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opied!
60
0
0

Teks penuh

서번트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정감과 진정성의 매개효과.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인식-태도-행동이다.

서번트 리더십

섹션 2 서번트 리더십과 심리적 안정감. 따라서 리더의 행동과 태도가 구성원의 심리적 안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서번트 리더십은 심리적 안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심리적 안정감은 섬기는 리더십과 혁신적 행동 사이의 관계를 중재할 것입니다. 이렇듯 서번트 리더의 진정성 있는 리더십이 심리적 안정감을 조절해 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럴 경우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는 서번트 리더십의 긍정적인 효과는 강화될 것이다.

즉, 서번트 리더가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진정성 리더십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서번트 리더의 진정한 리더십이 심리적 안정감을 조절하게 된다.

진정성 리더십

심리적 안전감

위에서 논의한 것처럼, 서번트 리더십이 심리적 안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데는 누구나 동의할 것입니다. 진정성 리더십(Authentic Leadership)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이다. 진정한 리더십은 네 가지 하위 요소로 구성됩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리더십은 심리적 안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서번트 리더십이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정감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리더의 진정성 리더십에 따라 서번트 리더십이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혁신 행동

통제변수

설문지 구성

설문지에 대해 확증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Cronbach's α값을 이용하여 각 변수의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응답자의 성별, 학력, 연령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근속년수, 학력 등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수 중 상대적으로 설문수가 많은 변수에 대해서는 척도 신뢰도를 높이고 보다 연속적인 정규분포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항목분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신뢰도 측정

타당성 검증

확증적 요인분석 검증 결과, 모든 구성요소에 대한 표준요인적재량이 0.5 이상으로 나타나 집중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Kaiza 평가차이검증을 통해 3가지 요인을 활용한 연구모형이 단순성을 극대화하는데 가장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서번트 리더십과 혁신 행동, 심리적 안전감의 관계

본 연구에 포함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바탕으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설명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비교하기 위해 카이제곱 차이 검정을 수행하였다. 대안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 부분매개모형에서 카이제곱값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모형에서는 부분매개모형을 채택하였다.

서번트 리더십, 혁신적 행동 및 심리적 안정감의 관계. 가설 1은 서번트 리더십이 혁신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가설 2는 서번트 리더십이 심리적 안정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그리고 가설 3은 심리적 안전이 혁신적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이는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한 서번트 리더십과 심리적 안정감의 정(+)관계와 일치한다.

[그림  2]  연구모형 [그림  3]  대안모형
[그림 2] 연구모형 [그림 3] 대안모형

최종모형의 간접효과 유의성 분석

이는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한 심리적 안정감과 혁신적 행동의 정(+)관계와 일치한다.

진정성 리더십의 조절효과

가설 4 심리적 안정감은 서번트 리더십과 혁신적 행동 사이의 관계를 조사합니다. 가설 5 진정한 리더십은 섬기는 리더십과 심리적 안정감 사이에 있다. 첫째,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 안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구성원의 심리적 안정감은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과 관련이 있다. 이는 구성원의 심리적 안정감이 서번트 리더십과 혁신적 행동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다는 기존 연구(Brunside, 1999)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성실리더십은 서번트 리더십과 구성원의 심리적 안정감 사이의 정(+)관계를 높이는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림  5]  진정성  리더십의  조절효과(서번트  리더십-심리적  안전감)
[그림 5] 진정성 리더십의 조절효과(서번트 리더십-심리적 안전감)

이론적 시사점

실무적 시사점

An, N. (2012),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in the leader", M.A. Jung & Avolio (2000),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and value alignment on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Regulatory focus as a mediator of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servant leadership on employee behavior.

Sidani & Rowe, (2018), A reconceptualization of authentic leadership: Legitimizing the leader through follower-centered assessment of the moral dimension.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boss servant leadership on the innovative activities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servant leadership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innovative activities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at psychological safety of organizational members has a positive impact on innovative activities.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safety of the members partially influenced the influence of the managerial Servant on the innovative activitie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n other words, highly authentic Servant leaders have been shown to increase the psychological safety of organizational members.

Gambar

[그림  2]  연구모형 [그림  3]  대안모형
[그림  5]  진정성  리더십의  조절효과(서번트  리더십-심리적  안전감)

Referensi

Dokumen terkait

여덟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 벽주의와 자기자비, 수행불안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자비, 수행불안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학업지연행동의 원인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