ————————————————————————————————————————— 120 그림 60. 현재 심평원에서 제공하는 가공되지 않은 정보 (2) ————————————————————————————————————————— 120 그림 61. 의료기관 기본정보 (1) (bed 수 진료비 입원기간, , ) —————————————————————————————————————————— 122 그림 62. 의료기관 기본정보 (2) (질환별 진료비 입원일 수 진료 가능 의사, , ) —————————————— 122 그림 63. 의사 기본정보 의사( profile, 행정처분 여부) ———————————————————————————————————————————————————— 123 그림 64. 질 평가 정보 생존율 합병증( , rating) ——————————————————————————————————————————————————————————————— 124 그림 65. 진료비 정보 질환 및 시술별 진료비( ) ——————————————————————————————————————————————————————————————— 125 그림 66. 의료이용자 만족도 정보 설문조사 내용———————————————————————————————————————————————————————————— 127

(8)

그림 67. 의료기관 기본정보 제시 모식도————————————————————————————————————————————————————————————————————————— 129 그림 68. 약제정보 제시 모식도————————————————————————————————————————————————————————————————————————————————————————— 129 그림 69. 건강정보 제공 채널의 다각화———————————————————————————————————————————————————————————————————————————— 131 그림 70. 소비자를 위한 콘텐츠 추가개발————————————————————————————————————————————————————————————————————————— 132 그림 71. 소비자를 위한 PHR 개발——————————————————————————————————————————————————————————————————————————————————— 135 그림 72. 요양기관 진료지원 정보시스템—————————————————————————————————————————————————————————————————————————— 136 그림 73. 의료기관 맞춤형 정보제공: “적정진료 지원서비스” ————————————————————————————————————————— 137 그림 74. 심평원 건강정보서비스 포털 홈페이지 구성내용—————————————————————————————————————————————— 138 그림 75. 홈페이지 접근방법 및 summary 정보제공———————————————————————————————————————————————————————— 139 그림 76. 상세정보에 구축될 의료기관 기본정보 및 질 평가 정보 예시( ) ——————————————————————— 140 그림 77. 상세정보에 구축될 진료비 정보 예시( ) ——————————————————————————————————————————————————————————————— 141 그림 78. 상세정보에 구축될 의료이용자 만족도 정보 예시( ) ——————————————————————————————————————————— 142 그림 79.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PHR 연계—————————————————————————————————————————————————————————— 142 그림 80. HCUP의 개6 database를 소개하는 웹페이지———————————————————————————————————————————————————— 147 그림 81. HCUP Data Use Agreement(DUA) training 화면——————————————————————————————————————————— 149 그림 82. CMS 자료이용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는 ResDAC ———————————————————————————————————————————— 153

그림 83. 다양한 Open data set을 제공하는 대만 건강 보험 사이트인 NHIRD ——————————— 156

그림 84. HCUP을 이용하여 생산된 학술 자료들을 소개하는 웹페이지———————————————————————— 158

그림 85. 대표적인 터미널 방식인 하버드 Nurses' Health Study 화면—————————————————————————— 162 그림 86. 미국의 환자 자료 웹사이트 DARTnet ——————————————————————————————————————————————————————————————— 164

(9)

제 장 1 .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가 . 의료 환경의 변화에 따른 건강정보서비스 필요 증가

1) 의료 이용자 측면

◦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되어 생활 환경이 개선되고 의학기술이 발달하면서 보건 의료의 초점이 질병의 치료보다 건강증진 예방으로 옮겨가면서 지금까지의 공급자, 우위의 보건의료체계가 빠른 속도로 소비자 중심의 보건의료체계로 전환되어 가고 있음 이러한 환경변화로 소비자들은 자신의 건강에 대해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지려. 하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음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많은 양의 건강정보가 전달되고 있으며 이는 건강정보에 대, 한 요구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함.

◦ 만성질환 발생률의 증가로 말미암아 의료기관에서의 질병 치료과정보다는 가정에서의 장기적이고 자조적인 관리기능의 중요성이 부각됨 또한 의료서비스를 더 많. , 이 필요로 하는 노인 인구의 증가로 각 가정의 건강관리 기능의 강화가 전 국민 차원 에서 필요하게 됨.

◦ 그러나 범람하는 정보와 의료기관으로 의료 이용자의 정보 선택에 제한되고 있어 국민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2) 의료 공급자 측면

◦ 의료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선호가 다양화되고 공급자 간 경쟁이 격화되면서 의료기관 스스로 의료이용에 관한 정보를 통해 자발적인 질 개선을 촉진하고자 하며 다른 의료기관의 수준을 파악하고 질 향상을 위한 벤치마킹에 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음.

3) 정부와 보험자 측면

◦ 현대 만성질환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말미암은 의료비의 지속적인 증가가 전 세계적인 보건문제로 대두하고 있음 특히 만성질환은 생활행태의 개선이 무엇보다. 도 중요하기 때문에 기존의 치료 위주의 의료보다는 개인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10)

사업의 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음 또한 의료 소비자도 기존의 치료 위주만. , 의 의료보다는 건강상담 건강관리 등 포괄적인 의료를 요구하고 있음 그러나 우리, . 나라는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사업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실정임.

