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 개념
◦ 애초 진료를 받은 의사 이외의 전문가로부터 진단과 치료 방법에 대한 확진 차적/2 판단을 구하는 과정
나 ) 시행 현황
◦ 초기 시행 현황은 다음과 같음.
- 1972. 미국 병원 보험사 공동 프로그램으로 시행- , Voluntary
- 1976. 미국 Medicaid에서 일부 시술에 대해 시행, Mandatory
- 1978. 미국 Medicare에서 시범사업 시행
◦ 미국에서 의무화 규정은 ‘90년대 폐지, Medicare, Medicaid의 급여 항목으로 포함되어 환자 선택에 따라 서비스 이용이 가능함 영국 등에서는 환자의 알 권리와 선택권. 증진을 위해 활용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제왕절개술을 낮추기 위해 의무적으, 로 시행하고 있음.
◦ 유료로 2nd Opin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업체가 다수가 존재함.
- 공공기관의 2nd Opinion 서비스는 오프라인 진료를 기본으로 하는 데 반해 민간,
기관의 2nd Opinion 서비스는 온라인 자문을 기본으로 함.
다 ) 시행 목적
◦ 1970년대 2nd Opinion 서비스가 시작된 초기에는 불필요한 시술 감소와 비용 절감에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최근에는 환자의 선택권 향상 환자 진료의 질적 향상으, , 로 시행 목적이 확대되었음.
라 ) 대상 영역
◦ 미국에서2nd Opinion 의무화 대상으로 지정되었던 시술은 아래와 같음 이들 시술. 은 다빈도
시술이면서 의료기관 간 공급자 간 지역 간 시술량의 변이가 큰 특성이 있, , , 는 것들임.
- 자궁 절제술(Hysterectomy)
- 편도선절제술 인두 편도절제술/ (Tonsilectomy/Adenoidectomy) - 담낭절제술(Cholecystectomy)
- 탈장 복원술(Hernia repair) - 척추궁 절제술(Laminectomy) - 치핵절제술(Hemorrhoidectomy) - 척추융합술(Spinal fusion)
- 관상동맥우회술(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백내장제거술(Cataract removal)
- 임신중절술(Dilatation and curettage) - 관절 치환술(Joint replacement)
- 전립선비대증수술(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turp) - 비중격만곡절제술(Deviated nasal septum resection)
- 유방절제술(Breast surgery)
- 심장동맥성형술(Coronary angioplasty) - 족부수술(Foot surgery)
- 고막 절제술(Myringotomy)
- 정맥류절제술(Varicose vein excision/ligation)
◦ 의무화 규정이 폐지된 이후에는 2nd Opinion 대상이 특정 시술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진단 치료 수술 등 모든 진료 영역에 적용됨, , .
마 ) 참여 의료진
◦ 초기에는 일정한 요건을 갖춘 의료전문가에게 2nd Opinion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였으며 이 의사는, 2nd Opinion 환자의 시술을 할 수 없도록 규정하 였음 또한. , 1st 진료 의사와 2nd 진료 의사 간의 담합을 금지하는 규정을 적용함.
◦ 현재는 참여 의료진의 특정한 자격 요건은 없으나, 2nd 진료 의사들의 정보를 제공 하여 환자가 의사 선택에 활용하도록 지원하고 있음.
바 ) 비용
◦ 미국은 2nd Opinion 서비스를 Medicare 급여로 인정하여 비용의, 80%를 급여하고
있음 민간기관이 제공하는. 2nd Opinion 서비스는 건당 수수료를 이용자가 부담 하고 있음 업체와 서비스 내용에 따라 수수료의 차이는 있으나 평균적으로 건당. , 수수료는 약 $150~200 수준임.
그림 46. 미국의 Second Opinion Manual(Medicare)
그림 47. 영국 NHS 2nd Opinion Web
그림 48. 유료 2nd Opinion Service 제공업체 홈페이지
사 ) 2nd Opinion 서비스 현황 요약 및 시사점
◦ 2nd Opinion 서비스 현황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 초기에는 불필요한 시술 감소와 비용 절감에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현재는 환자의, 알 권리와 선택권 향상 의료의 질 향상으로 시행목적이 확대됨, .
- 초기에는 의무 적용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나 현재는 자발적 참여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음.
- 대상 영역 측면에서는 초기에는 공급자에 의한 과잉제공 부적절 제공 가능성이 큰, 수술을 중심으로 시행되었으나 현재는 진단 치료 수술 등 진료 영역에 제한 없이, , , 적용되고 있음.
- 초기 공공영역에서는 자격 요건을 갖춘 의사에게 오프라인으로 2nd 진료를 받은 후, 다른 의사에게 수술을 받는 방식으로 2nd Opinion 서비스가 제공되었음 현재는.
진료의사의 특별한 자격 요건은 없으나 의사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
2nd , 의
의사 선택에 활용하도록 지원하고 있음 유료 민간업체는 오프라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온라인 자문 서비스만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임, .
그림 49. 2nd Opinion 서비스 현황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