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N e w s l e t t e r - 한국법제연구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N e w s l e t t e r - 한국법제연구원"

Copied!
64
0
0

Teks penuh

(1)

2007 2

N e w s l e t t e r

ISSN 1599-8118

(2)

法制處 編纂

특 징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모든 현행법령 즉, 헌법·법률·대통령령·총리 령·부령과 국회규칙·대법원규칙·헌법재판소규칙·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감 사원규칙을 총망라하여 수록하였습니다.

수록법령은 그 부문별, 성질 및 소관청을 기준으로 하여 편별을 분류하고 각 권마다 편별일람표, 권별목차 및 권별색인목차(가나다순)와 제50권에는 총색인목차(가나다 순)와 총권별목차로 구성하여 이용에 편의를 도모하였습니다.

법령의 제정·개정·폐지에 따라 이를 정리한 추록을 매월 1회 발간하여 정확한 현 행법령을 언제나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법령집은 법제처가 편찬하고, 법제에 관하여 전문적으로 조사·연구함으로써 국 가의 입법정책수립을 지원하고 있는 한국법제연구원이 발간하는 국내 유일한 가제 식 종합법령집입니다.

이용의 편의성과 78,500여면의 방대한 종합법령집임에도 불구하고 최저의 고시가 격으로 보급하고 있습니다.

수록 법령

편리한 이용

현행성 유지

공신력

가 격

(3)

발행일: 2007년 2월 15일발행인: 박세진발행처: 한국법제연구원 137-890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90-4, TEL : (02) 3498-1700(대), FAX : (02) 579-2372

2007 2 C ONTENTS

법제업무운영규정 일부개정령안

… 4

법제업무운영규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 8

지방공무원임용령 일부개정령

… 12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

… 16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일부개정령

… 23

입법예고(2007.1.11. ~ 2.10.)

… 28

법령용어해설

… 32

Q&A

… 33

법령용어의 어원을 찾아서

… 34

최신외국입법동향

… 40

법제논단

… 51

칼럼

… 55

Books

… 60

(4)

개정 2007. 2. 2. 대통령령제19867호《공포한 날부터 시행》

법제처 주관으로 각 부처가 참여하여 법령 등의 정비·개선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법령정비위원회를 법제 전문 공무원 및 민간인 위주로 개편함으로써 신속 한 법제정비 및 전문적·효율적인 법제 자문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훈 령·예규 등의 심사대상 행정기관의 범위를 확대하며, 훈령·예규 등의 통합관 리 전산시스템에의 등재 의무화, 훈령·예규 등의 수시심사제 도입 등을 통하여 중앙행정기관 등이 발령하는 훈령·예규 등의 적법성을 높임으로써 법치행정 서비스를 강화하려는 것임.

○ 법령정비위원회의 개편(영 제24조제6항)

(1) 현재 각 중앙행정기관 소속 공무원과 민간위원으로 구성된 법령정비위원 회는 반기별로 연 2,000여건에 달하는 법령개선의견에 대하여 정비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 형태로 운영됨으로써 법제정비가 지연되고 위원회가 형 식적으로 운영되는 문제점이 있음.

(2) 각 중앙행정기관 소속 공무원과 민간위원으로 구성되어 법령정비안건의 채택 및 부처간 의견조정을 하는 법령정비위원회를 앞으로는 법제업무에 관한 전문적 능력을 갖춘 법제처 소속 공무원과 민간위원으로 구성하여 법제정비 및 법령개선을 위한 협의·자문을 하는 기 구로 개편함.

(3) 법령정비위원회를 법제개선에 관한 전문적인 협의·자문기구로 개편하고, 법령정비안건의 채택은 수시로 부처간 실무협의와 의견조정을 거쳐 결정하도록 함에 따라 신속한 법제정비 의 추진이 가능하게 되고, 법제정비 및 법령개선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됨.

○ 훈령·예규 등 사후심사 의무대상 행정기관 범위의 확대(영 제25조제2항)

(5)

(1) 현재 훈령·예규 등의 사후심사를 받는 행정기관의 범위를 중앙행정기관으로 한정함에 따 라, 중앙행정기관의 기능을 수행하는 위원회에서 법령의 위임에 의하거나 법령의 시행을 위하여 국민의 권리·의무와 관련되는 훈령·예규 등을 발령하는 경우 그 적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미흡함.

(2) 법제처의 심사를 받는 훈령·예규 등의 범위를 종전에는 중앙행정기관의 훈령·예규·고 시 등에 한정하던 것을 앞으로는 금융감독위원회·금융통화위원회·중앙노동위원회 및 영 상물등급위원회 등 총리령이 정하는 위원회가 법령의 위임에 의하거나 법령의 시행을 위하 여 발령하는 훈령·예규 등을 포함하도록 함.

(3) 정부 내에서 국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업무를 수행하는 위원회가 발령하는 훈령·예규 등도 법제처의 심사를 받도록 함으로써 국민의 권익을 보호하고 행정의 적법성 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훈령·예규 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등재 의무화 및 수시심사제의 도입(영 제25조제2항 및 제3항)

(1) 훈령·예규 등을 반기별로 법제처에 제출하도록 하여 심사·검토함에 따라 훈령·예규 등 의 발령시부터 심사시까지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어 훈령·예규 등에 대한 적법성 확보에 문제점이 있음.

(2) 훈령·예규 등을 반기별로 제출하도록 하여 심사·검토하던 것을 앞으로는 발령 후 10일 이내에 정부법제업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등재하도록 하여 법제처가 이를 수시로 심 사·검토할 수 있도록 함.

(3) 훈령·예규 등에 대하여 신속하게 적법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됨에 따라 대국민 법치행정 서비스가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훈령·예규 등에 대한 법제처 심사의견의 반영 강화(영 제25조제5항)

(1) 훈령·예규 등에 대한 법제처의 심사의견에 대하여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사후조치내용을 관리·점검할 필요가 있음.

(2) 종전의「법제업무운영규정 시행규칙」에 근거하여 훈령·예규 등에 대한 조치사항을 통보 하도록 한 것을 대통령령으로 상향 규정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훈령·예규 등의 적법성 확 보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됨.

(6)

제6장 법령 등의 정비·개선 제24조 (법령정비의 추진)

① 내지 ⑤ (생 략)

⑥법제처장은 법령 등의 정비·개선 그 밖의 법제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필 요한 경우에는 법제처 주관으로 각 중앙행정 기관 소속 공무원 및 학계·민간단체 그 밖 에 관련분야의 전문가를 위원으로 하는 위원 회를 구성·운영할 수 있다.

제25조 (훈령·예규 등의 적법성 확보) ①각급 행정기관의 훈령·예규·고시(그 명칭에 불 구하고 법령의 시행과 직접 관련하여 발령하 는 지시·통첩 등을 포함하며, 이하“훈령·

예규등”이라 한다)는 그 내용이 적법하고 현 실에 적합하게 발령·유지·관리되어야 한 다.

②각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매년 2회에 걸쳐 매반기에 발령한 훈령·예규등을 당해 반기 종료후 10일 이내에 법제처장에게 송부하여 야 한다. 다만, 「국회법」제98조의2의 규정 에 의하여 국회에 송부하여야 하는 훈령·예 규등은 발령후 7일 이내에 송부하여야 한다.

제6장 법제의 정비·개선 등 제24조 (법제정비의 추진)

① 내지 ⑤ (현행과 같음)

⑥--- --- --- 법제처 소속 공무원 --- --- --- ---.

제25조 (훈령·예규 등의 적법성 확보) ①--- --- --- -- 규정·규칙·지시·지침·통첩 등---- --- --- --.

