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 3 章 韓國 主要 交易 成長國의 通商障壁
3.2 인도
3.2.1 國家特徵
인도(India)는 세계에서 가장 일찍이 발달한 나라 중의 하나로 아시아의 남부에 위치하며 기원전 2500년 무렵 인더스강 유역에서 형성되었다. 역 사의 흐름가운데 1857년 무굴제국이 멸망한 뒤, 영국의 植民地로 편입되 었다가 1947년 8월 15일 獨立하였다. 인도는 서쪽으로 파키스탄, 북동쪽 으로 중국·네팔·부탄, 동쪽으로 방글라데시·미얀마와 국경을 접한 다. 1915년 맥마흔(McMahon)47) 선언에 따라 영국령인 인도와 중국의 국 경이 히말라야 산맥 분수령에 설정된 이후, 중국과 國境紛爭이 끊임없이 이어졌고 1962년에는 戰爭까지 치른 바 있다. 파키스탄과는 獨立 당시부 터 카슈미르 지역을 둘러싼 領土紛爭을 벌여왔다.
국토면적은 세계 7위이며, 인구는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이다. 행정구역
46) 외교부, 2015, 인도개황, pp.12~26, 78~108.
KOTRA,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41 47) 제1차 세계대전 중인 1915년 10월 이집트 주재 영국 고등판무관 A.H.맥마흔과 샤리프
후세인 간의 서한(書翰)을 발표한 것으로 아랍인의 독립국가 건설을 지지한 선언(시사 상식사전, 박문각).
은 28개주(state)와 7개 연합주(union territory)로 되어있다. 최근들어 BRICs 국가 중 중국 다음으로 높은 경제성장률을 유지해 온 인도는 생산․
소비능력이 왕성한 청년층 인구가 많아 市場潛在力이 매우 큰 나라로 好 評받고 있다.48)
3.2.1.2 우리나라와의 關係49)
인도는 우리나라와 1973년 12월 정식 外交關係를 수립한 뒤, 경제적으 로 꾸준히 關係가 밀접해 졌다. 외교적으로 인도는 독립 당시부터 패권주 의 반대, 군사동맹 가입 반대,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 및 모든 국가와의 友好關係 수립 등 非同盟 中立政策을 기본노선으로 표방하면서 한국이나 북한 어느 한쪽을 지지하거나 깊이 관여하지 않으려는 입장을 취해 왔다.
그러나 한국의 국력 신장, 국제적인 지위 상승을 높이 評價해서 한국과의 關係 增進이 실질적으로 유리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한국과는 무역협정·
문화협정(1974. 8.), 과학기술협력협정(1976. 3.), 이중과세방지협정(1985.
7.), 항공협정(1992. 3.), 관광협정(1993. 9.), 투자보장협정(1996. 5.) 등을 締 結한 바 있고, 2010년 1월에 發效된 한-인도 CEPA를 통해 경제적 동반자 로 그 關係를 더욱 견고히 굳히고 있다. 한국과 인도의 交易은 꾸준히 늘 어나는 趨勢에 있다. 양국 交易은 2002년까지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다가 2003년 이후 급격한 增加를 보였으며, 특히 한-인도 CEPA 發效 이후 양 국간 交易規模가 크게 增加하였는 바, CEPA 협정(2009년 8월 서명, 2010 년 1월 발효) 發效 첫 해인 2010년 양국간 交易額이 전년 대비 약 40%
증가한 171억 달러, 2011년에는 전년대비 약 20% 증가한 205억 달러를 달성하는 등 CEPA 효과가 가시화되다가 그 이후 世界經濟 둔화의 영향으 로 양국 交易規模가 다소 減少하였다. 또한, 2014년 한국의 對 인도 貿易 收支는 75억 달러로 한-인도 무역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인도는 철강
48) 송송이, 2013. 인도시장 진출 10계명. 국제무역연구원 Trade Focus 12(5), p.1.
49) 외교부(2015), op. cit, pp.186~209. KOTRA(i), op. cit,(2016. 9. 10. 접속)
․시멘트 등 중간재를 주로 수입하고 있는데, 이는 인도 내의 중간재 생산 침체와 공업화 추진에 따른 수요 증가에 의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도의 석유개발 장비․전자부품․제강시설․선박 등 고도기술 산업분야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서 한국의 주요 수출시장이 되고 있다. 한국의 對 인도 交 易量 변화추이를 보면 아래 <Table 15>, <Table 16>의 내용과 같다.
<Table 15> 한-인도 교역량 변화 추이
(단위 : 억 달러, %) 구 분 2000년 2005년 2010년 2015년 전 체 교역액 3,327.5 5,456.5 8,915.9 9,632.6
성장률 27.9 64.0 63.3 8.0 인 도 교역액 23.1 67.1 171.0 162.7
성장률 19.7 190.5 154.8 -4.9 자료 : 관세청 연도별・국가별 통계를 근거로 하여 재구성
<Table 16> 한-인도 최근 5년간 교역실적
(단위: 억 달러, 괄호안은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구 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수 출 126.5(10.7) 119.2(-5.8) 113.7(-4.6) 127.8(12.4) 120.3(-5.9) 수 입 78.9(39.1) 69.2(-12.3) 61.8(-10.7) 52.7(-14.7) 42.4(-19.6) 무역수지 47.6 50.0 51.9 75.0 77.9 자료 : 관세청 연도별・국가별 통계를 근거로 하여 재구성
1995년부터 2015년 기간(20년간) 중 交易量은 2015년을 제외한 다른 연 도는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들어 수출은 감소세와 증가 세가 반복되고 있으나 수입은 꾸준히 줄어 들어 貿易收支는 지속적으로 호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도 기준 한국의 對 인도 주요 수출품목 은 ① 무선통신기기 ② 철강판 ③ 자동차부품 ④ 합성수지 ⑤ 석유제품 등이고, 주요 수입품목은 ① 석유제품 ② 알루미늄 ③ 식물성물질 ④ 정 밀화학원료 ⑤ 합금철 선철 및 고철류 등이다.
3.2.2 通商環境 實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