戰國時代 최초로 秦에서 列國으로 質子로 파견된 인물은 기원전 328年 魏에 質子로 간 公子 繇였다. 아래의 기사는 公子 繇가 魏로 出質한 내용을 잘 전하고 있다.
秦惠王 10年, 公子 華로 하여금 張儀와 함께 蒲陽을 포위하여 항복을 받았다. (張)儀가 秦(王)에게 말하여 다시 魏에게 돌려주었고, 公子 繇를 魏에 質子로 보냈다.151)
위 기사의 秦惠王 10年은 魏襄王 7年에 해당한다.152) 魏襄王시기(기원전 334年-318 年), 魏는 秦의 강한 공격을 받았다. 魏襄王 5年(기원전 330年, 秦惠文君 8年), 秦은 魏 의 雕陰을 빼앗고, 焦ㆍ曲沃을 포위하였다.153) 魏襄王 6年(기원전 329年), 秦은 다시 河西에서 黃河를 넘어 魏의 汾陰과 皮氏를 점령했다.154) 그리고 魏襄王 7年(기원전 328年), 위 기사와 같이 秦이 公子 華와 張儀를 파견하여 魏의 蒲陽을 공격하여 빼앗 았다. 이러한 秦의 강한 압박에 魏는 주로 영토를 割壤하는 조건으로 화의를 청하였 다. 魏襄王 3年(기원전 332年, 秦惠文君 6年), 魏는 陰晋을 秦에 할양하고 강화를 청하 였다.155) 魏襄王 5年(기원전 330年)에도 魏는 河西지역을 秦에 헌납하였다.156) 魏襄王 148) 史記 6 秦始皇本紀 . (秦始皇帝九年)四月上宿雍 己酉王冠 帶劍.
149) 史記 6 秦始皇本紀 . (秦始皇帝)十年相國呂不韋坐嫪毐免.
150) 史記 6 秦始皇本紀 . (秦始皇帝)十年 王翦ㆍ桓齮ㆍ楊端和攻鄴 取九城···取鄴安陽 桓齮 將···十三年 桓齮攻趙平陽 殺趙將扈輒 斬首十萬 王之河南 十月 桓齮攻趙 十四年 攻趙軍於平陽 取宜安 破之 殺其將軍 桓齮定平陽ㆍ武城···十五年 大興兵 一軍至鄴 一軍至太原 取狼孟 地動.
151) 史記 70 張儀列傳 . 秦惠王十年 使公子華與張儀圍蒲陽 降之 儀因言秦復與魏 而使公子繇質 於魏.
152) 위 기사의 秦惠王 10年은 秦惠文君이 기원전 325年 稱王하기 이전인 秦惠文君 在位 10年을 말한다. 史記 5 秦本紀 에는 “(秦惠文君)十四年更爲元年”라고 적고 있다.
153) 史記 44 魏世家 . (魏襄王)五年秦敗我龍賈軍四萬五千于雕陰 圍焦ㆍ曲沃 予秦河內地;史記
71 樗里子甘茂列傳 . 秦惠王八年 爵樗里子右更 使將而伐曲沃 盡出其人 取其城 地入秦.
154) 史記 5 秦本紀 . (秦惠文君)九年 渡河 取汾陰ㆍ皮氏.
7年(기원전 328年)에는 魏가 上郡 전체를 秦에 넘겼다.157)
그런데 이런 과정에서 위 기사와 같이 勝戰國인 秦이 敗戰국인 魏에 빼앗았던 땅을 돌려주고, 公子 繇를 質子로 삼아 魏에 보냈다는 것은 戰國時代 列國의 交質 사례에서 매우 특이한 경우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質子를 보내는 경우는 패전국이 승전국에 화친을 청하거나, 국가의 위기 상황에서 구원병을 요청하거나, 약소국이 강대국에 평 화 담보 조건 등으로 보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기원전 314年(秦惠文王 更元 11年, 韓宣惠王 19年), 岸門에서 秦에 패한 韓이 太子 倉을 秦에 入質시켜 화친을 청한 경우 나, 기원전 303年(楚懷王 26年), 齊ㆍ韓ㆍ魏 3국의 침공을 받은 楚가 秦에 구원을 요청 하는 조건으로 秦에 質子로 보낸 太子 橫의 경우, 그리고 기원전 272年(楚頃襄王 27 年), 秦ㆍ楚 평화를 담보로 秦에 入質 楚太子 完의 경우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따라서 위 기사와 같이 기원전 328年(秦惠文君 10年, 魏襄王 7年) 秦에서 魏로 出質 한 秦公子 繇의 경우는 戰國時代 列國의 통상적인 交質 행위에서 벗어난 사례로서, 다 른 정치적 의도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게다가 秦은 이듬해인 기원전 327年(秦惠文君 11年, 魏襄王 8年)에도 과거 魏로부터 빼앗은 焦ㆍ曲沃 및 皮氏도 魏에 돌려주었다.158) 아래의 기사는 이 시기 秦의 이러한 행위에 시사되는 바가 있다.
