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 3 章 韓國 主要 交易 成長國의 通商障壁
3.3 멕시코
3.3.2 通商環境 實態
(단위: 억 달러, 괄호안은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구 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수 출 97.3(10.0) 90.4(-7.1) 97.3(7.6) 108.5(11.5) 108.9(0.4) 수 입 23.2(52.3) 25.9(11.9) 23.0(-11.2) 32.7(42.1) 34.6(68.3) 무역수지 74.1 64.5 74.3 75.8 74.3 자료 : 관세청 연도별・국가별 통계를 근거로 하여 재구성
1995년부터 2015년 기간(20년간) 중 交易量은 꾸준히 괄목할 만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도 지속적으로 큰 증가세를 보이고 있 다. 2015년도 기준 한국의 對 멕시코 주요 수출품목은 ①평판디스플레이
②자동차부품 ③칼라TV ④선박 ⑤승용차 등이고, 주요 수입품목은 ①원 유 ②기타금속광물 ③나프타 ④자동차부품 ⑤아연광 등이다.
3.3.2 通商環境 實態
2) 3-5% : 멕시코에서 생산되지 않는 제품이나 소량만 생산되는 일부 기계류, 부품
3) 10-13% : 멕시코에서 생산되지 않는 기계 장비 부품 4) 15-20% :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일부 소비재 및 부품류
5) 23-35% : 가죽, 신발, 의류 등 국내시장 피해가 우려되는 민감품목 관세는 일부 예외품목을 제외하고는 종가세로 운영된다. MFN 단순평균 관세율은 2007년 11.2%, 2008년 10.4%, 2009년 8.3%, 2010년 5.2%로 낮아 지고 있으며, 2001년 16.5%에 비하면 하락폭이 크다. 한편, 농산품에 대한 관세수준은 0%에서 260%에 이른다.
멕시코 의회는 2008년 6월 멕시코에서 賦課하는 對 중국 반덤핑관세 중 섬유, 신발, 장난감, 기계, 전기장비 등 749개 품목대상 관세를 즉각 철폐 하고 나머지 204개 민감 품목 대상 관세는 2011년 말까지 점차 引下하기 로 한 안을 통과시켰다. 멕시코는 2001년 중국의 WTO 가입의정서에서 2007년 12월까지 대중 반덤핑관세를 폐지하기로 중국과 합의했었으나, 2007년 말 이후에도 멕시코 업계 요청에 따라 撤廢를 猶豫해 온 바 있으 며, 이에 반발한 중국의 요청으로 2007년 12월 이후 6개월간 협상 끝에 합의에 이르게 된 것이다.
HS Code 2단위 기준으로 중국의 對멕시코 수출품중 상위 10위를 점하 는 품목이 95%를 차지하고 있는데 동 카테고리에는 즉시 철폐 대상 품목 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동 措置로 인해 한국의 수출에는 당 장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국산 전 제품에 대 한 반덤핑관세가 철폐된 2012년 이후 한국제품의 對멕시코 수출경쟁력이 다소 영향을 받고 있다. 이러한 관세 인하는 비농산물 부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멕시코 정부는 2011년 11월 23일 연방관보를 통해 화학 및 농수산물 관 련 480여 제품에 대한 관세 引下방안을 공포하였다. 이번 關稅引下 방안
적용관세 주요 제품 (HS Code)
0%
면도기 손잡이(3924.90), 광전지 포함 광선 과민 반도체 제 품(8541.40.01), 태양광전지(8541.40), 광전지 조립 모듈 및 패널(8541.40), 노리 김(1212.21),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916.14), 톨루엔 디이소 시아네이트(2929.10), 6-에톡시-1, 2-디하이드로-2, 2.4-트리메틸 퀴놀린(에톡시퀸)(2933.49), 폴 리비닐 피롤리딘(3905.99), 석면 시멘트 제품․셀룰로오스 파 이버 시멘트 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중 기타 항목 (6811.89), 면도기 및 면도날 기타(8212.89), 안전 면도날(면 도날의 반제품으로서 대상인 것을 포함)(8912.20), 완구류 (9503.00)
5%