②각 중앙행정기관의 장(중앙행정기관에 준 하는 위원회 등으로서 총리령으로 정하는 위 원회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은 훈 령·예규등이 제정·개정 또는 폐지된 때에 는 발령 후 10일 이내에 해당 훈령·예규등 을 법제처장이 정하는 정부입법 관련 전산시 스템에 등재하여야 한다. 다만,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제9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어 전산시스템에 등재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발령 후 10일 이내에 법제 처장에게 당해 훈령·예규등의 제명과 비공 개사유를 통보하되, 법제처장의 요청이 있는

(7)

③법제처장은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송부 받은 훈령·예규등을 검토하고 법령으로 정 하여야 할 사항을 훈령·예규등으로 정하고 있거나 법령에 저촉되는 사항 또는 불합리한 사항을 정한 훈령·예규등이 있는 경우에는 개선의견을 작성하여 소관중앙행정기관의 장 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④제3항의 규정에 의한 개선의견 통보를 받 은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를 당해 훈령·예규등에 반영하고 그 처리결과를 법제처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신 설>

⑤각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제2항 내지 제4 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훈령·예규등의 적법 성 확보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때에 는 훈령·예규등을 발령하기 전에 법제처장 에게 검토를 요청할 수 있다.

경우에는 당해 훈령·예규등을 문서로 송부 하여야 한다.

③--- 등재 된 훈령·예규등을 수시로 심사·검토하고 - --- --- --- 심사의견--- ---.

④--- 심사의견 --- --- --- 관련 법령 또는 당해 훈령·예규등에 반영하여야 한다.

⑤제3항에 따라 심사의견을 통보받은 중앙 행정기관의 장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관련사항을 통보받은 날부터 1월 이내에 법제 처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다만, 다른 법령 에 따라 훈령·예규등의 제정 또는 개정과 관 련하여 위원회의 심의 등 특별한 절차를 거쳐 야 하는 경우에는 그 절차가 종료된 후 지체 없이 법제처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1. 심사의견을 반영한 경우에는 그 내용 2. 정비할 계획인 경우에는 그 정비계획 3. 심사의견을 반영할 수 없는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 사유

⑥--- 제5 항--- --- --- ---.

(8)

개정 2007. 2. 2. 총리령제835호《공포한 날부터 시행》

「법제업무운영규정」이 개정(대통령령 제19867호, 2007. 2. 2. 공포·시행)되어 법령정비위원회를 법제 전문 공무원 및 민간인 위주로 개편하고, 훈령·예규 등의 심사대상 행정기관의 범위를 확대함에 따라 개편된 법령정비위원회의 명 칭 및 기능과 훈령·예규 등의 심사대상 행정기관의 범위 등을 정하려는 것임.

○ 법령정비위원회의 명칭 및 기능의 변경(영 제14조 및 제15조)

(1) 법령 등의 정비 및 부처간 의견조정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법령정비위원 회를 전문적·효율적인 법제자문기능을 수행하는 위원회로 개편함에 따 라 그 명칭과 기능을 변경할 필요가 있음.

(2) 기존의 법령정비위원회를 법제정비위원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그 기능도 종전에는 각 부 처의 법령정비계획의 조정 및 정비사항에 대한 부처간 협의 등으로 하던 것을 앞으로는 법 제정비의 기본방향 심의, 분야별·중점과제별 법제정비 연구과제의 선정 및 연구결과에 대한 자문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변경함.

(3) 법령정비위원회를 법제개선에 관한 전문적인 자문기구로 개편함으로써 법제의 정비 및 개 선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훈령·예규 등의 심사대상기관 범위의 명시(영 제19조)

(1) 법제처의 심사를 받는 훈령·예규 등의 범위를 종전에는 중앙행정기관의 훈령·예규 등으 로 한정하던 것을 중앙행정기관에 준하는 위원회로 확대함에 따라 그 대상기관의 범위를 명시할 필요가 있음.

(2) 훈령·예규 등의 심사대상 기관으로서 금융감독위원회·금융통화위원회·중앙노동위원 회·영상물등급위원회·게임물등급위원회 및 영화진흥위원회를 포함시킴.

(3) 정부 내에서 국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업무를 수행하는 위원회를 심사대상 기관으로 포함시킴으로써 국민의 권익을 보호하고 행정의 적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9)

제6장 법령 등의 정비·개선

제14조 (법령정비위원회의 구성) ①영 제24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법제처장소속하에 법 령정비위원회(이하“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②위원회의 위원장은 법제처차장이 되고, 위 원은 다음 각호의 자가 된다.

1. 각 부처의 기획관리실장(법무부는 법무실 장, 국방부는 법무관리관, 법제처는 법제기 획관) 및 청의 기획관리관(기획관리관이 없 는 청의 경우에는 법무업무를 담당하는 국 장 또는 이에 준하는 담당관)

2. (생 략)

제15조 (위원회의 기능) ①위원회는 다음 각호 의 기능을 수행한다.

1. 법령정비의 방향 및 정비기준의 심의 2. 정비대상 법령의 심의

3. 각 부처의 법령정비계획 및 전체 법령정비 계획의 조정

4. 구체적 정비사항에 대한 부처간 협의 및 의견조정

5. 법제업무와 관련하여 부의되는 안건에 관 한 심의

② (생 략)

제17조 (분과위원회 및 실무위원회 등의 설치)

①위원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경 우에는 관련위원으로 분과위원회를 구성할

제6장 법제의 정비·개선 등

제14조 (법제정비위원회의 구성) ①영 제24조 제6항--- 법 제정비위원회---.

②--- ---.

1. 법제처의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공무원 중에서 법제처장이 임명하는 자

2. (현행과 같음)

제15조 (위원회의 기능) ①--- 각 호 의 사항에 대한 자문기능을 수행한다.

1. 법제정비의 방향 및 정비기준에 관한 사항 2. 분야별·중점과제별 법제정비 연구과제의

선정 및 연구결과에 관한 사항 3. 정비대상 법령에 관한 사항

4. 법제업무와 관련하여 부의되는 안건에 관 한 사항

② (현행과 같음)

제17조 (법제정비실무협의회 및 실무작업반의 설치) ①법제처장은 효율적인 법제정비를 위 하여 행정기관간 협의가 필요한 경우에는 각

(10)

수 있다.

②위원회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위원회 에 중앙행정기관의 법무담당관(법무담당관이 없는 경우에는 법무업무를 담당하는 담당관 또는 과장)으로 구성되는 법령정비실무위원 회를 둔다.

③중앙행정기관의 장은 법령정비를 위한 기 초자료의 조사·분석, 정비대상법령의 정비 안 마련 및 위원회와의 업무협조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각 실·국의 주무과장 및 법무담당관으로 실무작업반을 구성·운영하 여야 한다.

제18조 (법령정비의 추진절차) ①영 제24조제1 항의 규정에 의하여 법령정비의 추진에 관한 통보를 받은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소관법령 을 검토한 후 정비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법 령이 있는 경우에는 소관법령에 대한 정비계 획을, 타부처 소관법령중 정비할 필요성이 인정되는 법령이 있는 경우에는 타부처 소관 법령중 정비희망법령을 법제처장에게 제출하 여야 한다.

② (생 략)

③법제처장은 중앙행정기관의 장으로부터 제 출받은 법령정비계획과 자체적으로 발굴한 법령정비안 및 영 제24조제5항의 규정에 의 하여 일반국민으로부터 제출받은 입법의견을 취합하여 전체 법령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이 를 위원회에 부의하여야 한다.

④전체 법령정비계획중 중앙행정기관과의 협 의 및 의견조정이 필요한 사항은 사전협의

중앙행정기관 소속 관계공무원 및 법제처 소 속 공무원으로 법제정비실무협의회를 구성·

운영할 수 있다.

②중앙행정기관의 장은 법제정비를 위한 기 초자료의 조사·분석, 정비대상법령의 정비 안 마련과 법제정비실무협의회와의 업무협조 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각 본부·실·국 의 주무과 또는 팀의 장 및 법무·법제업무 를 담당하는 과 또는 팀의 장으로 실무작업 반을 구성·운영하여야 한다.

제18조 (법령정비의 추진절차) ①영 제24조제2 항--- --- --- --- --- --- --- ---.

② (현행과 같음)

③--- --- --- --- --- 전체 법령정비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삭 제>

(11)

및 의견조정절차를 거쳐 위원회에서 심의·

결정한다.