◦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로 말미암아 보험자는 전통적인 보험자 역할의 변화를 요구 받고 있음 즉 최근의 보건 환경의 변화는 건강 보험자의 역할을 가입자와 피부양자. , 의 자격과 보험료관리 평가하는 전통적이고 수동적인 역할로부터 건강보험 가입자의, ‘ 건강 관리자 라는 적극적인 주체로써 자리매김하도록 하고 있음’ .

4) 연구자 측면

◦ 현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이하 심평원 의 개인자료는 적정성 평가와 의료이용심사( ) 등에는 활발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우리나라 국민 진료행태의 변화 진료, , 행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 건강상태의 파악 등의 사회과학적인 분석을 위한 연, 구 목적의 활용에는 미진한 실정임.1)

◦ 반면 외국의 사례를 볼 경우 공적체계나 목적으로 축적된 데이터를 공중에 여러, 가지 형태로 공개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전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있어 이의 이용, 이 다양하고 활발하여 대학이나 연구기관들에 의해서도 많은 연구가 시행되고 있음. 이러한 많은 연구는 궁극적으로 국민건강의 적절한 평가와 적절한 건강증진 및 보호 정책 수립에 활용되고 있음.

◦ 외국의 사례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하는 국민건강영양 조사 자료와 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하는 의료패널자료 등은 표준화된 변수세트로 구성된 자료를 연구자들이 원하는 경우 누구라도 홈페이지에 접근하여 구득할 수 있어 연구 자료가 필요한 많은 연구기관 및 대학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음.

◦ 그러나 국민건강보험 청구자료는 자료의 접근이 제한되어 일부 공공기관들을 중심으로 제한된 분석만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 자료를 활용한 연구를 하고자 하는 연구자에, 게 접근이 순조롭지 않아 청구자료가 정책 연구자료로서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음.

◦ 심평원에 축적된 방대한 진료정보는 행정목적 및 정책 연구 수행을 위해 사용될 경우 막대한 정책근거를 생산할 수 있으며 단일 보험자로 운영되는 장점으로 인해 세계, 적인 수준의 좋은 자료가 축적되어 가고 있음.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대한예방의학회 진료정보의 적정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 . 2008.

(11)

◦ 그러나 자료 외부 반출과정에서 개인정보 유출 우려 등의 잠재적인 문제로 원내에, 서 제한된 환경에서만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자료 제공 인력과 장비의 부족으, 로 수용에 부응하는 적절한 방식으로 정보 제공을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행정목, 적 수행 및 근거에 기반한 정책 생산과 발전에 상당한 지장이 초래되고 있음.

◦ 따라서 전 국민 단일 건강보험제도에 의해 축적된 많은 양의 청구자료에 대해서도 개인자료와 의료기관 자료의 광범위한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한 실정임.

나 . 체계적인 건강정보서비스 제공 필요성

◦ 심평원은 2001년부터 적정성 평가 등을 통해 국내 의료의 질 문제를 사회적 의제로 설정하고 평가 항목별로 임상 질 개선이 필요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평가에 적용한 결과 진료행태 개선을 촉진하는데 성과를 이루고 있음.

◦ 또한, 2007년부터 평가를 통해 나타난 질적 수준에 따라 진료비를 가감하는 사업을

추진하여 평가사업 영역을 확장하였음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급성심근경색증. 과 제왕절개분만 평가 우수기관에 진료비 인센티브를 지급하였고 평가 하위기관, 에 감액을 적용하고 있음.

◦ 이러한 평가 항목별로 산출한 종합등급은 홈페이지에 표시하여 의료이용자와 의료 공급자에게 공개하고 있음.

◦ 이외에도 의료의 질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선택권을 강화하기 위해 주요 13개 암 등 개 수술의 병원별 진료비와 입원일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장기이식술

38 , 등

특정시술분야이며 난이도가 높은 12개 수술 및 처지에 대한 병원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 그러나 현재의 건강정보서비스 제공 체계는 서비스의 분절적 제공 소비자의 필요, 미반영 관련 기관 간 자료 연계의 미흡 정책 연구자료로 활용 제한 등의 한계를, , 드러내고 있음.

◦ 따라서 이러한 서비스 정보를 의료소비자에게 필요한 평가 정보를 다양한 콘텐츠로 만들어 사용자가 더욱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관련 부서 및 타기관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여 체계적인 정보제공과 범위를 확대하는 등 진료정보의 활용도 향상이 필요함.

