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북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북미"

Copied!
5
0
0

Teks penuh

(1)

북미

▣캐나다, ’16년에도 미국의 최대 에너지 교역국 위치 유지

¡ 미국 인구조사국(U.S. Census Bureau)의 최근 자료에 의하면, 에너지 교역 규모는 2016년 미 국의 전체 對캐나다 수입액에서 19%와 수출액에서 5%를 차지해, 2016년에도 캐나다가 미국 의 최대 에너지 교역국 위치를 유지하였음.

‒ 지난 10년 동안 양국 간의 에너지 교역액은 변화가 있었으나, 에너지 교역의 추세는 비교적 비 슷한 모습을 보였으며 미국의 對캐나다 에너지 수입액이 수출액을 크게 초과해왔음.

‒ 2016년 미국의 對캐나다 에너지 수입액은 530억 달러에 달했으나, 수출액은 140억 달러에 그침.

・ 저유가가 지속되면서 원유, 석유제품, 천연가스 등 원자재 가격이 하락해, 2015년과 2016년 의 수출액과 수입액은 모두 감소세를 보임.

자료 : EIA

< 미국과 캐나다 간 에너지 교역액 추이 >

(단위 : 10억 달러)

¡ 원유는 미국의 對캐나다 수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2016년에는 원유 총 수입량의

41%(330만b/d)를 캐나다에서 들여와 캐나다에 대한 원유 수입의존도가 가장 높았음.

‒ 2014년, 미국이 캐나다에서 수입한 원유 대금은 총 830억 달러였으나, 유가가 하락하면서 수

입량이 늘었음에도 2015년과 2016년 수입액은 각각 470억과 360억 달러로 감소함.

・ 캐나다에서 수입하는 원유는 앨버타 주에서 생산된 중질 원유로, 주로 미국 중서부와 멕시 코만 연안 지역으로 수송됨.

‒ 원유 금수조치로 인해 2013년 미국이 수출한 원유는 100% 모두 캐나다로 수송되었으나, 2015 년 말 금수조치가 해제되면서, 캐나다로의 수출 비중이 감소하였음.

(2)

원유 수출 금수조치 해제 이후 미국産 원유의 수출선은 유럽, 중남미, 아시아 등으로 다변화됨 (인사이트 제16-37호(2016.10.14일자) pp.4~5 참조).

・ 2016년 미국은 30.1만b/d의 원유를 캐나다에 수출했으며, 그 외 국가로 21.9만b/d를 수출함.

・ 미국이 캐나다로 수출하는 원유는 경질 원유이며, 캐나다 동부 지역으로 수송됨.

¡ 2016년 미국은 56.4만b/d(82억 달러)의 석유제품을 캐나다로 수출했는데 이는 전체 석유제품 수출량의 12%에 달하는 수준임. 또한 양국 간에 교역되는 석유제품의 종류와 물량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임.

‒ 미국은 북동부 지역에 공급하기 위해 캐나다 동부지역 정제시설로부터 상당량의 휘발유를 수 입하기 때문에 휘발유 순수입국임.

‒ 반면, 미국이 캐나다로 수출하는 수송용 연료는 전체 수출에서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하며, 펜탄응축물(Pentanes Plus)과 액화석유가스(LPG)를 비롯한 석유제품이 대부분을 차지함.

¡ 양국 간 천연가스 교역은 주로 파이프라인을 통해 이뤄지고 있으며, 2016년 미국이 캐나다에 서 수입한 천연가스는 8.0Bcf/d(미국 전체 천연가스 수입량의 97%), 수출량은 2.1Bcf/d임.

‒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천연가스의 대부분은 캐나다 서부지역에서 생산되어, 미국 서 부, 중서부, 북동부 지역으로 수송되나, 미국 Marcellus와 Utica 지역에서 가스 생산이 증가하 면서 캐나다에 대한 의존도는 감소하고 있음.

‒ 미국이 캐나다로 수출하는 천연가스는 주로 캐나다 동부 지역으로 수송되며, 수출량은 2015년 과 2016년에 각각 1.9Bcf/d와 2.1Bcf/d에 달하였음.

‒ Marcellus와 Utica 지역을 연결하는 가스 파이프라인의 수송용량 증가로 향후 캐나다로 수출

되는 천연가스의 양이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양국 간 전력 교역량은 비록 작지만 전력은 양국 간 에너지 교역에서 중요한 부분임. 2015 년~2016년 중 미국이 캐나다로부터 수입한 전력 대금은 평균 22억 달러에 달하여, 2006

년~2014년의 평균인 24억 달러에서 소폭 감소하였음.

‒ 캐나다 국가에너지위원회(National Energy Board)에 의하면, 미국은 2016년 캐나다로부터

73TWh의 전력을 수입하고 93TWh의 전력을 수출하였음.

