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 3 章 韓國 主要 交易 成長國의 通商障壁
3.1.1 國家特徵
베트남(Vietnam)은 동남아시아의 인도차이나 반도 동부에 위치하는 나 라다. 지정학적 특성 때문에 外勢의 侵略을 끊임없이 받아오다가 1884년 에는 프랑스 植民地가 되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편입되었다. 1945년 제2차 대전이 끝나자 獨立을 선언하고 베트민을 중심으로 베트남민주공화 국을 발족시켰다. 지형적으로 북쪽은 중국과, 서쪽은 라오스 및 캄보디아 와 접하고 동쪽은 바다를 면하고 있다. 또한 남북으로의 긴 해안선이 무 려 3,444Km에 달한다.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으로 外勢들이 다시 들어오면서 베트남은 1954년까지 정치적 혼란기를 맞게 되었다. 1954년에 는 북베트남의 공산당정권이 북베트남에서 프랑스 植民勢力을 완전히 패 퇴시킨 후, 베트남은 북위 17도선을 경계로 남북으로 갈라졌다. 남과 북 분단은 동족사이의 20여 년에 걸친 긴 전쟁을 치르게 된 아픔의 역사가 되었다. 統一 戰爭 중 남베트남의 공산화를 우려한 미국이 1961년 참전하 였으며 한국과 필리핀․타이․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도 支援軍을 파병하 였으나, 구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받은 북베트남이 1975년 사이공을 함락시 킴에 따라 戰爭은 북베트남의 승리로 끝이 났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미국 과의 전쟁에서 승리를 통해 공산화를 이룬 나라이기도 하다. 行政區域은 하노이, 호치민, 다낭, 하이퐁, 껀터의 5개 직할시(centrally administered city)와 59개의 성(省)으로 이루어져 있다.
28) 외교부, 2013, 베트남개황, pp.11~15, 45~67.
KOTRA,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63
베트남은 豊富한 해안유전과 석탄, 석회석, 철광석, 흑연, 고령토, 석영, 금, 각종 보석 등이 매장되어 있어 자원이 豊富한 편이다. 원유 매장량은 약 11억 5,100만 루베로 추정되고 있으며 무연탄의 매장량은 100억 톤, 철광석의 매장량은 20억 톤 가량으로 추정되고 있다.
3.1.1.2 우리나라와의 關係29)
베트남이 우리나라와 직접적인 관계를 맺게 된 것은 1950년대에 들어와 서이다. 우리나라는 1955년 10월 월남공화국을 승인하고, 그 다음해 5월 사이공에 외교공관을 설치한 이래 親善友好關係를 維持했다. 그러나 베트 남전30)에 한국군이 자유(자본주의) 진영측 支援을 위한 파병을 계기로 후 일 공산화를 이룬 통일 베트남과 關係가 소원해 오다가 1992년 12월 정식 外交關係를 수립하고 실질적 協力關係를 維持해 오고 있다. 사회주의국가 인 베트남은 북한과의 전통적 友好關係를 지속하고 있으면서도 한국과의 실질적 協力關係 발전을 매우 중시하고 있다. 양국은 1993년부터 정부의 고위급 인사의 交叉訪問을 통해 友誼가 더욱 공고해 지고 있다. 우리나라 는 1996년 11월 김영삼 대통령을 시작으로 그 이후 역대 대통령의 국빈방 문이 계속 이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2013년 9월에 박근혜 대통령이 방 문하여 상호간 經濟協力의 결속을 다진 바 있다.
실질적 經濟協力 면에서는 2001년 8월 양국은 友好協力關係를 더 공고 히 하기 위하여 ‘한․베트남 21세기 包括的 同伴者 關係’를 선언하고 協力을 강화해 오고 있으며, 2007년 6월 發效된 한-아세안 FTA의 일원국 으로 交易量이 급속히 增加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한국과 베트남은 한
29) 외교부(2013), op. cit, pp.123~163.
30)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1946년12월~1954년 8월) 이후 분단되었던 베트남에서 1955년 11월~1975년 4월까지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다. 이 전쟁은 분단된 남북 베트남 사이의 내전임과 동시에 냉전시대 자본주의 진영과 공산주의 진영이 대립한 대리전 양상을 띠었고, 1964년 8월~1973년 3월까지는 미국 등 외국 군대가 개입하고 캄보디아·라오 스로 전선이 확대되어 국제전으로 치러졌다[유종선, 2012. 미국사 다이제스트(악몽의 전쟁, 수렁에 빠진 제국), 가람기획 No.87].
차원 높은 수준의 긴밀한 유대와 經濟協力를 위해 한-베트남 양자간의 FTA를 推進하여 2015년 12월에 發效된 바 있다. 우리나라는 베트남과의 FTA를 통해 消費 潛在力이 높은 베트남 內需市場을 공략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베트남은 지하자원이 豊富하고 成長 潛在力이 많은 국가임과 동 시, 우리나라와의 經濟協力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相互間 交易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우리의 주요한 交易 相對國으 로 자리매김하고 있다.31) 1992년 修交 이래 본격화된 양국 간 交易은 1990년대 연평균 19%대의 지속적인 成長勢를 보이면서 2001년 이후 베트 남이 우리나라의 新興有望市場으로 浮上해 왔다.32) 양국 간의 交易去來 형 태 및 구조는 우리나라가 베트남에서 천연자원이나 경공업 상품을 수입해 오고 자본재나 원부자재를 수출하는 형태이다.33)
2000년부터 20년간의 交易量 變化 推移와 최근 5년간 交易實績을 보면, 아래 <Table 8>, <Table 9>의 내용과 같다.
<Table 8> 한-베트남 교역량 변화 추이
(단위 : 억 달러, %) 구 분 2000년 2005년 2010년 2015년 전 체 교역액 3,327.5 5,456.5 8,915.9 9,632.6 성장률 27.9 64.0 63.3 8.0 베트남 교역액 20.1 41.2 129.8 375.7
성장률 29.7 105.0 215.0 189.4 자료 : 관세청 연도별・국가별 통계를 근거로 하여 재구성
31) 베트남은 2015년도 기준 수출은 중국, 미국, 홍콩에 이어 제4위/ 무역흑자는 중국, 홍 콩, 미국에 이어 제4위를 기록(관세청 https://unipass.customs.go.kr:38030/ets/).
32) 김동규, 2010. 한국-베트남간 경제현황과 교역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무역연구 6(1), pp.293~294.
33) Inshik Oh, 2006. Bilateral Trade between Korea and Vietnam: Issues and Prospects. 동남아시아연구 16(1), p.45.
<Table 9> 한-베트남 최근 5년간 교역실적
(단위 : 억 달러, 괄호안은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구 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수 출 134.6(39.5) 159.5(18.4) 210.9(32.2) 223.5(6.0) 277.7(24.2) 수 입 50.8(52.6) 57.2(12.5) 71.8(25.5) 79.9(11.4) 98.0(22.7) 무역수지 83.8 102.3 139.1 143.6 179.7 자료 : 관세청 연도별・국가별 통계를 근거로 하여 재구성
최근 들어 世界經濟의 불황에도 불구하고 수출입 모두 增加勢가 두드러 져 보이고 貿易收支도 지속적으로 크게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2015년도 기준 한국의 對 베트남 주요 수출품목은 ① 무선통신기기 ② 반 도체 ③ 평판디스크 플레이 및 센서 ④ 기계부품 ⑤ 자동차 등이고, 주요 수입품목은 ① 의류 ② 무선통신기기 ③ 신발 ④ 컴퓨터 ⑤ 목재류 등이다.
3.1.2 通商環境 實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