(12)

구분 제공항목

병원평가정보 감기의 항생제처방률 주사제 처방률 약품목수 급성심근경색증 뇌졸중 제왕절, , , , , 분만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수술별 진료량 요양병원 혈액투석, , , ,

병원 상세정보 특정진료정보

( )

체외충격파쇄석술 실시병원 혈액투석 실시병원 요양병원 중환자실 성인 신생아, , , ( , ), 손발가락 접합수술 화상치료병원 망막수술 사시수술 장기이식술 간 각막 등 , , , , ( ,

개 인공심박동기거치술 부정맥고주파절제술 심율동전환제세동기거치술 등

6 ), , ,

진료비, 입원일수 정보

암 수술 간암 갑상샘암 난소암 신장암 대장암 방광암 식도암 유방암 위암( , , , , , , , , , 자궁경부암 전립선암 췌장암 폐암, , ,

백내장 축농증 부비동염 편도선 아데노이드, ( ), ( )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관상동맥우회로술,

난소종양 담낭염 담석증 방광요도의 결석 자궁적출 맹장염 신장요관의 결석, , , , , , , 치질 탈장,

넓적다리골절 발골절 무릎관절 무릎반원판연골 무릎십자인대 손 손목골절, , , , , , 아랫다리골절 아래팔골절 어깨골절 엉덩이골절 팔죽지골절, , , ,

1. 심평원 제공 정보

자료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창립: 1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자료. 2010.

다 . 건강정보서비스 목표

◦ 이해 당사자별로 필요한 건강정보서비스의 정보가 다름 소비자 선택지원과 공급자. 의 벤치마킹 지원 건강정보교류, (EHR) 서비스는 의료 이용자 공급자 연구자 정, , , 부 또는 심평원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이며 질병관리서비스는 의료 이용자 공급자에게, , 그리고 정책 연구자료는 연구자와 정부 또는 심평원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임 따라. 서 위에서 제시된 필요한 건강정보서비스는 각 대상자의 필요(need)에 맞는 형태로 제공되어야 함.

그림 1. 건강정보서비스 목표

(13)

1) 건강정보서비스의 고도화

◦ 건강정보서비스는 서비스별로 제공 범위를 단계화하여 제공할 수 있음 예를 들면. , 의료 선택권과 공급자의 벤치마킹 지원 서비스는 단계로 소비자를 위한 단순 정보1 게시 의료기관의 질 비용 정보 부터 공급자를 위한 단계 맞춤 정보 맞춤형 비용( , ) 2 ( , 정보 만족도 제공 더 나아가 단계의 맞춤 서비스 제공으로 의료이용 상담, ) , 3 및 예약 서비스(2nd Opinion 상담 의뢰 등을 제공할 수 있음, ) .

서비스 제공 단계

질병관리서비스

1단계 질병 일반정보 제공

2단계 환자 맞춤 고혈압 정보

3단계 PHR 기반 건강상담

소비자 선택지원

단계 단순 정보 게시

1 : 의료기관 질 비용 정보 게시/ 단계 맞춤 정보 제공

2 : 맞춤형 비용 정보 만족도 정보/ / 단계 맞춤 서비스 제공

3 : 의료이용 상담 예약 서비스/

정책 연구자료 제공 1단계 건강보험통계

2단계 연구자 맞춤 의료이용 자료 2. 건강정보서비스의 고도화

2) 소비자 선택지원

◦ 의료 선택권을 지원하기 위한 건강정보서비스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서비스 활용(availability): 어떤 의료서비스를 어디서 받을 수 있는가? - 진료 비용(cost): 의료서비스를 받는 데 필요한 비용은 얼마인가?

- 의료서비스의 질(quality):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질적 수준은 어떠한가? - 서비스 만족도(satisfaction): 서비스를 받은 이용자는 그 서비스에 만족하는가?

◦ 이러한 의료 선택권을 지원하는 건강정보서비스는 지역 의료기관 의사 등으, , 로 구분되어 제공되며 제시되어 질 수 있는 정보 제공의 예는 다음과 같음.

이용 가능 병원 의사/ 비용 질적 수준 만족도

지역 전체

A ( ) ★★★☆☆ ★★☆☆☆ ★★★★☆

가 병원 전체

‘ ’ ( ) ★★☆☆☆ ★★★☆☆ ★★☆☆☆

‘a’ 의사 ★☆☆☆☆ ★★★★☆ ★★★☆☆

‘b' 의사 ★★★☆☆ ★★☆☆☆ ★☆☆☆☆

3. 정보 제공 예

(14)

2.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심평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건강 정보 중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 의료이용 질병 정보 유형 및 영역에 대하여 기존 정보의 이용가능성— (availability) 및 질적 수준을 평가하고 이를 국민에게 서비스하여 정보 활용을 극대화하는 중장기 전략을 마련하고자 함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음. .

- 첫째 심평원 건강정보서비스의 제공 목적, (goal) 및 기대 효과를 설정함.

- 둘째 소비자와 심평원 필요, (need)에 맞는 건강정보서비스 콘텐츠를 조사분석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건강정보서비스 전략을 개발함.

- 셋째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자원 법률 및 제도 개선책 마련을 위한 단기, , — 중장기 발전 전략을 개발함.