⑤ (생 략)

제19조 (훈령·예규등의 관리 및 대국민 제공)

①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영 제25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훈령·예규등이 실제 행정운영 과 국민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감안하여 소관 훈령·예규집을 발간하고, 훈 령·예규등이 제정되거나 개폐된 때에는 추 록을 발간하여 가제정리·보급함으로써 국민 이 쉽게 찾아보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②중앙행정기관의 장은 훈령·예규집 또는 그 추록을 발간한 때에는 법제처에 2부를 제 출하고, 기타 관련행정기관 등에 이를 배포 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③중앙행정기관의 장은 훈령·예규등이 제정 되거나 개폐된 때에는 이를 인터넷 홈페이지 에 게재하여 일반국민이 쉽게 활용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공개될 경우 국가안 전보장·국방·통일·외교관계 등 국가의 중 대한 이익을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또는 업 무의 수행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게재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제20조 (훈령·예규등의 개선의견에 대한 조치 통보) ①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영 제25조제3 항의 규정에 의하여 소관 훈령·예규등에 대 한 법제처장의 개선의견 통보를 받은 경우에 는 1월 이내에 동조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그 처리결과를 법제처장에게 통보하여야 한

⑤ (현행과 같음)

제19조 (훈령·예규등의 심사대상 위원회) 영 제25조제2항 본문에 따라 소관 훈령·예규 등에 대하여 법제처의 심사를 받아야 하는 위원회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금융감독기구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제 3조에 따른 금융감독위원회

2. 「한국은행법」제12조에 따른 금융통화위 원회

3. 「노동위원회법」제2조에 따른 중앙노동 위원회

4.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영화진흥위원회

5.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71조에 따른 영상물등급위원회

6.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제16조에 따 른 게임물등급위원회

<삭 제>

(12)

개정 2007. 1. 5. 대통령령제19822호《시행일 : 공포한 날부터 시행. 다만, 제2조제4호, 제29조제6호, 제46조 제1항, 별표 1, 별표 2, 별표 8의 개정규정은 2007년 1월 1일부터 시행》

국가공무원 직군·직렬 분류체계의 개편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인력운영의 자 율성과 탄력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소수인원 직렬 등 유사직렬을 통합하여 대 (大)직렬 체제로 개편하고, 새로운 행정수요에 부응하는 직류를 신설하는 등 지 방조직의 특수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지방공무원의 직군·직렬분류체계를 개편 하는 한편,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 4급 이하 일반직공무원의 직군·직렬 개편(영 제2조·제29조·제46조 및 별표 1·별표 2·별표 8)

(1) 지방행정의 환경변화에 따른 새로운 행정수요에 부응하고, 소수직렬로 인 한 승진제약 등 인력관리상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직군·직렬체계의 개 편이 필요함.

다.

②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제1항의 처리결과를 통보함에 있어서 개선의견을 반영한 경우에 는 그 내용을, 앞으로 조치할 계획인 경우에 는 그 계획을 통보하고, 특별한 사유로 인하 여 개선의견에 따른 조치를 할 수 없는 경우 에는 그 사유를 통보하여야 한다.

(13)

(2) 일반직공무원의 경우 직군을 행정직군과 기술직군으로, 4급 공무원의 직급은 지방서기관, 지방기술서기관으로, 5급이하 공무원은 현행 38개 직렬을 21개 직렬로 각각 통합하며, 기 능직공무원의 경우 철도현업 직군·직렬·직류를 폐지하는 등 현행 10개 직군, 22개 직렬, 36개 직류를 9개 직군, 20개 직렬, 35개 직류로 조정함.

(3) 각 지방자치단체 인사운영의 자율성과 탄력성을 높이고 적재적소의 인사를 실현하는데 기 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노조 전임자로 종사하기 위한 휴직기간을 경력평정기간에 산입(영 제31조의6제2항제1호) (1)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노동조합 전임자로 종사하

게 된 경우 직권휴직이 가능해짐에 따라 그 휴직기간에 대한 경력인정의 필요성이 발생함.

(2) 「지방공무원법」제63조제1항제6호에 따라 노동조합 전임자로 종사하기 위하여 휴직한 경우 그 휴직기간을 경력평정을 위한 재직기간에 산입함.

(3) 노동조합 전임자로 종사하기 위하여 휴직한 기간에 대한 경력평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합법적 노동조합 활동을 장려함.

○ 승진소요최저연수 산정을 위한 재직기간 요건 완화(영 제33조제9항)

(1) 승진소요최저연수 산정에 있어서 퇴직 후 재임용된 공무원간의 불평등한 요건을 시정할 필 요가 있음.

(2) 공무원이 퇴직 후 일반직 또는 기능직공무원으로 재임용된 경우 퇴직 전 재직기간을 승진 소요최저연수에 산입하기 위하여는 퇴직 후 30일 이내에 재임용되어야 한다는 규정을 삭 제함.

(3) 퇴직일부터 재임용되는 기간에 대한 제한이 삭제되어 승진소요최저연수 산정에 있어서 퇴 직 후 재임용된 공무원간의 불균형이 시정될 것으로 기대됨.

제2조 (용어의 정의) 이 영에서 사용되는 용어 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내지 3. (생 략)

4. 「지방공무원법」(이하“법”이라 한다) 제4

제2조 (용어의 정의) --- ---.

1. 내지 3. (현행과 같음)

4. ---

(14)

조제2항 및 법 제27조제2항제8호 또는 이 영에서“연구직렬”이라 함은「지방 연 구직 및 지도직공무원의 임용 등에 관한 규 정」(이하“연구및지도직규정”이라 한다) 별 표 1 제1호의 각 직렬을 말하며, “기술직 렬”이라 함은 이 영 별표 1의 광공업·농림 수산·보건의무·환경·교통·시설 및 통 신직군의 각 직렬과 연구및지도직규정 별 표 1 제2호의 각 직렬을 말한다.

5. (생 략)

제29조 (전직시험의 면제) 다음 각호의 어느 하 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전직시험을 거치지 아니하고 전직시킬 수 있다.

1. 내지 5. (생 략)

6. 규칙으로 정하는 직무내용이 유사한 연구 직렬공무원을 기술직렬공무원으로 전직시 키는 경우와 5년 이상의 근무경력이 있는 행정직렬공무원과 운수직렬공무원 상호간 에 전직시키는 경우

7. (생 략)

제31조의6 (경력평정) ① (생 략)

②경력평정은 평정기준일부터 5급공무원의 경우에는 최근 14년, 6급공무원(기능 6급이 상 기능직공무원을 포함한다)의 경우에는 최 근 12년, 7급이하 공무원(기능 7급 이하 기능 직공무원을 포함한다)의 경우에는 최근 10년 이내의 기간 중 각각 실제로 직무에 종사한 기간(“경력평정대상기간”이라 한다)에 대하 여 별표 3의 환산율을 적용하여 산정한 경력 기간(“환산경력기간”이라 한다)에 행정자치

--- --- --- --- --- --- 기술직군---- --- --- ---.

5. (현행과 같음)

제29조 (전직시험의 면제) --- --- ---.

1. 내지 5. (현행과 같음)

6. 규칙으로 정하는 직무내용이 유사한 연구 직렬공무원을 기술직렬공무원으로 전직시 키는 경우

7. (현행과 같음)

제31조의6 (경력평정) ① (현행과 같음)

②--- --- --- --- --- --- --- --- ---

(15)

부령 또는 교육인적자원부령이 정하는 평정 점을 곱하여 행한다. 다만, 다음 각호의 규정 에 의한 기간은 각각 휴직 또는 직위해제당 시의 직급에서 직무에 종사한 것으로 보아 이를 평정한다.

