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열 표면이 감소하는 경사 채널의 유동 비등에 대한 연구. 따라서 경사채널 내 하향 가열벽의 비등은 실험장치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얻어야 한다. 경사 채널의 하향 가열 벽에 대한 관련 데이터 분석 및 비등 모델 개발.
열전달계수와 열유속 hq″가 증가할수록 인접한 발전기의 최대점 증가도 증가한다. 노후지역에서 증가하고 있던 가열벽의 온도는 일정한 값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수직 가열벽에서는 액체 끓는 기포가 핵생성됩니다.
끓는점(core site)에서 발생하며 가열벽에서 바로 이탈되지 않고 오히려 미끄러지며 상승한다(Fig. 토양을 이용한 풀비등 장치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폭과 길이는 그림과 같이 풀이 끓습니다.
각 영역의 열 전달량은 공식을 사용하여 정의되었습니다.
Wall Boiling Model
Wall boiling model in ANSYS-CFX
모델로서 액체상 및 기체상 흐름은 질량-운동량 에너지로 측정됩니다. 식을 고려함으로써 액상과 기상의 경계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영향을 적절히 반영할 수 있으며, 각 상에 대한 연속식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가열 벽에 적절한 경계조건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벽 비등이 필요하며, 이 경우 위에서 설명한 열유속 분포 메커니즘 모델이 사용됩니다.
Podowski(1990) 모델은 반복적인 수치 이분법 알고리즘으로 채택되었습니다. 이 반복 계산은 적용된 열 유속 값이 수렴 조건을 충족할 때까지 계속됩니다.
Submodels for wall boiling model
CFX에서 과냉각도는 기포의 탈출 직경으로 표현됩니다. Addlesee와 Kew(1997)는 기울어진 가열 표면의 기포 아래로 미끄러집니다. 기포와 경사면 사이를 흐르는 액체 막으로 존재합니다.
앞서 고속카메라 영상에서 확인한 것처럼 발열면 전체에 기포가 나타납니다. 각 질량 흐름에 대해 가열 표면의 열 흐름이 있습니다. 열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기포는 가열 벽을 따라 점점 길어집니다.
높은 가열 오일 속도에서는 길쭉한 기포가 대부분의 가열 표면을 덮고 지나가게 됩니다. 질량 유량이 증가하면 기포 크기가 감소합니다. 가열된 표면이 길쭉한 기포와 슬러그로 덮이는 면적도 크기 때문에 열 유속이 커집니다.
이때 기포는 전열면 전체에 고르게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지 않고 벽면을 따라 거의 개별적으로 통과하지만 열유속이 낮습니다. 습기가 발생하면서 오거와 가열면 사이에 액체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핵생성(nucleation)을 통해 기포가 생성되고, 기포 사이가 결합한 후 기포가 형성된다.
가열면 위에 덮인 가열면에서는 기포 아래의 액막을 통해 기포가 증발하여 성장합니다. 3 경사채널 비등 실험의 가시화 결과를 통해 기포가 빠져나오지 못하고 가열된 벽에 달라붙어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음을 관찰하였다. RPI 벽 요리 모델의 추가 개선 사항에는 거품 탈출 크기 Db가 포함됩니다.
V 산화 결과 값 Vslug가 사용되었으며 최대 기포 두께 Lh도 그림 3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제공된 실험 데이터를 보면 기포의 거동이 상당히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액체 비등 실험은 기포가 열벽을 덮으면서 예상되는 건조점인 열유속 200/㎾㎡까지만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는 냉각수 질량유량이었다.
열유속의 변화에 따른 질량유량, 경사각, 열전달 등의 Bel 특성을 관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