(15)

3. 연구 수행체계

◦ 본 연구의 진행 체계도는 다음 그림과 같음 그림( 2).

◦ 문헌고찰과 심평원의 비전 분석 인터뷰를 통하여 국내외 건강정보서비스 제, 공 현황을 파악함 우리나라에서는 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 , , 평가원에서 건강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대부분 세대의 정보게시 수준, 1 에 머물러 있고 의료이용자의 필요를 반영하고 있지 못함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객. , 의 요구도 조사를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개발하고자 함.

◦ 문헌고찰 심평원의 역량 분석 고객 요구도 조사 후 관련 컨텐츠를 개발하고 나면, , , 질병관리서비스 소비자 선택지원 연구지원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와 모든 고객을, , 포괄한 단순 정보게시에서 맞춤형 정보제공 온 오프라인 연계로의 고도화된 서비스, — 를 제공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함.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고 이 결과를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단기 중장기 전략, , 을 제시하고 추진 로드맵을 도출함.

그림 2. 연구 진행 체계도

(16)

4.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 연구 내용

1) 국내외 건강정보서비스 제공 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가 ) 질병관리서비스

◦ 미국의 Mediline Plus는 미국 NIH(National Institute of Health)와 미국립의학도서관

이 공동으로 다양한 질병 증상 검사 처치 및 수술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 , 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음 그림( 3).

◦ 영국에서는 NHS Direct에서 건강관련 상담 서비스 각종 질병에 대한 대처 요령, , 조언 병원 연결 등의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음 이러한 서비스는 인터넷 전화, . , , 디지털 TV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제공되며 연중무휴, 24시간 운영체계를 유지하고 있음 그림( 4).

그림3. 미국 Mediline Plus 질병관리서비스 화면

(17)

그림 4. 영국 NHS Direct 질병관리서비스 화면

◦ 이외에도 캐나다와 호주에서도 질병예방과 질병관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캐나다. 의 경우, PHAC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는 2008년 CHN (Canadian Health 가 개편된 것이며 각종 질병 정보와 위험요인 대처방법 등을 제공하고 있음

Network) , .

호주의 경우에는 HealthInsite에서 2001년부터 건강정보 포털사이트를 구축하여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그림( 5-6).

그림5. 캐나다의 PHAC 질병관리서비스 화면

(18)

그림 6. 호주HealthInsite 질병관리서비스 화면

나 ) 소비자 선택지원

◦ 미국 영국 등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서비스를 제공 운영하고 있는 국가들, ․ 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각 국가의 정책과 그들이 운영하고 있는 인터넷 건강 정보서비스 시스템을 분석함.

◦ 미국의 CMS (Center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는 질 평가 대상 지표와

매년 평가 각 대상 질환별로 결과를 산출하여 국민에게 공개하고 있으며 인센티브 지급 방식 수행방법 등을 제공하고 있음 그림, ( 7).

◦ CMS 외에도 심정지 후의 beta-blocker 치료 유방암 검진 자궁암 검진 콜레스테롤, , , 관리 당뇨 관리 고혈압 관리 등을 평가하고 있는, , NCQA (National Committee on

와 병원 요양병원 가정간호기관의 질 평가 결과를 공개하

Quality Assurance) , , 고

있는 Healthgrades, 정부 주도하에 환자가 받은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는

등의 주요 의료기관 질 평가 결과 CAHPS (Consumer Assessment of Health Plans)

보고 프로그램이 있음.

◦ 또한 뉴욕 뉴저지 펜실베이니아 버지니아 텍사스 캘리포니아 등 주 정부에서 환, , , , , , 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와 의료제공자의 자발적인 보고 결과, CABG (Coronary Artery

사망률을 의사별로 공개하고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있음 그림

Bypass Graft) ( 8).

(19)

그림 7. 미국 CMS의 평가 결과 공개

그림 8. 개별의사의 질적 수준 제시

◦ 영국도 국가 보건의료서비스 산하 모든 일반병원을 대상으로 평가하여왔던 CHI

가 로 통합되어

(Commission for Health Improvement) HC (Healthcare Commission)

평가관련 업무를 수행하다가 2009년 확대 개편된 CQC (Care Quality Commission)2)

2) www.cqc.org.uk/

(20)

에서 공공과 민간의 의료서비스를 조사 평가해 안전하고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 되었는지 점검하고 평가한 결과를 공개 및 제공하고 있음 그림( 9-10).

◦ NHS (National Health Service)는 환자 설문조사를 통해 환자 입장에서 국가보건의료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모니터링하며 상위 20% 병원과 하위 20% 병원을 비교 평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또한 민간 질 평가 프로그램인. , Dr Foster에서도 인터넷에 평가결과 병원별 사망률 의료진 수 대기시간 등 를 공개하고 있음( , , ) .3)

그림 9. 영국 CHI Acute trusts 평가 결과

3) http://www.drfosterhealth.co.uk/quality-reports/

(21)

그림 10. CQC 성과 평가 결과

다 ) 정책 연구자료 제공

◦ 미국의 ResDAC (Research Data Assistance Center) 에서는 CMS 자료를 연구자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이후 분석할 때 변수 설명 등을 유선으로 상담을 해주거나, 세미나나 워크숍을 하여 데이터 셋의 이해를 돕고 있음.