1. 법 제63조제1항제1호의 규정에 의한 휴 직 중「공무원연금법」에 의한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휴직과 법 제63조제1 항제 3 호·제 5 호 또는 동조제 2 항제 1 호·제4호의 규정에 의한 휴직은 그 휴직 기간, 법 제63조제2항제2호의 규정에 의 한 휴직은 그 휴직기간의 5할에 해당하는 기간

2. (생 략)

③ 내지 ⑤ (생 략) 제33조 (승진소요최저연수)

① 내지 ⑧ (생 략)

⑨특수경력직 또는 다른 종류의 경력직공무 원이 퇴직 후 30일 이내에 일반직공무원 또는 기능직공무원으로 임용된 경우에는 규칙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당해 계급상당 이상의 특 수경력직 또는 다른 종류의 경력직공무원으 로서 3년을 초과하여 재직한 기간은 당해 계 급 승진소요최저연수의 2분의 1의 범위 안에 서 이를 제1항의 기간에 산입할 수 있다.

⑩ (생 략)

제46조 (시험과목) ①임용시험의 과목에 관하 여는 국가공무원에 적용되는「공무원임용시 험령」에 규정된 시험과목을 준용하되, 기업 행정직류에 대하여는 일반행정직류의 시험과

--- --- --- --- ---.

1. --- --- --- 법 제63조제1 항제3호·제5호·제6호 --- --- --- --- --

2. (현행과 같음)

③ 내지 ⑤ (현행과 같음) 제33조 (승진소요최저연수)

① 내지 ⑧ (현행과 같음)

⑨--- --- 퇴직 후--- --- 행정자 치부장관이 정하는 범위 내에서 규칙이 정하 는 바에 따라 --- --- 이를 제1 항에 따른 기간--- ---.

⑩ (현행과 같음)

제46조 (시험과목) ①--- --- --- ---

(16)

목을, 수도토목직류에 대하여는 일반토목직 류의 시험과목을 준용하고, 화공직렬 중 가 스직류의 임용시험과목은 별표 8에 의하며, 4급 이상 공무원의 특별임용은 해당 공무원 의 임용예정직위에 부합된 5급 직렬의 채용 기준을 준용한다.

② 내지 ⑪ (생 략)

--- --- 녹지직렬 중 산림 자원·산림보호·산림이용직류는 각각 임업 직렬의 산림자원·산림보호·산림이용직류 의 시험과목을 준용하고, 녹지직렬 중 조경 직류와 공업직렬 중 가스직류의 임용시험과 목---.

② 내지 ⑪ (현행과 같음)

개정 2006. 12. 29. 대통령령제19782호《시행일 : 공포한 날부터 시행. 다만, 제26조제1항제6호나목 및 제50 조제6항제2호의 개정규정은 2007년 1월 1일부터 시행》

지역경제 육성을 위하여 공동수급체의 구성원으로 지역건설업체를 의무적으로 포함해야 하는 공사의 범위를 확대하고, 소액수의계약을 할 때에도 견적서 제 출자를 주된 영업소의 소재지를 기준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여 지역중소업체 의 수주기회를 확대하는 한편, 특정 자재의 가격이 급격하게 변동하는 경우 그 자재의 계약금액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경기변동에 취약한 하도급업체를 보호하고, 그 밖에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 소액수의계약 체결 절차 개선(영 제30조제2항, 영 제30조제3항 내지 제5 항 신설)

(1) 대기업과 중소기업, 수도권과 지방건설업체간의 수주율 격차가 심화되고 있어 지방중소건설업의 경쟁력회복을 위한 지원이 필요함.

(2) 공사금액이 소액인 공사를 수의계약으로 할 경우 추정가격이 2천만원 이상인 수의계약의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지정정보처리장치를 이용하여 견적서를 제출하도록 하되, 견적서를

(17)

제출할 수 있는 자를 그 주된 영업소의 소재지를 기준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함.

(3) 소액수의계약 영역에서 계약체결의 공정성을 확보하고, 지역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하 여 경제력이 미약한 지역의 경제력 향상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됨.

○ 대가지급시기 단축(영 제58조제1항)

(1) 현재는 국고의 부담이 되는 계약의 대가를 계약상대자의 청구 후 14일 이내 지급하도록 하 고 있으나, 앞으로는 청구 후 7일 이내 지급하도록 함.

(2) 중소기업들의 자금난을 해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계약금액 조정제도 개선(영 제64조제6항 신설)

(1) 현재 공사계약에 사용되는 특정 자재의 가격이 급격하게 변동되더라도 전체 계약금액의 변 동이 없는 한 계약금액을 조정할 수 없어 특정 자재를 납품하는 하도급업체의 피해가 발생 되고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

(2) 공사계약의 경우 특정규격의 자재별 가격변동률이 100분의 15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자재 에 한하여 계약금액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

(3) 자재별로 물가변동에 따른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특정 자재를 납품하는 하도급업체를 보 호하고, 적정한 공사의 이행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지역업체와의 의무적 공동계약 범위 확대(영 제72조제3항)

(1) 현재는 추정가격이 50억원 미만인 공사에 대하여 공사현장을 관할하는 시·도에 주된 영 업소가 있는 자 중 1인 이상을 공동수급체의 구성원으로 하여야 하나, 2009년까지는 지역 의무공동계약의 공사범위를 추정가격이 재정경제부장관이 고시하는 금액 미만인 공사까지 확대함.

(2) 지역중소업체의 수주기회 확대를 통하여 지방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제26조 (수의계약에 의할 수 있는 경우) ①법 제7조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수의계약에 의 할 수 있는 경우는 다음 각 호와 같다.

제26조 (수의계약에 의할 수 있는 경우) ①--- --- ---.

(18)

1. 내지 4. (생 략)

5.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공사(전문 공사를 제외한다)로서 추정가격이 1억원 이하인 공사,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전 문공사로서 추정가격이 7천만원 이하인 공 사, 그 밖의 공사관련 법령에 의한 공사로 서 추정가격이 5천만원 이하인 공사 또는 추정가격(임차 또는 임대의 경우에는 연액 또는 총액기준)이 3천만원 이하인 물품의 제조·구매, 용역 그 밖의 계약의 경우 6. 다른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특정사업자로

하여금 특수한 물품·재산 등을 매입 또는 제조하도록 하는 경우로서 다음 각목의 경우 가. (생 략)

나. 「중소기업진흥 및 제품구매촉진에 관한 법률」제9조의 규정에 의한 단체수의계약 에 의하는 경우

다. 내지 바. (생 략) 7. 및 8. (생 략)

② 내지 ④ (생 략)

제30조 (견적에 의한 가격결정)

① (생 략)

②제1항 본문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견적 서를 제출하고자 하는 자 모두에게 견적서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1. 내지 4. (현행과 같음)

5. --- --- 2억원 --- --- 1억원 --- --- --- 8천만원 --- --- --- 5천만원 --- --- 6. ---

--- --- 가. (현행과 같음)

<삭 제>

다. 내지 바. (현행과 같음) 7. 및 8. (현행과 같음)

② 내지 ④ (현행과 같음) 제30조 (견적에 의한 가격결정 등)

① (현행과 같음)

②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제26조제1항제5호에 따른 수의계약 중 추 정가격이 2천만원 이상인 수의계약의 경우에 는 지정정보처리장치를 이용하여 견적서를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계약의 목적 이나 특성상 지정정보처리장치에 의한 견적 서제출이 곤란한 경우로서 재정경제부령이 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9)

<신 설>

<신 설>

<신 설>

③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제출받은 견적서 에 기재된 견적가격이 예정가격의 범위안에 들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다시 견적서를 제출 받아 계약금액을 결정하여야 한다.

④제1항 및 제3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재정 경제부령이 정하는 경우에는 견적서제출을 생략하게 할 수 있다.

제50조 (계약보증금) ① 내지 ⑤ (생 략)

⑥법 제12조제1항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계 약보증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면제할 수 있 는 경우는 다음 각호와 같다.

③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제2항 본문에 따라 지정정보처리장치를 이 용하여 견적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경우 그 견적서의 제출에 관한 사항은 지정정보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안내공고를 하여야 한다.

④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제2항에 따른 수의계약을 할 경우 계약이행 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필요하 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견적서를 제출할 수 있는 자를 재정경제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주된 영업소의 소재지를 기준으로 하여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항에 따른 안내 공고에 그 제한사항과 제한기준을 명시하여 야 한다.

