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秦 入質 效果

Dalam dokumen PDF 對外 交涉을 통해 본 中國史 (Halaman 32-37)

기원전 314年(秦惠文王 更元 11年, 韓宣惠王 19年), 韓太子 倉이 講和 조건으로 秦에 入質하였다. 이로서 秦은 楚 정벌 계획을 시행할 수 있었다.104) 기원전 312年(惠文王 更元 13年), 秦은 楚를 공격하였다. 먼저 秦의 庶長 章이 楚의 丹陽를 공격하여 楚將 屈丐를 사로잡고, 楚軍 8만을 斬首하였고, 다시 楚의 漢中을 공격하여 漢中郡을 설치 하였다. 이 시기 秦이 楚의 漢中을 점령함으로서 기존의 巴ㆍ蜀105)과 秦 본토를 하나 로 연결시킬 수 있었다.106) 이를 통해 秦은 楚를 더욱 강하게 압박할 수 있었다.107)

이러한 秦의 楚 공격에 韓이 秦의 동맹군으로 동원되었다는108) 사실에서 秦이 韓太 子 倉을 質子로 받는 조건으로 韓과 화친한 의도를 분명히 알 수 있다. 秦은 韓과 군 사 동맹을 맺음으로서 남방의 강국 楚를 도모할 수 있었다. 秦ㆍ韓 양국의 동맹은 韓 太子 倉이 秦에 入質한 지 2年 만에 韓宣惠王이 죽자, 韓太子 倉이 秦의 지지 아래 귀 국하여 韓襄王에 즉위하면서109) 더욱 공고해졌다. 기원전 306年(秦武王 4年, 韓襄王 5 年), 秦武王은 韓襄王과 臨晋 밖에서 회합을 가졌고, 樗里疾을 韓의 相으로 보냈다.110)

그러나 기원전 307年, 秦이 韓의 宜陽을 함락시킴으로서111) 秦ㆍ韓 양국 간의 군사 동맹 관계는 깨졌다. 아래의 기사는 秦과 韓 양국의 동맹 관계가 깨진 원인에 대해 실 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武王 3年) 武王이 甘茂에게 “寡人은 容車를 타고 三川을 지나 周王室을 엿보면 죽어도 여한이 없다”라고 말하였다.112)

위 기사와 같이 秦武王은 실제로 周王室을 도모할 생각이 있었다. 기원전 308年(秦 武王 3年), 秦武王은 甘茂와 庶長 封을 시켜 韓의 宜陽을 공격하였다.113) 기원전 307年 104) 楊寬, 戰國史, 上海人民出版社, 1998, pp. 358-359.

105) 華陽國志 3 蜀志 . 周愼王五年 秋 秦大夫張儀ㆍ司馬錯ㆍ都尉墨等 從石牛道伐蜀 蜀王自於葭 萌拒之 敗績 王遯走 至武陽 爲秦軍所害 其相傅及太子退至逢鄕 死於白鹿山 開明氏遂亡 凡王蜀十 二世 冬十月 蜀平 司馬錯等因取苴與巴 周赧王元年 秦惠王封子通國爲蜀侯 以陳壯爲相 置巴郡 以 張若爲蜀國守 戎伯尙强 乃移秦民萬家實之 三年 分巴蜀置漢中郡

106) 羅運還, 楚國八百年, 武漢大學出版社, 1992年, 317-318.

107) 李成珪, 戰國時代 秦의 外交政策 , 古代中國의 理解Ⅱ, 1995年.

108) 史記 45 韓世家 . (韓宣惠王)二十一年與秦共攻楚 敗楚將屈丐 斬首八萬於丹陽.

109) 史記 45 韓世家 . (韓宣惠王二十一年)是歲 宣惠王卒 太子倉立 是爲襄王.

110) 史記 5 秦本紀 . (秦武王)三年 與韓襄王會臨晋外 南公揭卒 樗里疾相韓.

111) 史記 45 韓世家 . (韓襄王)五年秦拔我宜陽 斬首六萬.

112) 史記 5 秦本紀 . 武王謂甘茂曰 寡人欲容車通三川 窺周室 死不恨朽矣.

113) 史記 5 秦本紀 . (秦武王三年) 其秋 使甘茂ㆍ庶長封伐宜陽.

(秦武王 4年), 秦의 甘茂가 마침내 韓의 宜陽을 점령하였다.114) 秦은 宜陽을 점령한 후 즉시 北으로 黃河를 넘어 武遂를 점령한 후 城을 쌓아115) 武遂를 관통하는 韓의 南北 要道를 통제하였다.116)

이 시기 秦의 韓 宜陽 공격은 秦ㆍ韓 양국의 동맹 파기와 직결되는 문제였기 때문 에 秦 조정 내에서도 반대 의견이 많았다.117) 특히 外家가 韓이었던 樗里疾과 公孫 奭118) 등이 강하게 반대하였다. 그러나 秦武王은 자신의 야망을 이루기 위해 韓의 宜 陽 공격을 단행하였고, 2年에 걸친 공격 끝에 宜陽을 함락시켰다.