◦ 또한 미국의, HCUP (Health Cost & Utilization Project) 자료는 주 단위자료 개와3 국가 단위 자료 개로 총 개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여 각각의 자료를 동의3 6 서 작성 후 홈페이지를 통해 구입이 가능하도록 구축되어 있음 또한 자료마다 제공. , 변수가 100개 이상이며 타 기관의 자료와도 연계 가능하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음 그림( 11).

(22)

그림 11. 미국HCUP Database 화면

◦ 국내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 ( IN),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건강정보광장 기타 민간에서 질병 증상 치료에 대한 정보를 단순 게시하는 수준

( ), , ,

에서 건강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국내외 관련 웹 사이트의 이용실태 및 관리운영 관련 웹 사이트의 동향 등을 분석하여 심평원의 건강정보서비스 내용을, 확정하고자 함.

2) 심평원 건강정보서비스 제공 역량 분석

◦ 현재 심평원 홈페이지에서는 크게 국민 주요서비스와 요양기관 주요서비스로 구분 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 국민 주요서비스에서는 온라인 민원 질병정보 전문가 정보 알린 마당 참여마당, , , , 등으로 구분하여 온라인 민원에서는 진료비 확인 및 온라인 상담서비스 민원업무, , 자주 하는 질문 등 심평원에 대한 민원상담관련 서비스를 제공함 질병정보에서는. 질병에 대한 정보 자가진단 동영상 정보 등을 제공하며 전문가정보에서는 의료, , , 기관에 대한 평가정보와 본인부담 내역 약제비 등에 관한 병원 정보와 건강보험, 심사와 관련된 전문 정보 법령 기타 심사평가에 대한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함, , .

◦ 또한 요양기관 주요서비스에서는 요양기관을 위한 콘텐츠 구성 및 빠른 서비스에, 서 민원별 전화번호 용어사전 커뮤니티 등을 제공함, , .

(23)

◦ 이외에도 비급여 가격 표준코드 마련과 소비자가 진료비에 가격정보를 비교할 수 있는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내년부터는 진료비 가격정보를 제공할 예정에 있음.

◦ 그러나 이러한 정보들은 부서별로 개별 관리하여 제공하고 있고 관련 기관과 정보, 제공이 연계되지 않아 의료소비자 관점에서 정보의 차이를 파악하기 어려움.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보를 의료소비자 의료, 공급자 연구자로 대상자를 구분하고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임, . 아울러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의 전문성 및 특성을 고려하여 심평원의 특화된 정보 들을 모아 이용자들의 정보 접근에 대한 편리성을 높임으로써 양질의 건강정보체계를 유지할 수 있는 기반 구축을 검토하고자 함.

◦ 또한 심평원 고객의 소리, (VOC) 내용을 분석하여 고객의 소리에 제시된 건강정보의

필요(need)를 파악하고 심평원, 2020 비전과 전략 검토와 심평원 내부 고객의 인터뷰를

통해 심평원 내부의 건강정보서비스 제공 역량을 분석하고자 함.

3) 건강정보서비스 이용자 수요조사

◦ 현재까지의 의료서비스 관련 정보는 제공자 위주로 제공됨에 따라 정보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들에게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음.

◦ 불필요한 정보는 과잉 의료 및 건강관련 지출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결과는 결국 국민 개개인의 의료비 부담으로 이어져 국가 전체의 의료비 부담을 가중시킴 이에, . 정보획득 방법 및 획득 정보에 대한 이해당사자의 수요 조사가 필요함.

◦ 본 연구에서는 건강정보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하여 각 이해당사자 그룹별로 필요 정보 내용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앞으로 제공될 정보의 콘텐츠 및 서비스 제공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4) 건강정보서비스 콘텐츠 개발

◦ 문헌고찰과 외국의 사례 검토를 하고 심평원의 건강정보서비스 역량 분석 의료, 이용자 수요 조사를 통하여 심평원이 제공해야 할 정보의 영역을 설정하고자 함. 제공해야 할 건강정보의 영역은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음.

- 질병관리서비스에 대한 정보 - 소비자 선택지원에 대한 정보 - 정책 연구자료 제공에 대한 정보

(24)

5) 건강정보서비스 제공 중장기 마스터플랜 수립

◦ 개발된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 콘텐츠별로 다양한 이용 환경을 고려한 정보전달 방법을 고려하여 단기 또는 중장기 과제를 제시할 계획임.

나 . 연구 방법

1) 국내외 건강정보서비스 제공 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건강정보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하여 주로 다음 사항들을 검토할 것임.