‒ 양국 간 전력 수・출입은 증가하는 추세이며, 비록 교역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양국을 연결하 는 송전 시스템은 양국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EIA, 2017.3.1)

▣미 캘리포니아州 전력회사, 태양광 전력 저장을 위한 가상 발전소 도입

¡ PG&E社, Edison International社, Sempra Energy社 등 미국 캘리포니아州의 전력회사가 가 상 발전소를 구축하기 위해 태양광 패널과 저장용 배터리, 양방향 통신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연결하는 새로운 방식을 시험하고 있음.

(3)

‒ 캘리포니아州는 2030년까지 전원 믹스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을 50%로 확대할 계획이며, 이 같 은 가상 발전소를 이용해 청정 전력을 관리하고 필요할 때 전력망에 공급하고자 함.

현재 캘리포니아州는 과잉 생산된 태양광 전력을 낮은 가격에 판매하거나 애리조나 등 다른 주에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음.

자료 : Wall Street Journal

< 태양광 전력 저장 및 관리를 위한 가상 발전소 >

‒ Sempra Energy는 지난달 캘리포니아州 Escondido에 설치한 저장장치에 AES社의 리튬이온 전지 40만 개를 사용했으며, 샌디에이고에서는 삼성 SDI의 배터리를 사용할 계획임.

‒ Edison International은 Tesla社의 배터리를 이용해 로스앤젤레스 지역에서 2020년까지 가상 발전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며, 완공 시에는 100여 개의 사무용 건물과 상업 지역을 연결 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가상 발전소가 될 것임.

・ 이 네트워크는 필요시 전력망과 건물에 360MWh의 추가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는 2 만여 가구에 하루 동안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임.

‒ 샌프란시스코의 PG&E는 2025년까지 Diablo Canyon 원자력발전소의 운행을 종료하고 이를 청정에너지로 대체할 예정이며, 전력망 현대화를 위해 2020년까지 1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 며, 현재 배터리와 소프트웨어를 비롯한 관련 기술을 시험하고 있음.

‒ 그밖에 콜로라도와 뉴욕을 비롯하여 전원 믹스에서 재생에너지 전력의 비중을 높이고자 하는 다른 州들도 유사한 기술을 실험하고 있음.

・ Consolidated Edison社는 피크 수요를 52MW 낮추기 위해 뉴욕 시내의 여러 건물에서 태양 광 패널과 배터리 및 전력 보존 기술을 이용하고 있으며, 同 기업의 Matthew Ketschke 부 사장은 약 2억 달러가 소요되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10억 달러가 소요되는 전통적인 방식 의 장비 설치를 향후 20년 동안 늦출 수 있다고 밝힘.

¡ 한편, 가상 발전소 구축을 통해 피크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발전소를 건

(4)

설하는 것 보다 훨씬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이 같은 저장용 배터리만으로는 재생에너지 발 전의 간헐성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음.

‒ 금융자문 기업 Lazard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리튬이온 전지를 이용해 피크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MWh당 285~581달러의 비용이 들지만, 일반적인 전력피크용 천 연가스화력발전을 이용하면 MWh당 155~227달러가 드는 것으로 분석함.

‒ 그러나 캘리포니아 공공발전위원회(California Public Utilities Commission, CPUC)의 Michael Picker 회장은 이 같은 배터리 기술은 5년 전만 해도 존재하지 않던 것이며, 기술 개 발로 배터리 비용이 하락하게 되어 더 많은 전력회사가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 애리조나州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30%로 높일 계획이지만, 이미 캘리포니아州에 서 상당량의 전력을 태양광 발전으로 공급하는 상황에서 태양광 전력을 더욱 추가하는 것이 낭비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음.

・ 애리조나 공공서비스(Arizona Public Service Company, APS)의 Jeff Guldner 상무는 전력 저 장시설은 하루 정도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장기간 전력을 저장하도록 설계된 것은 아니 라고 언급함.

(Wall Street Journal, 2017.3.4)

▣Keystone XL 및 Dakota Access 송유관, 미국産 강관 사용 의무 제외

¡ 미국 백악관의 Sarah Huckabee Sanders 부대변인은 미국産 강관을 사용해 파이프라인을 건설 해야 한다는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은 Keystone XL Pipeline과 Dakota Access Pipeline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발표하였음(2017.3.3).

‒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Keystone XL과 Dakota Access 송유관의 조속한 건설을 승인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을 발효하였으며, 이후 미국産 강관을 사용해야 한다는 조건을 여러 차례 강 조하였음.

・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말까지도 Keystone XL과 Dakota Access 송유관이 미국産 강관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아예 건설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힘.

・ 지난달 23일 백악관에서 열린 공청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U.S. Steel社의 Mario Longhi 회 장에게 강관 공급에 대해 재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해 Longhi 회장도 100% 공급할 것이라고 화답하였음.

・ 또한, 지난달 28일 있었던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도 “Keystone XL과 Dakota Access 송 유관 건설을 확정함으로써 미국에서 수천 개의 일자리를 창출했으며, 미국産 강관을 사용 해 미국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라는 새로운 행정명령을 발효했다”고 주장하였음.

