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질병관리 서비스 제공의 전략

가 ) 심평원의 미션 비전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미션과 비전의 핵심 키워드는 진료의 적정성 보장 임 이는‘ ’ . 공급자 측면에서는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적정 비용으로 제공하도록 지원 유도하는‘ — 것 을 의미하며 이용자 측면에서는 양질의 적정 의료를 이용하도록 지원하고 이에’ , ‘ , 부합하는 의료기관 선택을 지원하는 것 을 의미함’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미션 의료의 질과 비용의 적정성 보장: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법적 근거 요양급여 비용 심사와 요양급여의 적정성 평가:

- 2020 New Vision: 수요자 중심의 정보 제공

그림 25.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0 New Vision

나 ) 이용자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서비스 제공

◦ 공급자 중심이 아니라 이용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 이를 위해서는 다음의 요건을 충족해야 함.

- 맞춤형 대상자 다수에게 단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지양하고 개별 이용자를: , 위한 맞춤형 정보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함.

- 온라인 오프라인 연계 온라인상의 정보 제공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오프라인 서비- : 스 와의 연계가 적극적으로 지원되어야 함.

- 전문성 이용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검증된 정보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함.

다 ) 기존 서비스와의 차별성 확보와 기능 중복 지양

◦ 국내 건강증진 질병예방 질병관리 정보 및 서비스 제공 현황은 다음과 같음- - .

- 건강증진 질병예방 정보 건강한 사람과 고위험군이 자신의 건강을 유지 향상시키고, : — 질병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활동을 의미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립암센터 국민. , , 건강보험공단 등이 제공하고 있음 그러나 대부분 단순 정보 제공에 국한되어 있으. 며, 일부 일회성의 자가건강진단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

- 질병관리 정보 및 서비스 질병에 이환된 사람이 적정한 의료이용과 자가 관리: 를 통해 질병 악화와 합병증 발생을 방지하는 활동을 의미함 보건소에서 만성질. 환 등록 환자를 대상으로 이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서비. 스 이외에는 질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적 기관은 사실상 부재한 상황임.

◦ 심평원의 건강정보 기반 질병관리 서비스는 전체 건강관리 질병관리의 스펙트럼에- 서 질병관리 적정진료 에 우선순위를 두는 것이 바람직함

‘ - ’ .

기관 사이트 자료제공수준 제공자료 현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금연 길라잡이 1세대

흡연과 질병 정보 금연 배움터 운영 흡연자가 진단프로그램 금연동호회

온라인 상담실 관련 정책 정보

건강 길라잡이 1세대

건강 증진 정보 질병 정보 관련 통계 정보 관련 정책 정보 자가진단프로그램 온라인 상담실 응급 처치 안내

건강정보광장 1세대

건강 강좌 및 행사 정보 건강 정보 관련 사이트 집합 건강 뉴스 기사 취합 신고센터

의료기관 정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1세대

질병 정보 건강 증진 정보

건강 자가 진단 보사연 연동( ) 안심콜서비스(119 연동) 응급 처치 안내 --- 본인부담 적용 안내 보험적용 여부 안내

암센터 국가

암 정보센터 1세대

암 정보 관련 통계 국가 정책

암 예방 검진 정보, 암환자 생활 및 복지 정보

건강보험공단 건강인 2세대

건강 질병정보— 건강상담 자가건강진단 맞춤 건강관리

건강검진결과 -

건강 나이조회 및 건강개선자료 -

요양기관이용정보 건강검진안내

복지부 공공 보건포털 1세대

건강정보 자가진단 건강생활정보 13. 국내 건강증진 질병예방 질병관리 정보 제공 기관 및 제공 현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