- 제공 기관

- 제공하는 콘텐츠 및 현황 - 제공 방법

- 제공 대상자

- 제공된 정보의 활용 - 제공된 정보의 영향

2) 심평원 건강정보서비스 제공 역량 분석

◦ 심평원 2020 비전 및 전략 분석

- 심평원 비전 및 전략과 건강정보서비스를 연계한 내용을 분석함.

◦ 심평원 직원 대상 인터뷰

- 원장 홍보팀 기획조정실 고객센터 평가실 정보자원부 대상의 인터뷰를 시행함, , , , , .

◦ 심평원 웹사이트 분석

- 현재 제공되고 있는 건강정보 및 제공 방법을 분석함.

3) 건강정보서비스 이용자 수요조사

◦ 심평원 고객센터 민원정보 분석

- 고객의 소리(VOC)에 접수된 민원정보 분석을 통해 의료이용자 건강정보 필요(need)를 도출함.

(25)

◦ 건강정보서비스 이용자 초점집단면접 조사

- 대상자 암환자 내과계 및 수술받은 환자 일반인 정책 연구자: , , , - 대상 인원 집단별: 5~6명

- 조사 횟수 집단별 인터뷰 회 통합 인터뷰 회: 1 , 1

◦ 정책 연구자료 제공 미충족 요구도 조사 - 조사 대상 정책 연구자:

- 조사 방법 온라인 설문조사: (http://ko.surveymonkey.com) - 조사 시기: 2010년 12월 20일 ~ 2010년 12월 31일

4) 건강정보서비스 콘텐츠 개발

◦ 정보이용 대상자별 건강정보 콘텐츠 개발

- 표 와 같이 가지4 2 dimension으로 의료소비자 의료공급자 연구자 보험자 대상별로, , , 질병관리서비스 소비자 선택지원 정책 연구자료 제공에 대한 각각의 콘텐츠, , 를 개발함.

질병관리서비스 소비자 선택지원 정책 연구자료 제공 의료소비자

의료공급자 연구자 보험자 심평원( )

4. 정보이용 대상별 건강정보서비스 콘텐츠 개발 양식

◦ 심평원 비전 및 전략과 연계 방안 마련

- 건강정보서비스 중장기 마스터플랜 수립 시 심평원의 비전과 연계하여 현재 심평원이 하고 있는 서비스 일부를 제공할 수도 있고 기존 서비스에 추가 구성으로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음 또는 기존에 없던 서비스를 새로운 서비스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임 그림( 12).

(26)

그림 12. 심평원 비전 및 전략과 연계한 방안 마련

5) 건강정보서비스 제공 중장기 마스터플랜 수립

◦ 건강정보서비스 제공 연차별 시행 전략 제시 - 단기 전략 향후: 1~2년 내 시행 가능한 과제 - 중장기 전략 향후: 3~5년 내 시행 가능한 과제

◦ 건강정보서비스 제공 홍보 전략 제시

◦ 건강정보서비스 제공 관련 제반 환경 검토 - 법률 및 제도

- 자료의 질적 수준

-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의 효과

(27)

5. 건강정보서비스 수요 분석

가 . 심평원 내부 건강정보 수요조사

1) 심평원 비전 및 전략 분석

4)

◦ 심평원의 2020년 New 비전은 대 전략목표5 , 15개 전략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를 실행하기 위한 세부추진과제로 이루어져 있음 그림( 13).

◦ 5대 전략목표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효율 효과성 높은 심사는 효율, — — 효과성 높은 심사를 위해 자율 예방 중심 심사 확대‘ — ’, ‘심사와 현지조사 연계 강화’,

심사와 현지조사 연계 강화 전산심사 시스템 고도화 를 추진하는 것으로 정의됨

‘ ’, ‘ ’ .

◦ 두 번째 건강가치를 향상시키는 평가는 건강가치를 향상시키는 평가를 위해 진료, ‘ 결과 향상 및 평가 확대’, ‘심사와 평가 연계 강화’, ‘전문분야별 파트너십 구축 을’ 추진하는 것으로 정의됨.

◦ 세 번째 미래지향 정책개발은 미래지향 정책개발을 위해 선제적 정책지원체계 마련, ‘ ’, 의약품 관리 선진화 의료자원 이용 합리화 를 추진하는 것으로 정의됨

‘ ’, ‘ ’ .

◦ 네 번째 고객 중심 서비스 강화는 고객 중심 서비스 강화를 위해 수요자 중심의, ‘ 정보 제공 확대’, ‘CS 운영 및 관리체계 강화’, ‘고객서비스 개선 및 강화 를 추진하’ 는 것으로 정의됨.

◦ 마지막으로 경영선진화 및 기관 위상 제고는 경영 선진화와 기관 위상 강화를 위해 경영관리체계 선진화 투명 윤리경영 강화 인적 전문성 강화 를 추진하는 것으로

‘ ’, ‘ — ’, ‘ ’

정의됨.