호밀(1002.10), 파종용 보리(1003.10), 파종용 귀리(1004.10), 옥수수(1005.90), 쇄미(1006.40), 메밀 및 기타 곡물(1008), 동 물 사료(2309.90), 에틸렌글리콜(에탄디올)(2905.31), 금속 표 면을 위한 조제품을 스트리핑시키는 것:납땜하거나 용접되 는 땜접을 위한 융제와 분:금속과 타 제품으로 구성 (3810.10), 고무 가황 촉진제(3812.10), 비중이 0.94 미만인 폴리에틸렌(3901.10), 비중이 0.94 이상인 폴리에틸렌 (3901.20),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3901.30), 폴리에틸렌, 염화되거나 클로로 설폰화 부하 또는 변형자, 또는 안료가 미 포함된 무수말레산 에틸렌공중합체(3901.90)
6% 발연황산(2807.00), 산화아연(2817.00), 염화칼슘(2827.20), 나 은 2008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關稅引下 정책의 연장선으로 165개 석유화 학 제품과 315개 농수산물이 이에 해당된다. 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引下 되는데, 석유화학 제품이 평균 4.2%→4.0%, 농수산물은 21.7% →14.2%로 引下된다
<Table 23> 멕시코의 관세조정(2011. 11.)된 주요 제품
트륨황산(2833.11), 코드 2833.25.02의 항목을 제외한 황산동 (2833), 탄산수소나트륨(중탄산나트륨)(2836.30), 탄산칼슘 (2836.50), 무기 수은화합물(2852.90), 아크릴산과 그 염 (2916.11), 디페닐메탄-4.4-디이소 시안산염(2929.10), 폴리에 틸렌 왁스(3404.90), 디페닐메탄 디이소 시안산염과 폴리메 틸렌 폴리페닐 아이소 시아네이트의 혼합물(3824.90), 석유, 역청 미네랄을 함유하지 않거나 70% 미만 함유한 바이오디 젤 및 혼합물(3826.00), 그을음 없는 폴리프로필렌(3902.10), 그을음 없는 프로필렌 혼성중합체(3902.30),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3903.30), 스티렌과 디비닐 벤젠의 클로로메틸레이티드 공중합체(3903.90), 비 가소성 염화비닐 중합체(3904.21), 비 가소성 염화비닐 수지 (3904.22), 에톡실린, 시클로알리파틱 또는 노볼락 에폭시 수지(3907.30), 아디프산과 글리콜의 파생된 폴리에스테르 수지(3907.99), 헥사메틸렌디아민과 도데칸디오익산 폴리머 (3908.10), 전자공학용 실리콘계 수지(3910.00), 동량이거나 45%를 초과한 아크릴 로니트릴을 함유한 폴리(부타디엔-아 크릴로니트릴)(4002.59)
10%
가정용 공구(8419.19), 합성유기 유연제(3202.10.01), 비누를 제외한 유기적 설폰화 생성물, 개선된 탄산염, 칼륨 또는 나트륨의 혼합물(클리너, 습윤제 또는 유화제) 또는 조제품 수산화물 또는 인산염 제품(3402.20), 염기성 접착제 (3506.91), 소매용에 적합한 유압 제동액(3819.00), 스티렌 중 합체 플라스틱의 웨이스트․페어링과 스크랩(3915.20)
20%
제 56.02 또는 56.03호로 분류되는 직물제 의류(6210.10), 테 니스․농구․체조 등 활동을 위해 고안된 발 등을 덮는 신발 (6403.91), 테니스․농구․체조 등 활동을 위해 고안된 끈이 있 는 신발(6403.99), 아기 기저귀 및 유사 제품(9619.00), 포도
(0806.10), 메밀 및 조(1008.10), 파종용 메밀 및 조(1008.21), 밀(1001.11)>
자료 : 멕시코 통상부 자료를 인용하여 제시한 KOTRA 해외시장뉴스73)를 근거로 재작성
ㅇ 완성차 수입제한 철폐와 고관세 유지
멕시코는 1990년 1월부터 發效된 자동차산업진흥 및 현대화 법령 (DECRETO PARA EL FOMENTO Y MODERNIZACION DE LA INDUSTRIA AUTOMOTRIZ 1989) 에 의거, 멕시코에 진출하여 자동차를 현지에서 조립 생산하고 있는 기업에게만 완성차의 수입을 허용해왔다. 1994년 1월 發效 된 NAFTA 협정상 ‘자동차부문의 교역 및 투자’ 규정에서 멕시코는 2003년 말까지 동 특별법을 유지할 수 있다고 명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2004년 1월 동 輸入制限을 廢止하였다. 그러나 멕시코 정부는 FTA 非締 結國 産에 대해 20~30%대의 높은 수입관세를 적용해 사실상 우리 자동차 의 對 멕시코 직수출이 어려운 실정이다.