秦武王은 宜陽을 함락시킨 후 실제로 周王室을 엿보았다. 秦武王은 樗里疾을 시켜 車 100乘을 이끌고 周王室로 보냈다.119) 그리고 그 자신도 기원전 307年 8월 洛陽에 가서 孟說과 함께 鼎을 드는 比武를 하다가 죽었다.120) 秦武王이 이렇듯 친히 洛陽에 가서 周鼎을 든 것은 명확히 周天子를 끼고 천하를 호령하려는 의도에서였다.121) 위 내용을 통해 秦武王의 야망 때문에 秦과 韓의 동맹이 깨졌음을 알 수 있다.

기원전 303年(秦昭襄王 4年, 楚懷王 26年), 楚의 親秦 정책에 반발한 齊ㆍ韓ㆍ魏 등 은 楚가 反秦 합종 맹약을 파기하였다고 보고, 연합하여 楚를 공격하였다. 楚는 太子 橫을 秦에 入質시키는 조건으로 秦에 구원병을 요청하였다. 秦은 이러한 楚의 구원 요 청을 받아들여 客卿 通에게 군사를 이끌고 楚를 구원하게 하자, 3國은 군대를 이끌고 퇴각하였다.122) 그러나 楚太子의 秦 入質로 이루어진 秦과 楚의 양국의 동맹 관계는 다음의 기사와 같이 예기치 않은 사건으로 파국으로 치닫게 되었다.

(楚懷王)27年, 秦大夫와 楚太子가 私鬪를 벌여, 楚太子가 (秦大夫)를 죽이고 도망왔다.123) 위 기사는 楚太子가 秦에 入質한 1年 뒤인 기원전 302年에 일어난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 이 일로 秦ㆍ楚 양국의 관계는 급속히 냉각되었다. 秦은 楚太子의 죄를 묻기 위 해, 기원전 305年(昭襄王 2年)에 일어났던 ‘季君(公子 壯)의 亂’124)에 연루된 武王后의 일로125) 사이가 나빠진 魏와 화해를 시도하였다. 秦昭襄王은 기원전 302年(秦昭襄王 5

114) 史記 71 樗里子甘武列傳 . 卒使丞相甘茂將兵伐宜陽 五月而不拔 樗里子ㆍ公孫奭果爭之 武王 召甘茂 欲罷兵 甘茂曰 息壤在彼 王曰 有之 因大悉起兵 使甘茂擊之 斬首六萬 遂拔宜陽.

115) 史記 45 韓世家 . (韓襄王)五年 涉河 城武遂.

116) 楊寬, 戰國史, 上海人民出版社, 第3版, 1998年, p. 363.

117) 史記 71 樗里子甘武列傳 . 今臣 羈旅之臣也 樗里子ㆍ公孫奭二人者挾韓而議之···五月而不 拔 樗里子ㆍ公孫奭果爭之.

118) 新書 雜事二 . 樗里子及公孫子皆秦諸公子也 其外家韓也.

119) 史記 71 樗里子甘茂列傳 . 使樗里子以車百乘入周 周以卒迎之.

120) 史記 5 秦本紀 . (秦武王)四年 武王有力 好戱 力士任鄙ㆍ烏獲ㆍ孟說皆至大官 王與孟說擧鼎 絶臏 八月武王死 族孟說.

121) 楊寬, 戰國史, 上海人民出版社, 1998, p. 363.

122) 史記 40 楚世家 . (楚懷王)秦乃遣客卿通將兵救楚 三國引兵去.

123) 史記 40 楚世家 . (楚懷王)二十七年秦大夫有私與楚太子鬪 楚太子殺之而亡歸.

124) 史記 5 秦本紀 . (秦昭王)二年 彗星見 庶長壯與大臣ㆍ諸公子爲逆 皆誅 及惠文后皆不得良死 悼武王后出歸魏;史記 72 穰侯列傳 . 武王卒 諸弟爭立 唯魏冉力爲能立昭王 昭王卽位 以冉爲 將軍 衛咸陽 誅季君之亂 而逐武王后出之魏 昭王諸兄弟不善者皆滅之 威振秦國.