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0 New비전 및 경영목표 수립 프로젝트 차 보고서1 . 2010.

(28)

그림 13. 심평원 비전 2020 경영전략 체계도

가 ) 효율 효과성 높은 심사 —

◦ 심사물량의 지속적인 증가와 건강보험재정 악화로 인한 업무의 효율성과 효과성에 대한 변화가 요구되고 있음 이에 심평원은 기존의 규제와 단속 중심의 심사에. 서 요양기관의 자율개선 활동을 지원하는 심사체계를 확립하고 사전청구 지원 강화를 통해 청구 오류를 감소시켜 심사 및 이의신청 등에 따른 행정 낭비를 최소화 하고자 함.

◦ 건강정보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건강정보교류 서비스가 필요할 것임 건강정보교류 서비스는 각 의료기관 전자의무기록. (EMR)의 진료기록 정보를 심평원으로 집중시켜 DB화시키고 이를 통해 개별 의료기관별로 세밀한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임 또한. , EMR과 연계한 실질 심사를 강화할 수 있으며 연구자에게 제공하는public data set을 활용한 선별(screening) 심사로 업무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음.

(29)

나 ) 건강가치를 향상시키는 평가

◦ 환자 중심의 진료체계 확산과 평가 수요의 다양화 진료정보의 제공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면서 심평원은 고객 맞춤형 정보 발굴 및 공개 확대에 대한 변화가 요구되고 있음 또한 부분적인 평가가 아닌 의료서비스 전반을 아우르는 평가의 확대와 평가. , 결과 활용에 대한 심평원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음.

◦ 이를 위해서 심평원은 진료결과 향상 및 평가 확대 심사와 평가 연계 강화 전문, , 분야별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전략적 과제를 제시하였음.

◦ 심평원은 2001년부터 적정성 평가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의료서비스 질 개선에 필요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임상질 영역으로 평가를 확대해 가고 있음 이러한 평. 가 결과는 소비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제공되어야 하며 소비자가 가고자 하는 의료기관의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할 것임 현재 심평원 홈페이지에서의 평가 결과. 는 소비자가 이해하기 어렵고 복잡한 구조로 제공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

◦ 또한 이러한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이용자 개개인이 필요로 하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

◦ 전문분야별 파트너십 구축은 먼저 심평원의 의료이용 자료에 많은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 이를 위해서 관련 대학과 연구기관의 건강보험 청구자료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의료의 질 향상에 필요한 적절한 평가와 건강증진 및 보호 정책 수립에 활용되어야 할 것임.

다 ) 미래지향 정책개발

◦ 의료기기 및 장비에 대한 관심 증대 원격진료 및 신의료기술의 확대 경쟁기관 간, , 역할 갈등이 심화되면서 보건의료환경의 변화에 맞는 정책의제 설정이 필요함.

◦ 이를 위해서 심평원은 선제적 정책지원체계의 확립과 의약품 관리 선진화 의료, 자원의 이용을 합리화하는 전략적 과제를 제시하였음.

◦ 건강정보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심평원은 정보 이용 연구를 활성화시켜 연구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정책 연구자료를 축적할 필요가 있음 결과적으로 이러한 적정 정보. 제공을 통한 합리적인 의료이용을 유도할 수 있음.

(30)

라 ) 고객중심 서비스 강화

◦ 유비쿼터스헬스케어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되면서 수요자 중심의 진료정보 제공, 활동 강화로 고객에게 감동을 주는 서비스로의 변화가 필요함

CS .

◦ 이를 위해 심평원은 수요자 중심의 정보 제공, CS 운영 및 관리체계 강화 고객, 서비스를 개선하고 강화하는 전략 과제를 제시하였음.

◦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심평원은 환자 개개인의 진료정보를 토대로 수요자 맞춤 건강관리 콘텐츠를 개발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임.

◦ 또한 수요자 중심의 진료정보 제공을 위해서는 소비자가 어느 병원에 가야 할지, , 어떤 의사에게 진료를 봐야 할지 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인 선택권 지원 서비스가 필요하고 요양기관은 진료행태 변화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이 필요함.

◦ 정보 선택권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 제공으로는 진료비뿐만 아니라 요양기관의 비급여 가격 병원위치 정보 의료기기 사용 정보 평가등급 의사정보 입원건수 및 기간, , , , , , 사망률 등이 있음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현재 심평원이 제공하고 있는 영역. 과 앞으로 제공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할 것임.

◦ 결과적으로 건강정보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심평원은 수요자 중심의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심사 평가자에서 건강관리자로서의 역할 확대를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

마 ) 경영선진화 및 기관 위상 강화

◦ 앞에 제시된 여러 가지 환경 변화와 심평원의 사업성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부족은 경영시스템과 심평원의 성장을 요구하고 있음.

◦ 이를 위해 심평원은 경영관리체계의 선진화 투명 윤리경영의 강화 인적 전문, — , 성 강화하는 전략적 과제를 제시하였음.