⑤재정경제부장관은 제2항에 따른 지정정보 처리장치를 이용한 견적서의 제출과 관련한 기준 및 세부절차, 제3항에 따른 안내공고의 시기 및 기간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 할 수 있다.

⑥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 --- --- ---.

⑦제1항·제2항 및 제6항에 --- --- ---.

제50조 (계약보증금) ① 내지 ⑤ (현행과 같음)

⑥--- --- --- 각 호----.

(20)

1. (생 략)

2. 「중소기업진흥 및 제품구매촉진에 관한 법률」제9조의 규정에 의하여 중소기업협 동조합과 단체수의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3. 내지 5. (생 략)

⑦ 내지 ⑪ (생 략)

제58조 (대가의 지급) ①법 제15조제2항의 규 정에 의하여 국고의 부담이 되는 계약의 대 가는 제55조의 규정에 의한 검사를 완료한 후 계약상대자의 청구를 받은 날부터 14일 이내에 이를 지급하여야 한다. 이 경우 계약 당사자와 합의하여 14일을 초과하지 아니하 는 범위내에서 대가의 지급기한을 연장할 수 있는 특약을 정할 수 있다.

② 내지 ⑤ (생 략)

<신 설>

제64조 (물가변동으로 인한 계약금액의 조정)

①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법 제19조의 규정에 의하여 국고의 부담이 되는 계약을 체결(장기계속공사 및 장기물품 제조등의 경우에는 제1차계약의 체결을 말 한다)한 날부터 90일이상 경과하고 동시에 다음 각호의 1에 해당되는 때에는 재정경제 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계약금액(장기계 속공사 및 장기물품제조등의 경우에는 제1 차계약체결시 부기한 총공사 및 총제조 등의 금액을 말한다. 이하 이 장에서 같다)을 조정 한다. 이 경우 조정기준일(조정사유가 발생 한 날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부터

1. (현행과 같음)

<삭 제>

3. 내지 5. (현행과 같음)

⑦ 내지 ⑪ (현행과 같음)

제58조 (대가의 지급) ①--- --- --- --- 7일 --- --- 7일--- --- ---.

② 내지 ⑤ (현행과 같음)

⑥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기간을 산정하는 경우에는 공휴일 및 토요일을 제외한다.

제64조 (물가변동으로 인한 계약금액의 조정)

①--- --- --- --- --- --- 각 호의 어느 하나--- --- --- --- --- --- ---

(21)

90일 이내에는 이를 다시 조정하지 못한다.

1. 입찰일(수의계약의 경우에는 계약체결일 을, 2차 이후의 계약금액 조정에 있어서는 직전 조정기준일을 말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을 기준일로 하여 재정경제부령이 정 하는 바에 의하여 산출된 품목조정률이 100분의 3 이상 증감된 때

2. (생 략)

② 내지 ⑤ (생 략)

<신 설>

제72조 (공동계약) ① 및 ② (생 략)

③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제2항의 규정에 의한 공동계약의 경우 추정 가격이 50억원 미만(2003년 12월 31일까지 는 78억원 미만)이고 건설업등의 균형발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공사현 장을 관할하는 특별시·광역시 및 도에 주된 영업소가 있는 자중 1인 이상을 공동수급체의 구성원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당해 지역안 에 공사의 이행에 필요한 자격을 갖춘 자가 10인 미만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④ (생 략)

제76조 (부정당업자의 입찰참가자격제한) ①각 중앙관서의 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계약상대자 또는 입찰자(계약상대

---.

1. --- --- --- 이하 이 항 및 제6항에서 같다--- --- ---

2. (현행과 같음)

② 내지 ⑤ (현행과 같음)

⑥제1항 각 호에 불구하고 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공사계약의 경우 특 정규격의 자재별 가격변동으로 인하여 입찰 일을 기준일로 하여 산정한 해당 자재의 가 격증감률이 100분의 15 이상인 때에는 그 자 재에 한하여 계약금액을 조정한다.

제72조 (공동계약) ① 및 ② (현행과 같음)

③--- --- --- 50억원 미만(2009년 12월 31일까지 는 고시금액 미만)--- --- --- --- --- --- ---.

④ (현행과 같음)

제76조 (부정당업자의 입찰참가자격 제한) ①- --- ---

(22)

자 또는 입찰자의 대리인·지배인 기타 사용 인을 포함한다)에 대하여는 법 제27조의 규 정에 의하여 당해 사실이 있은 후 지체없이 1 월 이상 2년 이하의 범위내에서 입찰참가자 격을 제한하여야 한다.

1. 내지 10. (생 략)

11. 입찰참가신청서 또는 입찰참가승낙서를 제출하고도 정당한 이유없이 당해 회계연 도중 3회 이상 입찰에 참가하지 아니한 자

12. 내지 16. (생 략)

② 내지 ⑪ (생 략)

제86조 (대안입찰의 대안채택 및 낙찰자 결정)

① (생 략)

②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제1항에 따라 선정된 낙찰적격입찰의 대안 입찰서에 대하여 제85조제5항에 따라 설계 의 적격여부 및 설계점수를 통지받은 때에는 적격으로 통지된 대안입찰서 중 설계점수가 높은 순으로 최대 4개의 대안(적격으로 통지 된 대안이 4개 미만인 경우에는 적격으로 통 지된 모든 대안)을 선정한 후 대안설계점수가 원안설계점수보다 높은 것을 대안으로 채택 한다. 다만, 수개의 대안공종 중 일부 공종에 대한 대안설계점수가 원안설계점수보다 낮은 경우에는 해당 공종에 대한 대안공종은 이를 채택하지 아니한다.

③ 내지 ⑧ (생 략)

제87조 (일괄입찰의 낙찰자 선정) ①각 중앙관

--- --- --- --- ---.

1. 내지 10. (현행과 같음)

11. --- --- --- 입찰(제39조제2항에 따라 지정정보처리장치에 의하여 입찰서를 제출 하게 한 입찰을 제외한다)에 --- 12. 내지 16. (현행과 같음)

② 내지 ⑪ (현행과 같음)

제86조 (대안입찰의 대안채택 및 낙찰자 결정)

① (현행과 같음)

②--- --- --- --- --- --- 6개--- --- 6개 --- --- --- --- --- --- ---.

③ 내지 ⑧ (현행과 같음)

제87조 (일괄입찰의 낙찰자 선정) ①---

(23)

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기본설계입 찰에 있어서 제85조제5항의 규정에 의한 통 지를 받은 때에는 입찰자중 설계점수가 높은 순으로 최대 4인(적격으로 통지된 입찰자가 4인 미만인 경우에는 적격으로 통지된 모든 입찰자)을 선정하여 제42조제5항에 따른 계 약이행능력 심사기준에 합당한 자를 실시설 계적격자로 결정한다. 다만, 제85조제5항에 따른 기본설계적격자가 1인 이하인 경우에는 재공고입찰에 의하여야 한다.

② 내지 ⑧ (생 략)

--- --- --- --- 6인--- 6인 --- --- --- --- --- ---.

② 내지 ⑧ (현행과 같음)

개정 2006. 12. 29. 재정경제부령제536호《공포한 날부터 시행》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소액수의계약을 할 경우 견적서 제출자를 주된 영업 소의 소재지를 기준으로 제한할 수 있게 하는 내용 등으로「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 개정(대통령령 제19782호, 2006. 12. 29. 공 포·시행)됨에 따라 그 제한 기준을 정하는 한편, 입찰참가자격사전심사의 대 상이 되는 공사의 범위를 조정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 려는 것임.

(24)

○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 대상공사의 조정(제23조제1항제15호·제16호·제 19호 및 제22호 삭제)

(1) 공사기술의 발전을 고려하여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 대상공사의 범위를 조정할 필요가 있음.

(2) 현재는 교량건설 등 22개 공종의 공사에 대하여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를 실시하고 있으 나, 앞으로는 이들 공사 중 기술이 일반화된 상·하수도건설공사, 공용청사건설공사, 공동 주택건설공사를 입찰참가자격의 사전심사대상이 되는 공사의 범위에서 제외함.