年), 魏襄王과 應亭에서 회합을 갖고, 과거 秦이 魏에게서 빼앗은 蒲阪을 돌려주며 군 사 동맹을 체결하였다.126) 같은 해에 秦昭襄王은 韓太子 嬰과 臨晋에서 회합하고, 군 사 동맹을 맺었다.127)

이렇듯 秦은 楚를 공격할 만반의 준비를 마치고, 기원전 301年(秦昭襄王 6年, 楚懷 王 28年), 齊ㆍ韓ㆍ魏와 연합하여 楚를 공격하여 楚將 唐昧를 죽이고 楚의 重丘를 빼 앗았다.128) 秦은 이 여세를 몰아 기원전 300年(秦昭襄王 7年), 楚를 다시 공격하여, 新 城을 함락하고 楚將 景缺을 죽였다.129) 楚는 이러한 秦의 銳鋒을 막기 위해 당시 秦과 연합하여 楚를 공격하던 齊에 6城을 바치고, 太子를 入質시키는 조건으로 강화를 요청 하였다.130)

기원전 272年(秦昭襄王 35年, 楚頃襄王 27年), 거듭되는 秦의 공격에 굴복하여 楚는 太子 完을 秦에 入質시켜 秦과 동맹을 맺었다. 이때 楚頃襄王은 左徒 黃歇을 太子와 같이 보내 秦에 보내 太子를 보좌하게 하였다.131) 이것은 기원전 302年, 秦에 入質한 楚太子 橫이 秦의 大夫를 죽이고 秦을 무단으로 탈출한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한 조치 를 풀이된다. 아래의 기사는 당시 秦이 楚에 대한 공세를 멈추고, 楚太子의 秦 入質로 서 秦ㆍ楚 양국이 화평을 할 수 있었던 이유를 잘 설명하고 있다.

천하에 秦과 楚보다 강한 나라는 없습니다. 지금 들으니 大王께서 지금 楚를 공격하시 려 하신다는데, 이것은 마치 호랑이 두 마리가 서로 싸우는 것과 같습니다. 즉 호랑이 두 마리가 싸우는 틈을 타서 힘이 약한 개가 그 이익을 볼 것인데 이는 楚와 親善을 유지하 는 것만 못합니다. ···대왕께서 楚를 공격하시면, 네 나라 즉 齊ㆍ趙ㆍ韓ㆍ魏가 반드시 대왕에게 대항할 것입니다. 秦과 楚가 오랜 기간 싸우게 되면, 魏는 출병하여 留ㆍ方與ㆍ 銍ㆍ湖陵ㆍ碭ㆍ蕭ㆍ相을 공격하여 옛 宋의 토지는 전부 魏가 차지할 것입니다. 齊는 楚를 공격하여 泗水 유역을 차지할 것입니다. ···무릇 대왕과 같이 넓은 국토와 많은 백성, 강 한 군대를 지니고 한 번 거사하여 楚와 원수관계를 맺고, 韓과 魏가 귀중한 帝號를 齊에 바치게 하는 것은 대왕의 실책이 아니겠습니까. 소인이 대왕을 위해 생각해 보건데, 楚와 친선을 도모하는 것 보다 나은 것이 없다고 봅니다.132)

125) 史記 5 秦本紀 . (秦昭王)二年 彗星見 庶長壯與大臣ㆍ諸公子爲逆 皆誅 及惠文后皆不得良死 悼武王后出歸魏.

126) 史記 5 秦本紀 . (秦昭王)五年魏王來朝應亭 復與魏蒲阪.

127) 史記 15 六國年表 . 韓襄王十年太子嬰與秦會臨晋 因至咸陽而歸.

128) 史記 5 秦本紀 . (秦昭襄王)六年庶長奐伐楚 斬首二萬;史記 46 田敬仲完世家 . (齊湣王) 二十三年與秦擊敗楚於重丘;史記 40 楚世家 . (楚懷王)二十八年秦乃與齊ㆍ韓ㆍ魏共攻楚 殺楚 將唐昧 取我重丘而去;史記 44 魏世家 . (魏哀王)十八年與秦伐楚;史記 45 韓世家 . (韓襄 王)十一年與秦伐楚 敗楚將唐昧.

129) 史記 5 秦本紀 . (秦昭襄王)七年拔新城;史記 40 楚世家 . (楚懷王)二十九年 秦復攻楚 大破楚 楚軍死者二萬 殺我將景缺.

130) 史記 40 楚世家 . 楚懷王恐 乃使太子爲質於齊以求平;戰國策 楚策二 齊ㆍ秦約攻楚章.

齊ㆍ秦約攻楚 楚令景翠以六城賂齊 以太子爲質.

131) 史記 40 楚世家 .(楚頃襄王)二十七年 復與秦平 而入太子爲質於秦 楚使左徒侍太子於秦.

132) 史記 78 春申君列傳 . 天下莫彊於秦ㆍ楚 今聞大王欲伐楚 此猶兩虎相與鬪 兩虎相與鬪而駑犬 受其獘 不如善楚···且王攻楚之日 四國必悉起兵以應王 秦ㆍ楚之兵構而不離 魏氏將出而攻留ㆍ方 與ㆍ銍ㆍ湖陵ㆍ碭ㆍ蕭ㆍ相 故宋必盡 齊人南而攻楚 泗上必擧···夫以王壤土之博 人徒之衆 兵革 之彊 壹擧事而樹怨於楚 遲令韓ㆍ魏歸帝重於齊 是王失計也 臣爲王慮 莫若善楚.

Dalam dokumen PDF 對外 交涉을 통해 본 中國史 (Halaman 3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