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 3 章 韓國 主要 交易 成長國의 通商障壁
3.4 사우디아라비아
3.4.1 國家特徵
사우디아라비아(Saudi Arabia)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중간에 위치한 아 라비아 반도를 접하고 있는 絶對君主制 국가이다. 1922년 오스만투르크 제국으로부터 처음 獨立하였고 1932년 지금의 이름으로 統合되었다.
정식명칭은 사우디아라비아왕국(Kingdom of Saudi Arabia)이다. 사우디 란 '사우드가(家)의', '사우드왕조(王朝)의' 라는 뜻이다. 북쪽으로 요르단․ 이라크, 동쪽으로 페르시아만(灣) 연안의 쿠웨이트, 바레인, 카타르, 아랍 에미리트, 남쪽으로 오만, 예멘에 접하고, 서쪽으로 홍해를 사이에 두고 이집트, 수단, 에리트레아와 마주한다. 이슬람교의 발상지이자, 최대 성지
83)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2015. 외국의통상환경(2권 분야별통상환경) pp.449~450 84) 외교부, 2015, 사우디아라비아개황, pp.3~11, 31~35.
KOTRA,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86
인 메카와 메디나가 있다. 1994년에는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한 뒤부 터는 쿠웨이트와의 합병 추진이 계속 논의되고 있다. GCC85)공동체의 일 원으로 행정구역은 13개주(mintaqah)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유 最大 生産 國으로 2013년 기준 일일 생산량이 1,153만 배럴을 기록한 바 있다.86)
3.4.1.2 우리나라와의 關係87)
우리나라와는 1962년 10월 대사급 外交關係 樹立에 합의하여 1973년 7 월 주 사우디아라비아 한국대사관이 개설되었으며, 주한 사우디아라비아 상주대사관은 1975년 4월에 개설되었다. 양국은 1974년 1월 경제 및 기술 협력 협정, 1975년 7월 문화 협정, 1984년 1월 항공 협정, 1984년 10월 항 만개발 차관 협정, 1990년 2월 항공운수·소득면제 협정, 1997년 4월 교 육교류 약정, 2002년 4월 투자보장 협정 등을 締結한 바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한국의 해외건설에서 가장 큰 시장이다. 한국의 사우 디아라비아 건설시장 진출은 1973년 12월 삼환기업주식회사가 카이바와 알울라(Alula)간 고속도로공사를 수주(공사금액 미화2,400만 달러)하면서 시 작되었다. 1974~1978년까지 사우디아라비아 건설시장에서의 수주액은 급격 한 증가추세를 보여 1978년에는 64억 달러의 수주를 기록하였다. 같은 기 간 중 수주액이 급증세를 나타낸 것은 1974년의 제1차 석유파동 시 유가 의 폭등으로 석유판매에 따른 수입이 급증하자 이를 재원으로 사우디아라 비아가 의욕적인 開發政策을 推進하였기 때문이다. 당시 사우디아라비아는 막대한 외화, 이른바 오일달러(oil dollar)의 유입을 통하여 낙후된 경제사회 를 개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이하였지만, 경제개발에 필요한 기술
85) GCC(Gulf Cooperation Council , 걸프협력회의) : 1981년 5월에 페르시아 만안의 6개 아랍산유국(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아랍에미리트·카타르·오만·바레인)이 역내 (域內)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결성한 지역협력기구. 상호간의 경제 및 안전보장의 협 력과 치안·국방면에서 결속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명 페르시아만안협력회의라고 도 한다(한국수출입은행, 2015. GCC 6개국 국가현황과 산업동향. pp.5~10.).
86) 외교부(2015), op. cit, p.36.
87) 외교부(2015), op. cit, pp.53~66. KOTRA(s), op. cit,(2016. 9. 21. 접속).
이나 인력, 사회기초시설이 거의 없는 상태여서 이 부분에 대한 수요가 폭 발했던 것이다. 1979∼1980년에는 제2차 석유파동으로 석유판매 수입이 다 시 급증하자 한국의 건설수주액도 증가하기 시작했다. 1982년에는 사우디 아라비아에 진출한 이래 최대의 수주규모인 83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1970~1980년대 전반에 걸쳐 한국 해외건설의 최대 시장이었던 사우디아 라비아는 그 자체로서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 니는 것으로 評價된다. 우선 두 차례의 석유파동으로 어려움에 처하게 된 한국의 경제는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의 해외건설수주를 통한 막대한 오일 달러를 벌어들였으며 이를 통해 國際收支 改善은 물론 外換 危機를 극복 할 수 있었다. 또한 그렇게 유입된 외화는 국민소득을 증대시키고 관련 산 업의 발전을 촉진시키며 고용을 창출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에 더하여 크고 작은 여러 가지 공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해외건설업체들은 견적과 설계에서부터 시공과 감리에 이르기까지 각종 기술이 크게 향상될 수 있 었으며, 나아가 기업의 국제화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기도 하였다.
현재 사우디아라비아는 국제연합(UN), 비동맹회의(NAM) 등 국제무대에 서 우리의 입장을 적극 지지해 온 주요 友邦國 중 하나이다. 경제적으로 는 우리나라의 最大 原油供給國이며, 우리나라 건설 플랜트 수주 1위 시 장으로 자리 잡고 있다.88)
<Table 26> 한-사우디아라비아 교역량 변화 추이
(단위 : 억 달러, %) 구 분 2000년 2005년 2010년 2015년 전 체 교역액 3,327.5 5,456.5 8,915.9 9,632.6 성장률 27.9 64.0 63.3 8.0 사우디
아라비아
교역액 109.0 182.0 313.8 290.4 성장률 66.7 67.0 72.4 -7.5 자료 : 관세청 연도별・국가별 통계를 근거로 하여 재구성
88) 임정성, 2015, 사우디에 대한 7가지 오해와 기업진출시 시사점, 포스코경영연구소, p.2.
<Table 27> 한-사우디아라비아 최근 5년간 교역실적
(단위: 억 달러, 괄호안은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구 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수 출 69.6(52.8) 91.2(31.0) 88.3(-3.1) 82.9(-6.1) 94.8(14.4) 수 입 369.7(37.9) 397.1(7.4) 376.7(-5.1) 367.2(-2.5) 195.6(-46.7) 무역수지 -300.1 -305.9 -288.4 -284.3 -100.8 자료 : 관세청 연도별・국가별 통계를 근거로 하여 재구성
1995년부터 2015년 기간(20년간) 중 交易量은 전체기간으로 보아서는 큰 폭 상승세를 잇고 있으나 2015년 만은 소폭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또 최근년도(5년간) 들어서도 전반적 상승세 분위기이나 일부년도는 소폭 감 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貿易收支면에서는 硏究對象國(4개국) 중 유일하게 만년 貿易赤字 交易國이나 수입물품의 대부분89)이 상품생산의 원동력이고 수출물품의 원료가 되는 원유 및 나프타 등이며, 수출이 큰 폭 증가하면 서 상대적으로 貿易赤字는 갈수록 改善이 되고 있다.
2015년도 기준 한국의 對 사우디아라비아 주요 수출품목은 ①수송기계 (자동차 등) ②전기기기 ③철강제품 ④산업기계(건설중장비, 하역기계 등)
⑤석유화학제품 등이고, 주요 수입품목은 ①광물성연료(원유, 나프타 등)
②석유화학제품 ③비철금속 ④정밀화학제품(암모니아수, 안료 등) ⑤요업 제품(판유리) 등이다.
3.4.2 通商環境 實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