(3) 입찰업무의 신속한 수행과 입찰에 참가하려는 중소건설업체의 부담이 경감될 것으로 기대됨.

○ 소액수의계약 견적서 제출자 자격기준 마련(제33조제2항 신설)

(1) 소액수의계약의 경우 견적서 제출자를 그 주된 영업소의 소재지를 기준으로 제한할 수 있 도록 함에 따라 제한의 기준을 정할 필요가 있음.

(2) 소액수의계약의 견적서 제출자를 원칙적으로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에 소재하는 업체로 제한하도록 하되, 공사의 현장 등이 소재하는 시·군에 계약의 이행에 필요한 자격을 갖춘 자가 5인 이상인 경우에는 시·군에 소재하는 업체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함.

○ 보증보험증권 등에 의한 하자보수보증금 납부시 보증기간 단축(제55조제1항제3호다목) (1) 현재 하자보수보증금을 보증보험증권 등으로 납부할 경우 보증보험의 보증기간의 만료일

을 하자담보책임기간 종료일 다음날부터 60일 이후일 것을 요건으로 함으로써 계약상대자 가 하자담보책임이 없는 기간에 대하여도 보증을 하게 하여 보험료를 추가로 부담하게 하 는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개선할 필요가 있음.

(2) 보증보험증권 등의 보증기간 만료일을 하자담보책임기간 종료일 다음날부터 60일 이후에 서, 하자담보책임기간 종료일 이후로 단축함.

제14조 (입찰참가자격요건의 증명) ①영 제12 조제1항제4호에서“재정경제부령이 정하는 요건”이라 함은「소득세법」제168조·「법인 세법」제111조 또는「부가가치세법」제5조에

제14조 (입찰참가자격요건의 증명) ①--- --- --- ---

(25)

따라 당해 사업에 관한 사업자등록증을 교부 받거나 납세번호를 부여받은 경우를 말한다.

② 및 ③ (생 략)

제23조 (입찰참가자격사전심사의 대상) ①영 제13조제1항제2호에서“재정경제부령이 정 하는 공사”라 함은 추정가격이 200억원 이상 인 공사(영 제6장의 규정을 적용받는 공사를 제외한다)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 당하는 공사를 말한다.

1. 내지 14. (생 략)

15. 상수도(지름 1천밀리미터 이상의 것에 한 하며, 정수장을 포함한다)건설공사

16. 하수도(단면적 20제곱미터 이상의 것에 한한다)건설공사

17. 및 18. (생 략)

19. 공용청사(연면적 2만제곱미터 이상의 것 에 한한다)건설공사

20. 및 21. (생 략)

22. 공동주택(16층 이상의 것에 한한다)건설 공사

② (생 략)

제33조 (견적에 의한 가격결정) <신 설>

--- 교부 받은 ---.

② 및 ③ (현행과 같음)

제23조 (입찰참가자격사전심사의 대상) ①--- --- --- --- --- ---.

1. 내지 14. (현행과 같음)

<삭 제>

<삭 제>

17. 및 18. (현행과 같음)

<삭 제>

20. 및 21. (현행과 같음)

<삭 제>

② (현행과 같음)

제33조 (견적에 의한 가격결정 등) ①영 제30 조제2항에서“지정정보처리장치에 의한 견 적서제출이 곤란한 경우로서 재정경제부령이 정하는 경우”라 함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 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1. 전문적인 학술연구용역의 경우

2. 농·수산물 및 음식물(그 재료를 포함한 다)의 구입 등 신선도와 품질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는 경우

3. 그 밖에 계약의 목적이나 특성상 지정정보 처리장치에 의한 견적서제출이 곤란한 경 우로서 재정경제부장관이 정하는 경우

(26)

<신 설>

③영 제30조제4항에서“재정경제부령이 정하 는 경우”라 함은 다음 각호의 경우를 말한다.

1. 및 2. (생 략)

제44조 (입찰무효) 영 제39조제4항에 따라 무 효로 하는 입찰은 다음과 같다.

1. 내지 3. (생 략)

4. 동일사항에 동일인이 2통 이상의 입찰서 를 제출한 입찰

5. 및 6의2. (생 략)

6의3. 제15조제1항에 따라 등록된 사항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등록사 항을 변경등록하지 아니하고 입찰서를 제 출한 입찰

가. (생 략) 나. 대표자의 성명 다. 사업자등록번호

라. 관련되는 면허·허가 또는 등록내용 7. 내지 11. (생 략)

②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이 영 제30조제4항에 따라 주된 영업소의 소재 지를 기준으로 견적서제출을 제한하는 경우 에는 주된 영업소가 해당 공사의 현장, 물품 의 납품지 등이 소재하는 특별시·광역시·

도 또는 특별자치도의 관할구역 안에 있는 자로 제한하여야 한다. 다만, 공사의 현장, 물품의 납품지 등이 소재하는 시(행정시를 포 함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군(도의 관할 구역 안에 있는 군을 말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에 해당 계약의 이행에 필요한 자격을 갖춘 자가 5인 이상인 경우에는 그 시·군의 관할구역 안에 있는 자로 제한할 수 있다.

③영 제30조제7항--- --- 각 호---.

1. 및 2. (현행과 같음)

제44조 (입찰무효) --- ---.

1. 내지 3. (현행과 같음)

4. --- 동일인(1인이 수개의 법인의 대표자인 경우 해당 수개의 법인을 동일인 으로 본다)--

5. 및 6의2. (현행과 같음)

6의3. --- --- --- ---

가. (현행과 같음)

나. 대표자(수인의 대표자가 있는 경우에는 대표자 전원)--

<삭 제>

<삭 제>

7. 내지 11. (현행과 같음)

(27)

제55조 (보증보험증권등에 의한 보증금 납부)

①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입찰참가자 또는 계약상대자가 제43조·제 51조 및 제52조의 규정에 의한 보증금을 영 제37조제2항제1호·제3호 또는 제4호의 규정에 의한 지급보증서·보증보험증권 또는 보증서(이하“보증보험증권등”이라 한다)로 납부하고자 할 때에는 다음 각호의 요건이 충족된 것으로 유가증권취급공무원에게 제출 하게 하여야 한다.

1. 및 2. (생 략)

3. 보증기간은 보증금에 따라 다음 각목의 1 에 해당할 것

가. (생 략) 나. 계약보증금

(1) (생 략)

(2) 보증기간의 만료일 : 계약기간의 종료 일 다음날부터 60일 이후일 것

다. 하자보수보증금 (1) (생 략)

(2) 보증기간의 만료일 : 하자담보책임기 간 종료일 다음날부터 60일 이후일 것 4. 및 5. (생 략)

② (생 략)

제74조 (물가변동으로 인한 계약금액의 조정)

① 내지 ⑦ (생 략)

<신 설>

⑨ 및 ⑩ (생 략)

제55조 (보증보험증권등에 의한 보증금 납부)

①--- --- --- --- --- --- --- 각 호--- --- ---.

1. 및 2. (현행과 같음)

3. --- 각 목의 어느 하나---

가. (현행과 같음) 나. ---

(1) (현행과 같음)

(2) --- --- 이후일 것

다. --- (1) (현행과 같음)

(2) --- --- 이후일 것

4. 및 5. (현행과 같음)

② (현행과 같음)

제74조 (물가변동으로 인한 계약금액의 조정)

① 내지 ⑦ (현행과 같음)

⑧제1항에 따라 등락률을 산정함에 있어 제 23조의2 각 호에 따른 용역계약(2006년 5월 25일 이전에 입찰공고되어 체결된 계약에 한 한다)의 노무비의 등락률은「최저임금법」에 따른 최저임금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⑨ 및 ⑩ (현행과 같음)

(28)

2007. 1. 11. ~ 2. 10.