◦ 과제 달성을 위해 심평원은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을 통해 건강증진의 선도 기관으로서 위상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31)

그림 14. 비전 2020 경영전략 목표와 건강정보서비스 연계

(32)

고도화 구분 질병관리서비스 소비자 선택지원 정책 연구자료

제공 기타

1단계

국민서비스

(사이버

고객센터) — 고객의 소리

자주 하는 질문

— 진료비 확인요청

— 고객의 소리

— 불공정 신고

—

— 고객의

소리

직원부패 신고

— 행정정보 공개

— 설문 조사

— 열린 게시판

— 고객서비스 헌장

— 병원 질병—

정보 — 질병정보

병원 약국 정보

— —

평가기준 의견수렴

— 질병정보

— 본인부담적용 안내

— 이것도 보험이 되나요

— ?

해당 항목

— 없음 — 해당 항목 없음

약제 정보 — 해당 항목 없음

약제 급여기준정보

— 처방 조제 안전정보

— —

— 약품정보

해당 항목

— 없음 — 사전신청 항암화학요법 약제관련 신고센터

—

전문가

정보 — 해당 항목

없음 — 해당 항목 없음 — 심사평가

정책연구

각종 급여기준정보

— 상대가치점수

— 의료연구정보

— 심사평가정책연구소

— 응급의료비용대불금

— 행위 치료재료 약제평가

— — —

신청

요양기관

서비스 — 해당 항목

없음 — 해당 항목

없음

— 심사종합

각종 급여기준정보

— 현황변경관련

— 업무신청 및 자료제출

— 단순청구오류

—— Web 이의신청 및 심판청 평가결과조회

— 적정급여 자율개선제

— 의원 외래처방 요양급여

— 비용 가산지급 제도

2단계 약제 정보

처방 조제 안

— —

전정보(DUR) 내가 먹는 /약 알아보기

약제비 계산

— — 해당 항목

없음 — 해당 항목 없음

3단계 — 해당 항목

없음 — 해당 항목 없음 — 해당 항목

없음 — 해당 항목 없음

2) 심평원 웹사이트 분석

5. 심평원 웹사이트 분석 테이블

주 지속경영 알림마당) , , HIRA교육 마이페이지 항목은 테이블에서 제외함, .

가 ) 국민 서비스 사이버 고객센터 ( )

(1) 자주 하는 질문(FAQ)

◦ 고도화 수준: 1단계

◦ 서비스 내용 소비자 선택지원:

◦ 서비스 대상 의료소비자:

◦ 주요 내용

- 진료비 확인요청 진료비 확인에 대해 자주 하는 질문과 답변으로 정리되어 있음: . - 심사 요양급여비용의 심사에 대한 질문과 답변이 정리되어 있음: .

- 평가 요양급여의 적정성 평가 및 결과에 대한 질문과 답변이 있음: .

- 급여기준 행위 약제 치료재료에 대해 자주 하는 질문과 답변이 정리되어 있음: , , .

(33)

- 요양급여비용 청구방법 심사 불능된 경우의 청구방법 희귀난치성질환 지원대상자: , 의 지원금 청구방법 입원 중 타 병원 진료 단순청구오류 수정 및 보완에 대한 질문과, , 답변이 정리되어 있음.

- 요양기관현황 관련 요양기관현황 변경사항통보서 요양급여비용 수령계좌 변경: , , 시설 장비 공동이용 시 접수서류 및 요양급여비용 인정시점 등 전반적인 요양기관현— 황 관련 질문과 답변이 정리되어 있으며 조회수도 대부분 1,000회 이상이었음.

- 홈페이지 공인인증서 로그인 에러: , EDI 및 전산 매체 청구, DUR 서비스 청구, SW 인증업무 등 홈페이지 관련 다양한 질문과 답변으로 정리되어 있음.

- 기타 병원정보 검색 개인 진료내역 확인 부당청구 신고기관 처리절차 등 분야가: , , 구분되어 있지 않은 기타 질문에 대한 답변이 정리되어 있음.

◦ 이외 상담문의 바로 가기‘ ’, ‘E-BOOK 바로 가기 가 링크되어 있어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메뉴로 이동할 수 있음.

- E-BOOK 바로 가기 진료비확인요청 민원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발생하: 는

사례가 정리되어 있음. (2) 진료비 확인요청

◦ 고도화 수준: 1단계

◦ 서비스 내용 소비자 선택지원:

◦ 서비스 대상 의료소비자:

◦ 주요 내용 개인 회원 로그인 필수:

- 요청서 작성 진료비 확인 요청서 작성 화면으로 병원이나 의원 등에서 진료를 받고: 납부한 비급여 진료비가 법령에서 정한 기준에 맞게 부담�

Gambar

그림 1 . 건강정보서비스 목표
그림 3 . 미국 Mediline Plus 질병관리서비스 화면
그림 4 . 영국 NHS Direct 질병관리서비스 화면
그림 5 . 캐나다의 PHAC 질병관리서비스 화면
+7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