ㅇ 무관세수입 허용제도
국경지역에 대해서는 ‘국경지역 무관세 및 저관세 수입령’이 적용되 는데, 이는 멕시코의 남쪽 및 북쪽 국경지역에서는 육류에서 전자제품에 이르는 총 1,342개 품목에 대해 무관세로 수입을 허용하며, 393개 품목에 는 5%의 저관세를 적용하는 법령이다. 동 법령이 적용되는 주요제품으로 는 농․수산물, 향수류, 전자제품, 가구류, 자동차 부품, 장난감 등을 확대 한 것으로서, 수혜업종으로는 무역업, 서비스업(호텔, 식당, 문화, 레크레 이션, 스포츠, 교육, 연구소, 의료업, 임대업) 등을 들 수 있다. 적용지역으 로는 바하 깔리포니아(Baja California), 바하 깔리포니아수르(Baja California Sur), 치아빠스(Chiapas), 치와와(Chihuahua), 꼬아우일라(Coahuila), 누에보
73) KOTRA(m), op. cit,(2016. 9. 16. 접속)
레온(Nuevo Leon), 와하까(Oaxaca), 소노라(Sonora), 따바스꼬(Tabasco), 따 마울리빠스(Tamaulipas), 낀따나로(Quintana Roo) 주이며, 주별로 10-20km 범위의 국경지역으로 制限을 두고 있다.
멕시코는 保稅加工 貿易인 마킬라도라 기업에 대해서는 도입원자재 및 시설재에 대하여 관세혜택을 부여하고 있으며, 내국기업도 보세가공수출 을 할 경우 마킬라도라 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關稅猶豫 혜택을 보 장하는 마킬라도라 제도는 멕시코 자국 기업과의 차별적 비교에 직면한 한국기업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74)
ㅇ 특혜관세제도
멕시코는 WTO 회원국으로서 모든 WTO 회원국과의 무역거래에서 최혜 국대우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멕시코는 자유무역협정(FTA) 締結에 적극 적으로 나서고 있는 국가로서 미국, 캐나다, EU, 이스라엘, 일본, 중남미 주요국 등 전세계 45개국과 14개의 자유무역협정을 締結하였다. 2012년 6 월 멕시코는 칠레, 콜롬비아, 페루와 함께 태평양동맹을 締結한 바 있다.
4개국의 총 인구는 2억 1,500만 명이며, 총 GDP는 2조 달러가 넘어 중남 미의 대표적인 경제 블록이 될 전망이다. 또한 멕시코는 중미 5개 국(엘 살바도르, 니카라과, 과테말라, 코스타리카, 온두라스)과의 단일 FTA를 締 結, 2013년 1월부터 효력이 발생하였다. 또한 멕시코는 미국, 캐나다, 일 본 등 12개국이 참여한 환태평양전략적경제동반자협정(TPP) 협정에 가입 하여 2015년 10월 실질적으로 妥結되었다. 협정이 發效되면 세계 경제의 40%를 차지하는 최대 규모의 자유무역지대가 만들어 질 것으로 예측된다.
그리고 우리나라와는 양자간 FTA 締結를 위한 협상준비(여건조성)단계에 있다.
74) Chong-Suk Park, 2012. A Study on the Trade Situations and Improvements between Korea and Mexico. 무역연구, 8(4), p.155.
HS Code 적용품목 내역 0301.99.01
0301 – 활어 0301.99 – 기타
0301.99.01 – 포식 어류
1208.90.03
1208 – 채유용에 적합한 종자와 과실의 분과 조분(겨자의 분 과 조분을 제외)
1208.90 – 기타 1208.90.03 – 양귀비
1209.99.07
1209 – 파종용의 종자, 과실 및 포자 1209.99 – 기타
1209.99.07 마리화나(카나비스 인디카), 기타 종자용과 혼합 불문
1211.90.02
1211 – 주로 향료용, 의료용, 살충용, 살균용 기타와 유사한 용도에 준하는 식물 및 그 부분을 포함하고 신선한 것, 또는 건조한 것에 한하며, 절단, 분쇄 또는 분말상 여부를 불문 1211.90 – 기타
3.3.2.2 輸入規制75)
멕시코는 대외통상법 제21~25조에 의거해 수입금지, 사전허가, 수출입쿼 터 등에 대한 다양한 規制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동 規制의 자세한 내용 과 관련 절차는 연방관보를 통해 공포된다. 멕시코 경제부에서 지정한 輸 入禁止 품목은 포식어류, 마약, 유해물질, 반사회 활동을 야기할 수 있는 전사지 등이다. 이들 품목을 除外한 물품의 경우 무역업자로만 등록이 되 면 대체적으로 수입이 가능하다. 다만, 석유함유 제품, 무기류, 폭발물, 군 사차량, 중고타이어, 해외공관직원 차량, 중고컴퓨터, 방탄차량, 견인차 등 은 사전 輸入許可를 받은 제품만이 수입이 가능하다.
멕시코의 輸入禁止 대상품목과 輸入許可 품목은 <Table 24> 및 <Table 25>에 나타나 있다.
<Table 24> 멕시코의 수입금지 대상 품목
75) 2013, op. cit, pp.83~98. 2014, op. cit, pp.103~105. 2015, op. cit, pp.112~115.
KOTRA(m), op. cit,(2016. 9. 16.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