군무원인사법시행령 일부개정령안(국방부공고제2007-4호)

식품위생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보건복지부공고제2007-8호) 친환경상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환경부공고제2007-4호)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환경부공고제2007-2호) 교원자격검정령 시행규칙중 개정령안(교육인적자원부공고제2007-3호)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환경부공고제2007-2호)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환경부공고제2007-3호) 고용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노동부공고제2007-6호)

고용보험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노동부공고제2007-7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4호) 소득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5호) 법인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6호)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7호) 국세기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8호) 교육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9호) 주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10호) 특별소비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11호) 교통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12호)

농·축산·임·어업용 기자재 및 석유류에 대한 부가가치세 영세율 및 면세 적용 등에 관한 특례규정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13호)

세무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14호)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15호) 인지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16호)

교육감이고등학교의입학전형을실시하는지역에관한규칙중개정령안(교육인적자원부공고제 2007-7호)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시행령·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산업자원부공고제2007-8호)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전부개정법률안(산업자원부공고제2007-13호)

(29)

공인노무사법 일부개정법률안(노동부공고제2007-12호) 직업안정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노동부공고제2007-14호)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산림청공고제2007-9호) 어업생산통계조사규칙 일부개정령안(해양수산부공고제2007-9호)

초·중등교육법시행령중 개정령안(교육인적자원부공고제2007-10호)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중 개정령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7-17호) 전파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정보통신부공고제2007-3호) 학교보건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교육인적자원부공고제2007-12호) 폐기물관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환경부공고제2007-13호)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환경부공고제2007-14호) 노동위원회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노동부공고제2007-16호)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안(문화광관부공고제2007-2호) 중소기업협동조합법시행령 일부개정령안(산업자원부공고제2007-17호)

사격 및 사격장 단속법 일부개정법률안(경찰청공고제2007-3호)

총포·도검·화약류등단속법시행령 일부개정령안(경찰청공고제2007-4호) 사방사업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산림청공고제2007-10호) 보훈기금법 일부개정법률안(국가보훈처공고제2007-4호)

도서·벽지 교육진흥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교육인적자원부공고제2007-14호) 교원의노동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노동부공고제2007-21호) 사회복지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보건복지부공고제2007-25호)

지방문화원진흥법시행령 일부개정령안(문화관광부공고제2007-3호)

향토예비군설치법 시행령 및 향토예비군설치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국방부공고제2007-6호) 전기용품안전 관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산업자원부공고제2007-20호)

의료기기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보건복지부공고제2007-31호)

특수임무수행자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중 일부개정령안(국가보훈처공고제2007-10호) 제대군인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중 일부개정령안(국가보훈처공고제2007-11호)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노동부공 고제2007-23호)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노동부 공고제2007-24호)

임금채권보장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노동부공고제2007-25호) 임금채권보장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노동부공고제2007-26호)

(30)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공주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7-29호)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중 일부개정령안(국가보훈처공고제2007-8호) 5·18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시행령 중 일부개정령안(국가보훈처공고제2007-9호)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일부개정법률안(산업자원부공고제2007-16호)

대부업유관기관협의회 운영규정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20호) 상공회의소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산업자원부공고제2007-23호)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정안(소방방재청공고제2007-11호)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제정안(소방방재청공고제2007-12호) 시·군및자치구의교육경비보조에관한규정 전부개정령안(교육인적자원부공고제2007-16호) 학원의설립·운영및과외교습에관한법률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교육인적자원부공고제2007-17호) 신용보증기금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22호)

기술신용보증기금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23호) 농림수산업자 신용보증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24호) 선박직원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해양수산부공고제2007-11호)

선박직원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해양수산부공고제2007-12호) 선박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해양수산부공고제2007-13호) 선박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해양수산부공고제2007-14호)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중 일부개정령안(국가보훈처공고제2007-13호) 유아교육법시행규칙 일부개정규칙안(교육인적자원부공고제2007-15호)

지방교육행정기관 재정투·융자사업심사규칙 일부개정령안(교육인적자원부공고제2007-20호) 농림수산업자 신용보증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27호)

도시교통정비촉진법중 일부개정법률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7-38호) 한국농업대학 설치법 시행령안(농촌진흥청공고제2007-9호)

군인 등의 특수근무수당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령안(국방부공고제2007-9호)

해양생태계의보전및관리에관한법률시행령 및 시행규칙 제정안(해양수산부공고제2007-21호)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노동부공고제2007-32호)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시행령안(기획예산처공고제2007-8호) 해수욕장 관리법 제정법률안(해양수산부공고제2007-24호)

한국수출입은행법 일부개정법률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28호)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보건복지부공고제2007-44호) 모·부자복지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여성가족부공고제2007-8호)

(31)

핵융합에너지 개발진흥법 시행령 제정안(과학기술부공고제2007-18호) 국세기본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2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30호) 소득세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31호) 법인세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32호) 부가가치세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33호) 주세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34호) 교통세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35호) 계엄법시행령 일부개정령안(국방부공고제2007-11호)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산업자원부공고제2007-34호)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정안(환경부공고제2007-25호)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정안(환경부공고제2007-26호)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중 일부개정령안(노동부공고제2007-36호)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중 일부개정령안(노동부공고제2007-37호) 중소기업특별위원회 규정 일부개정령안(중소기업특별위원회공고제2007-1호)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산업자원부공고제2007-39호) 독서문화진흥법 시행령(문화관광부공고제2007-5호)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문화관광부공고제 2007-6호)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시행령 일부개정령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7-41호)

부도공공건설임대주택 임차인 보호를 위한 특별법시행령 제정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7-44호)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정안(국방부공고제2007-12호)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중 일부개정령안(국가보훈처공고제2007-14호) 5·18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중 일부개정령안(국가보훈처공고제2007-15호) 특수임무수행자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중 일부개정령안(국가보훈처공고제2007-16호) 수상레저안전법 시행령 및 같은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해양경찰청공고제2007-19호) 교수자격기준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령안(교육인적자원부공고제2007-25호)

여성기업지원에관한법률시행령 일부개정령안(중소기업청공고제2007-35호) 한국주택금융공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37호) 한국주택금융공사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7-38호) 항공법 일부개정법률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7-48호)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경찰청공고제2007-5호)

(32)

대금지급거절권(代金支給拒絶權)

일정한 경우에 매수인이 대금지급을 거절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원칙적으로 매수인 은 매도인의 재산권이전에 대한 반대급부로서 대금지급의무를 진다. 그러나 매수인은 그 가 동시이행항변권을 원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대금의 지급을 거절할 수 있다. 또한 민법 은 매매의 목적물에 대하여 권리를 주장하는 자가 있는 경우에 매수인이 매수한 권리의 전부나 일부를 잃을 염려가 있는 때에는 매수인은 그 위험의 한도에서 대금의 전부나 일 부의 지급을 거절할 수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원래 매수인은 그가 매수한 물건이나 권리에 하자가 있는 때에는 매도인에 대하여 담보책임을 물을 수 있으나 매도인에게 자 력이 없으면 사실상 매수인은 구제되지 못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민법은 매수인의 보호를 위하여 사전에 대금의 지급거절권을 인정하고 있다.

※ 민법

제588조(권리주장자가 있는 경우와 대금지급거절권) 매매의 목적물에 대하여 권리를 주 장하는 자가 있는 경우에 매수인이 매수한 권리의 전부나 일부를 잃을 염려가 있는 때에 는 매수인은 그 위험의 한도에서 대금의 전부나 일부의 지급을 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매도인이 상당한 담보를 제공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대금채권(代金債權)

매도인이 자기의 재산권이전에 대한 반대급부로써 매수인에 대하여 취득하는 채권으로 서 매수인의 대금지급채무를 권리자인 매도인의 입장에서 본 것이다. 대금의 지급은 금 전채무의 이행이므로 이에 관해서는 금전채권의 적용을 받는다.

※ 민법

제164조(1년의 단기소멸시효) 다음 각호의 채권은 1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시효가 완성한다.

