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第 5 章 對處方案

5.2 公正한 貿易慣行 定着

公正貿易(fair trade)의 사전적 의미는 競爭原理 및 去來秩序를 侵害하지 않은 정당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국가 간의 거래를 말하며, 이는 均等한 競爭條件(level playing field) 하에서 이루어지는 貿易을 뜻한다.108) 따라서 公正貿易은 더욱 투명하고 公正한 방식의 貿易을 통해 국가 상호 간 신뢰 와 협력을 도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동의 번영을 추구할 수 있는 계기 가 될 수 있다. 이에 반해 거래가격을 정상가격 이하로 낮추는 덤핑이나 보조금을 통해 수출가격을 하향 조정하는 경우 등은 相對國의 競爭市場을 攪亂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특허권․상표권․저작권 등 타인의 知識財

108) 기획재정부, 2008. 관세무역 용어집, p.222.

産權을 侵害하는 물품의 수출입․판매 행위, 그리고 원산지․품질․규격 등 각종 표시의 허위 또는 과장 행위 등도 不公正貿易의 일반적 형태이다.

자유주의적 無限競爭이 무역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오늘날의 國際間 交易 環境 하에서 公正貿易은 그 어떤 무역원칙보다도 중요시 되며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公正貿易原則은 國際貿易의 기본이자 근본이 된다는 사실 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우리나라도 대외무역법 제 1조에‘이 법은 대외무역을 진흥하고 公正한 去來秩序를 確立하여 國際收支의 均衡과 通 商의 擴大를 圖謀함으로써 國民 經濟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 다’라고 규정해 公正去來를 對外貿易의 基本原則으로 삼고 있음을 분명 히 하고 있다. 또한 우리정부는 2001년 ‘불공정무역행위 조사 및 산업피 해 구제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불공정 무역거래행위 및 수입의 증가 로 인해 발생하는 國內産業의 被害를 조사하고 구제하는 절차를 제도화하 였다. 같은 해 5월 공포․시행된 ‘불공정무역행위 조사 및 산업피해 구제 에 관한 법률 시행령’은 불공정무역행위 및 수입의 증가로 인한 國內産 業의 被害를 조사하고 구제하는 절차를 명확히 하고 ‘WTO의 기구설립 을 위한 마라케쉬협정 등 무역에 관한 국제협약’의 이행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109)

한편, 국내기업이 輸出相對國에서 반덤핑제소를 당하게 되면 최종적으 로 판정이 나올 때까지 소송비용 및 조사협조 등에 따른 직․간접 형태의 비용을 負擔해야 한다. 또한 국내기업의 수출제품에 대한 덤핑관세 賦課 에 따른 수입원가 상승우려 등으로 당해국가 수입자는 국내기업이 아닌 다른 나라 기업으로 거래선을 바꿀 가능성이 많아 어렵게 개척한 海外 市 場을 잃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인도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긴급수입제한조치나 덤핑방지관세 賦課가 頻繁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나라이다. 정상기준을 넘어 우려할 만한 수준 으로 不公正 의심 품목에 대한 通商規制를 强化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109) 조영재, 2001. 불공정무역행위조사 및 산업피해 구제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정내용 해설. 관세와 무역 2001.6(통권 제368호), pp.35~39.

예방하기 위해서는 公正去來 慣行을 定着하여 不公正去來의 불신을 아예 遮斷하는 것이 최선책이 될 것이다. 만약, 해당국의 근거 없는 不公正是 非나 관련 규정의 자의적 해석 등으로 인해 불이익을 당하는 상황에 직면 하게 되면 적극적으로 소명하고 대응하여 불합리한 通商規制를 슬기롭게 극복해 나가는 것도 꼭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이다. 2008년 12월 8일 인 도상공부 반덤핑총국(DGAD)이 한국, 중국, 일본, 태국 등 15개국에서 자 국으로 수입되는 열연강판 제품(Hot Rolled Steel Products)에 대하여 반덤 핑 조사개시를 통지하자, 우리 정부는 인도 진출기업인 포스코, 삼성물산, LG상사 등 주요 철강 수출업체와 관련 정보를 공유하며 대응논리를 마련 하고, 외교통상부 장관이 인도를 방문하여 반덤핑조사의 종결을 강력하게 제의함으로써 인도 제소업체의 조사신청 철회를 명분으로 해당제품의 반 덤핑 조사를 종결하는 결과를 이끌어 낸 事例110)가 있다. 이러한 노력은 결코 그저 주어진 것이 아니라, 상황을 직시하고 슬기롭게 극복한 좋은 예가 될 것이다.

또한 知識財産權이나 원산지 및 각종 표기사항에 대한 부정․위반행위 도 마찬 가지이다. 권한이 없는 知識財産權 물품을 수출한다거나 더 나아 가 위조․변조․모조 물품을 거래하는 행위, 그리고 규정에 맞지 않는 표 기사항 등으로 流通市場을 혼란케 하는 행위는 절대로 해서는 안 될 것이 다. 아직은 낮은 단계에 머물러 있긴 하나 인도뿐만 아니라 다른 交易 相 對國들도 갈수록 이를 강화키 위해 법 규정을 보완하고 제도나 조직을 재 정비해 가고 있는데 이는 앞으로 강력한 規制를 예고하는 신호로 볼 수 있다.

不公正貿易은 자유롭고 公正한 수출입 질서를 攪亂시키는 부도덕한 행 위이자, 소비자를 기만하는 또 하나의 범죄행위로 국제적 交易에 있어 公 敵으로 간주될 수 있는 행위이다. 궁극적으로 不公正貿易은 流通秩序를 攪亂시키는 한편, 내․외국 소비자들에게 그 상품에 대한 不信을 갖게 해

110) 외교통상부, 2009. 통상마찰기업애로 해소 사례집(열연강판 반덤핑 조사 대응 및 동결 지원), pp.41~42.

기업 및 국가의 대외 이미지를 손상시킨다. 아울러 상대국에게 通商規制 의 빌미를 제공하여 通商摩擦을 야기하는 등 對外交易에 큰 지장을 초래 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생산기업이나 수출업체에 있어 公正한 貿易慣 行의 定着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주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