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01
현물 원유가격 추이
[일간 원유가격 변동] [주간 원유가격 변동]
자료: Reuters, 한국석유공사
9월 둘째 주 국제 유가는 허리케인 여파로 인한 미국 원유생산 차질 등 상승 요인과 OPEC의 석유수요 전망치 하향, 중국의 전략비축유 방출 등 하락 요인이 교차하며 혼조세를 나타냄.
∙ 허리케인 아이다(Ida)의 여파로 미국 원유생산에 차질이 지속되고 있음(Reuters, 9.7, 9.8).
- 멕시코만에서 생산되는 원유의 약 75%가 허리케인의 여파로 여전히 생산 중단된 상태임.
- 이번 태풍의 영향으로 멕시코만 연안의 정제시설이 가동 중단되었고, 이로 인해 현재 약 90% 수준인 미국 정제시설의 가동률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있음(OMR, 9.7).
-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올해 미국 원유생산을 11.08백만b/d로 추정했고, 이번 허리케인의 여파로 기존의 생산 전망치를 20만b/d 하향 조정함(Reuters, 9.9).
∙ OPEC의 2022년 석유수요 전망치가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커짐(Reuters, 9.10).
- OPEC이 기존에 제시한 2022년도 낙관적인 석유수요 전망치가 코로나19 델타 변이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인한 더딘 석유수요 회복으로 하향 조정될 가능성 커짐.
※ 기관별 21년도 대비 22년도 석유수요 상승치를 보면, IEA 3.20백만b/d, EIA 3.63백만b/d, OPEC 4.20백만b/d를 각각 전망하며 OPEC이 가장 낙관적인 전망치를 제시하고 있음.
∙ 중국 정부가 사상 처음으로 전략비축유를 자국 시장에 공급하겠다고 발표함(Reuters, 9/10).
- 중국 정부는 그동안 비축유 방출에 대한 사실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이번 처음으로 민간에게 비축유를 공급함으로써 원재료 가격 상승 압력을 완화할 것임을 밝혔음.
∙ 러시아 최대 민영 에너지 기업인 Lukoil의 회장 Alekperov는 자국의 언론 인터뷰를 통해 유가가
$65~$75 수준을 유지하도록 OPEC+가 생산량을 조절하고 있다고 언급함(Reuters, 9.7).
1. 현물 유가
2021. 9. 3. ~ 2021. 9. 10.
No.
857
에너지경제연구원 02 ∙ 미국의 8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이 23.5만명을 기록하며 시장의 기대치(75만명)를 크게 하회 했고, 이는 델타 변이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한 고용시장 회복세의 둔화로 풀이됨(Reuters, 9.3).
- 부진한 고용지표로 인해 미국 연준의 공격적인 테이퍼링 가능성은 줄어들겠으나 경기 둔화 우려는 석유수요 회복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 유로화 대비 달러 환율은 9월 10일 기준 $1.1814/€로 전주(9월 3일)의 $1.1882/€에 비해 0.57% 하락(가치 상승)함.
∙ 미국의 주간 원유생산은 전주보다 감소하고, 원유시추기 수는 전주보다 증가함.
-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미국의 주간 원유생산(9월 3일 기준)이 전주(8월 27일)보다 감소한 1,000만b/d를 기록했다고 발표함.
- 베이커 휴즈(Baker Hughes)에 따르면, 미국의 원유시추기 수는 9월 10일 기준으로 전주(9월 3일)보다 7기 증가한 401기를 기록함.
∙ 지난주 미국 석유재고는 원유, 휘발유 및 중간유분 모두 전주보다 감소함.
- 상업용 총 원유재고는 전주 대비 1.5백만 배럴 감소한 423.9백만 배럴을 기록했고, WTI 선물 인도지점인 쿠싱 지역 원유재고는 전주보다 1.9백만 배럴 증가한 36.4백만 배럴을 기록함.
- 미국 휘발유재고는 전주 대비 7.2백만 배럴 감소한 220백만 배럴을 기록했고, 중간유분재고는 전주 대비 3.1백만 배럴 감소한 133.6백만 배럴을 기록함.
Nymex-WTI 선물 가격 및 비상업순매수 추이
[Nymex 비상업순매수 및 유가] [WTI 월물별 선물 가격]
자료: Reuters, CFTC, Nymex
9월 7일 기준 NYMEX-WTI 선물유가는 전주(8월 31일) 대비 $0.15/배럴(0.22%) 하락한
$68.35/배럴을 기록함.
∙ 9월 7일 기준으로 NYMEX-WTI 선물가격 원월물(’22.6월)과 최근월물(’21.10월)과의 스프레드는
$(-)2.57/배럴로 백워데이션(backwardation)이 축소됨.
- ICE-Brent 선물가격의 원월물(’22.7월)과 최근월물(’21.11월) 간 스프레드는 $(-)3.47/배럴임.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발표한 8월 31일 기준 NYMEX의 투기성 자금에 의한 원유(WTI) 선물거래 순매수는 전주보다 7.3백만 배럴 감소한 349.2백만 배럴을 기록함.
∙ 헤지펀드 등 투기성 자금의 매수 포지션은 9.1백만 배럴 감소했고 매도 포지션은 1.7백만 배럴 감소함.
2. 선물 유가
에너지경제연구원 03 1) 석유재고(전략비축유 제외)
(단위: 백만 배럴)
일자
구분 8/13 8/20 8/27 9/3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 유 435.5 432.6 425.4 423.9 -1.5 -0.4%
휘발유 228.2 225.9 227.2 220.0 -7.2 -3.17%
중간유분(난방유 등) 137.8 138.5 136.7 133.6 -3.1 -2.3%
중 유 30.1 30.2 28.7 29.4 +0.7 +2.4%
자료: EIA/DOE
2) 원유정제투입량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8/13 8/20 8/27 9/3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유처리량 16.01 16.07 15.94 14.30 -1.64 -10.3%
가동률(%) 92.2 92.4 91.3 81.9 -9.4 -10.3%
자료: EIA/DOE
3) 석유제품 소비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8/13 8/20 8/27 9/3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휘발유 9.33 9.57 9.58 9.61 +0.03 +0.3%
중간유분(난방유 등) 4.32 4.10 4.39 3.69 -0.70 -15.9%
중 유 0.17 0.22 0.23 0.27 +0.04 +17.4%
총석유제품 21.46 21.82 22.82 19.95 -2.87 -12.6%
자료: EIA/DOE
4) 수입 및 생산
(단위: 백만 b/d)
구분
수 입 생 산
8/20 8/27 9/3 전주대비
8/20 8/27 9/3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물량 변동률
원유 6.16 6.34 5.81 -0.53 -8.4% 11.40 11.50 10.00 -1.50 -13.0%
휘발유 1.08 1.14 0.90 -0.24 -21.1% 10.25 9.89 10.12 +0.23 +2.3%
중간유분 0.29 0.36 0.14 -0.22 -61.1% 4.99 4.81 4.19 -0.62 -12.9%
중유 0.11 0.13 0.16 +0.03 +23.1% 0.24 0.23 0.25 +0.02 +8.7%
자료: EIA/DO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