3. 노역인, 연예인의 임금 및 그에 공급한 물건의 대금채권 무권대리(無權代理)

대리권을 가지지 않는 자가 대리인으로서 법률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 대리권이 존재 하지 않는 것으로서 본래 그 행위는 본인 및 무권대리인에 대해서 법률효과가 발생하지 않으나, 민법에서는 거래의 안전이라는 관점에서 본인과 무권대리인의 사이에 일정한 관 계가 있는 경우에는 대리의 효과를 인정하며, 그 이외의 경우에도 본인의 추인이 있으면 대리의 효과를 인정한다.

※ 민법

제130조 (무권대리) 대리권 없는 자가 타인의 대리인으로 한 계약은 본인이 이를 추인하 지 아니하면 본인에 대하여 효력이 없다.

(33)

Q & A

직장인으로서 시간절약과 편리함 때문에 인터넷쇼핑몰을 선호하는 편입니다만, 가 끔 주문한 상품에 하자가 있어 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금전적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등 다소 불리한 입장을 경험했습니다. 반갑게도 최근에 소비자의 권리를 강 화하는 법률이 개정되었다고 들었는데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어 문의 드립니다.

문의하신 법률은「소비자기본법」(법률 제7988호 전부개정)으로 2006년 9월 27 일에 공포되었습니다. 이 법은 종래 소비자보호 위주의 소비자정책에서 탈피 하여 소비자안전·교육의 강화 등으로 소비자권익을 증진함으로써 소비자의 주권을 강화하고, 소액다수의 소비자피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구제하기 위 하여 일괄적 집단분쟁조정 및 단체소송을 도입하여 소비자피해구제제도를 강화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소비자보호법·한국소비자보호원의 명칭 변경

법 제명을「소비자보호법」에서「소비자기본법」으로 변경하고, 한국소비자보호원의 명칭을 한국소비자원으로 변경함.

2⃞ 소비자의 기본적 책무, 소비자 개인정보의 보호에 관한 사항 등을 규정

소비자의 올바른 선택과 정당한 권리행사, 자원절약적·합리적 소비행동 등을 소비자의 책무로 규정하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소비자를 교육함과 동시에 소비자의 개인정보 보호시책을 강구하도록 함.

3⃞ 소비자 안전의 강화

어린이 등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우선적 보호의무를 명문화하고, 위해정보의 수집, 소비 자안전경보의 발령 등 소비자안전에 관한 사항, 중앙행정기관의 장의 위해물품 등에 대 한 조사권을 규정함.

시장감시활동 강화 및 위해요소의 조기 발견·대응으로 소비자의 피해확산을 예방하고 소비생활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사업자의 자발적인 결함시정을 유도함.

4⃞ 소비자단체소송제도의 도입

일정한 요건을 갖춘 소비자단체·사업자단체·비영리민간단체가 소비자의 권익을 침해 하는 사업자의 위법행위에 대하여 법원에 금지·중지를 청구하는 소비자단체소송을 도 입하고, 소제기의 당사자요건, 소송허가신청 및 확정판결의 효력 등 소비자단체소송의 요건·절차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

저질수입상품 등에 따른 소비자 안전위해, 악덕상술·과장광고 등 불공정거래행위로 인 한 소비자 권익침해행위의 방지, 소 제기를 우려한 사업자의 자발적인 위법행위의 중지, 제품의 품질 및 안전성의 향상과 제품결함의 사후시정 등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함.

이 법률은 2007년 2월 28일부터 시행되므로 좀 더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현행법령집 21권 1401쪽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A

(34)

사표시(意思表示)는 계약을 포함한 법 률행위가 성립하기 위한 요건으로서 민법과 형법의 중심적이고 기초적인 개념이 며, 민법이든 형법이든 모두 의사를 핵심으로 하는 인간관에 입각하여 구성되어 있다. 「의 사」라는 단어는 후한시대(後漢時代)의「논형 (論衡)」1)에 사용된 고대어지만 일반적으로는

「의도」, 「생각」이라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19세기에 편찬한 영한사전 중에서「의 사」는 will이나 motive, idea의 번역어로 사용

되기도 하였지만, 근래에「의사」는 영어의 will, 독일어의 der Wille의 번역어로서 사용 되고 있었다. 민법전에서 사용하는「의사표 시」라는 단어도 독일에서 사용하고 있는

Willenserklärung”

을 번역한 단어로 독일어의 원래의 단어는“

Wille”

「의사」( )와“

Erklärung”

(

「표시」)의 합성어라고 할 수 있다.

또한「의사」와 유사한 단어로「의지(意志)」

라는 단어가 있다. 「의지」는 전한시대(前漢時 代)의「회남자(淮南子)」2)에 그 기원을 둔 단어 법령용어의 어원을 찾아서…

재미로 풀어보는 법령용어의 어원(VI)

- 의사(표시)와 자유에 대하여 -

강 현 철(법령용어정비TF팀장)

1) 중국 후한(後漢)의 사상가 왕충(王充)의 저서. 현재 85편이 남아 있으며, 유교의 제설(諸說), 전국시대의 제자(諸子)의 설 외에 당시의 정치·습속·속설(俗說) 등 다방면의 문제를 다루어 실증적이고 합리적인 비판을 가하였다. 내용적으로는 일관된 논리적 체계를 이루 고 있지 않아 저작(著作)으로는 조잡한 점이 없지 않다. 그러나 현저한 사상적 특색은 실증주의의 입장에서 오로지 진실한 것을 구명 하려고 한 점이다. 시대적 제한은 있으나 비판적 정신이 풍부하여 전통사상, 특히 한(漢)나라 때 유학 속에 잠재한 허망성(虛妄性)을 지적하고 속유(俗儒)의 신비주의적 사상, 즉 미신적 사상을 배격하고 있어 당시로서는 희귀한 문헌(文獻)이다. 이 책은 후한 말기에 일 반에게 알려지게 되어, 다음의 위(魏)·진(晉)나라에 영향을 끼쳤다.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39480) 2) 중국 전한(前漢)의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저술한 책. 유안이 빈객과 방술가(方術家) 수천을 모아서 편찬한 것으로, 원래 내외편

(內外編)과 잡록(雜錄)이 있었으나 내편 21권만이 전한다. 처음에 원도편(原道編)이라는 형이상학이 있으며, 그 뒤 천문·지리·시령 (時令) 등 자연과학에 가까운 것도 포함하고, 일반 정치학에서 병학(兵學), 개인의 처세훈(處世訓)까지 열기하고, 끝으로 요략(要略)으 로 총정리한 1편을 붙여서 복잡한 내용의 통일을 기하였다. 사상적 성격은 노장도가(老莊道家)와 음양오행가(陰陽五行家)·유가·법 가 등의 혼합으로 매우 복잡하며, 그 인식론은 정신·물질의 이원론(二元論)에서 관념적 도(道)의 일원론에 귀착한다는 복잡한 양상 을 나타내고, 중세의 재이미신(災異迷信) 사상의 계보에 이어져 있다. 또, 그 정치론은 봉건통치를 위해 법을 절대화하고 군주를 통치 권의 최고 독재자로 하는 극도의 중앙집권체제를 반영하고 있다.(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74107)

Referensi

Garis besar

Dokumen terkait

Orang tua Anda memberikan pujian bila Anda mendapat nilai bagus pada pelajaran terutama mata pelajaran Bahasa Inggris saat mengambil rapot. 1 1 5

[r]

[r]

Sat up straight (hal. Makna kalimat ini yakni seseorang menyuruh untuk duduk. Bentuk kalimat ini intransitif karena tidak mempunyai obyek. Makna’ go out’ adalah

Pada tahapan ini dilakukan proses integrasi setelah pembuatan seluruh rencana dalam mengantisipasi bencana apa saja yang akan terjadi, proses integrasinya dapat

Apakah kita akan membiarkan diri kita tertunduk dan larut dalam ketakutan atau keputusasaan, atau berjalan dengan wajah yang terangkat penuh sukacita dan pengharapan karena yakin

Seperti pada Gambar 1.1 enterprise secara istilah bisa dikatakan sebagai sebuah organisasi yang menjalankan proses bisnis secara jelas dan terstruktur dengan memanfaatkan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