‒ 그러나 백악관 대변인은 행정명령은 신규로 건설되는 파이프라인이나 기존 파이프라인의 보수 시에 적용되는 것이라며, 이미 공사가 진행 중인 Keystone XL과 Dakota Access 송유관은 공 사를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예외라고 밝힘.

(5)

¡ 철강업계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행정명령의 실행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해 왔음.

‒ 위의 2개 송유관 건설을 위한 강관은 이미 구매가 완료된 상황이며, 미국 철강 기업이

Keystone XL 프로젝트에 사용될 수 있는 직경 36인치 크기의 강관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도 불확실함.

‒ 철강 전문 애널리스트 Charles Bradford는 “파이프라인에 사용될 수 있는 등급의 철강 제품이 미국에는 없다”며, 미국 철강 기업들이 생산하는 강관은 직경이 24인치이지만, Keystone XL 프로젝트는 더 두껍고 강도가 높은 강관을 사용한다고 밝힘.

(Globe and Mail, 2017.3.3; Wall Street Journal, 2017.3.4)

▣미 EPA, 가스 생산 시의 메탄 배출 정보 보고 의무 폐지

¡ 미국 환경보호국(EPA)은 가스 개발 시 배출되는 메탄에 대한 관련 정보를 보고하도록 한 행정 명령을 폐지한다고 발표함(2017.3.3).

천연가스를 구성하는 주요 물질인 메탄은 지구온난화를 일으킬 수 있는 잠재력이 이산화탄 소의 25배에 달함. EIA에 의하면, 석유・가스 산업은 미국 내 메탄 배출의 가장 큰 원천임.

‒ 同 행정명령은 전임 오바마 행정부가 2016년 11월 시행한 것으로, 에너지 기업들이 석유・가스 개발 시 육・해상 설비에서 사용되는 장비의 수와 종류 및 배출되는 메탄의 양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한 것임.

・ 당시 EPA는 오바마 대통령의 기후변화 대응 계획의 하나로 현존하는 석유・가스 개발 지역 에서 배출되는 메탄 감축을 위한 규제를 마련하기 위해 이 같은 정보가 필요하다고 밝힘.

‒ EPA의 Scott Pruitt 국장은 이 같은 보고 의무는 즉시 폐지될 것이며, 지금까지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메탄 배출 관련 자료 수집의 필요성을 점검할 것이라고 발표함.

‒ 앞서 루이지애나, 오클라호마, 텍사스州를 포함하여 총 12개 주는 메탄 배출 정보 보고가 지나 친 부담을 준다며 그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한 바 있음.

‒ 오클라호마州 법무장관을 역임한 Pruitt 국장은 성명서를 통해 이 같은 결정은 EPA가 주정부 의 우려를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EPA는 각 주정부 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언급함.

(The Hill, 2017.3.2; Wall Street Journal, 2017.3.3)

Referensi

Dokumen terkait

미국 대선 판세의 불확실성,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상황, 향후 미국의 대북한 메시지, 중국·러시아의 ‘중재’ 목소리 등 향후 추이를 봐가며 수위를 조절해 가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전략무기’ 공개 가능성과 실제 현시 수준이 향후 압박과 정세를 주도하는 핵심 지렛대 역할을 할 것으로

- 두 장관은 북한의 연이은 핵·미사일 도발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강도 대북 메시지로 긴장 지수가 더욱 높아진 한반도 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을 것으로 관측됨... ‘한국은 한반도 비핵화를 지지하고, 한반도에 전술핵을 다시는 배치하지 않겠다 는 약속을 성실히 준수하겠다’고 말했다”고

실제로 트럼프 후보는 자신의 저서를 통해 미국이 중국에게 미국민의 일자리를 빼앗기고 있을 뿐 아니라 미국 내 제조업 쇠퇴, 군사력 약화 추세에 중국의 부상이 존재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1 또한 트럼프 후보는 점증하는 국제안보위협에 대응하는 오바마 대통령의 자유국 제주의적 대외정책에 대해 비판을 쏟아내기도 하였는데,미국은 제도와

■文대통령 “북핵 해결 전환기대”…트럼프 “북한 문제가 중심의제”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은 7일 국빈 방한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청와대에서 가진 확대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기간에 강력한 대북 메시지를 전달하는 한편으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 국민에게 안심이 되고 큰 전환점이 되기를

‒ 일각에서는 러시아 PNG와 미국産 LNG 간 가격 전쟁이 발생할 수는 있으나, 향후 유럽 내 가 스 수요 증가 및 자체 가스 생산량 감소라는 배경 하에서 미국産 LNG가 러시아 PNG를 밀어 내거나 러시아 Gazprom社의 주도권을 흔들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하였음.. ‒ 트럼프 대통령은 독일에서 개최되는 G20 정상회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