(惠文君)14年, 惠文王 元年으로 바꾸었다.159)
秦은 기원전 325年(秦惠文君 13年) 4월 戊午日에 秦惠文君이 秦惠文王으로 稱王하는 儀式을 거행하였다.160) 그리고 秦은 위 기사와 같이 기원전 324년(惠文君 14年)을 秦 惠文王 元年이라고 선포하였다. 당시 명목상이지만 周王(周顯王 45年)이 존재하는 가 운데서 秦惠文君의 이러한 稱王 행위는 列國의 동의 없이는 불가능하였다. 기원전 334 年(魏襄王 元年, 齊威王 9年), 魏惠王과 齊威王은 齊의 徐州에서 서로 稱王을 승인하는 소위 “徐州相王” 회합을 가졌다.161) 양국의 이러한 행위는 列國의 공분을 가져왔다.
趙肅侯가 派兵하여 魏의 黃을 포위ㆍ공격하였다.162) 楚威王 또한 魏ㆍ齊 양국의 “徐州 相王”에 대한 분노를 표시하기 위해 친히 대군을 이끌고 徐州를 포위하여 齊將 申縛 의 군대를 패배시켰다.163)
따라서 위 기사와 같이 秦惠文君이 稱王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列國의 승인이 필 155) 史記 15 六國年表 . (秦惠文君六年)魏以陰晉爲和 命曰寧秦.
156) 史記 15 六國年表 . (秦惠文君八年)魏入河西地於秦.
157) 史記 15 六國年表 . (秦惠文君十年)魏納上郡.
158) 史記 15 六國年表 . (魏襄王八年)秦歸我焦ㆍ曲沃.
159) 史記 5 秦本紀 . (惠文君)十四年更爲元年.
160) 史記 15 六國年表 . 秦惠文王十三年四月戊午 君爲王.
161) 史記 44 魏世家 . (魏)襄王元年與諸侯會徐州 相王也;史記 4 田敬仲完世家 . (齊宣王)九 年與魏襄王會徐州 諸侯相王也.
162) 史記 43 趙世家 . (肅侯)十七年 圍魏黃 不克 築長城.
163) 史記 15 六國年表 . (楚威王七年)圍齊於徐州;(齊宣王十年)楚圍我徐州;史記 40 楚世家 . (楚威王)七年齊孟嘗君父田嬰欺楚 楚威王伐齊 敗之于徐州;史記 75 孟嘗君列傳 . (齊宣王十 年) 楚伐敗齊師于徐州 而使人逐田嬰 田嬰使張丑說楚威王 威王乃止.
요했다. 특히 주요 交戰國이었던 魏의 승인은 필수적이었다. 이에 秦惠文君은 기원전 328年에 魏에게서 빼앗은 蒲陽을 魏에 돌려주고, 公子 繇를 魏로 出質시켜 양국의 평 화를 담보하려 하였다. 더하여 이를 증명하기 위해 기원전 327年에는 과거 魏로부터 빼앗은 焦ㆍ曲沃 및 皮氏 등을 魏에 돌려주었던 것이다.
秦의 이러한 행위들은 모두 秦惠文君의 稱王 儀式 준비 단계로 볼 수 있다. 즉, 당 시 秦이 가장 많이 공격하였던 魏의 협조 및 승인을 얻기 위해 秦은 魏와 화친하고, 魏를 더 이상 침략하지 않겠다는 태도를 표명하기 위해 公子 繇를 魏에 質子로 보냈 던 것이었다. 秦惠文君이 稱王한 이후 魏와 韓을 비롯한 列國들이 모두 稱王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164) 秦惠文君의 王號를 秦이 列國에게 승인받는 동시에 魏ㆍ韓 등 列國 의 王號를 秦이 승인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로 秦에서 列國으로 出質한 인물은 惠文王의 아들인 公子 稷이었다. 아래의 기사는 燕에 質子로 갔던 公子 稷이 秦으로 귀국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秦武王) 4年, 8月에 武王이 죽었다. 孟說은 族刑을 당하였다. 武王은 魏女를 王后로 맞 이하였으나 아들이 없었다. 武王의 異腹동생이 즉위하니 그가 바로 昭襄王이다. 昭襄王의 母는 楚人으로 姓은 羋氏였고 宣太后라고 불렀다. 武王이 죽었을 때 昭襄王은 燕에 質子로 가 있었는데 燕人들이 즉시 돌려보내 즉위할 수 있었다.165)
위 기사를 통해 公子 稷이 언제 燕에 質子로 갔는지는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燕에 質子로 갔었음은 확인할 수 있다. 기원전 307年(秦武王 4年), 周王室을 도모하던 秦武 王이 周都 洛陽에서 죽었다. 秦武王에게는 후사가 없었고, 秦武王의 여러 형제들이 秦 의 왕위를 놓고 다투었다.166) 秦武王의 부친인 秦惠文王에게는 秦武王 외에도 후에
‘季君’이라 僭稱하였던 公子 壯을 비롯하여 公子 稷(후의 昭襄王)ㆍ公子 悝ㆍ公子 市 등 여러 자식들이 있었다.167) 그리고 당시 秦의 왕위계승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인물로서는 惠文后와 武王后 등이 있었다. 또한 公子 稷ㆍ公子 悝ㆍ公子 市 의 모친인 羋八子는 先代가 楚 출신으로168) 비록 惠文王의 正后는 아니었으나, 자신의 동생이었던 魏冉ㆍ羋戎 등과 함께 무시할 수 없는 정치 세력으로 秦에 존재하였다.169)
秦武王은 正后인 惠文王后 소생의 적자로서 秦의 왕위 계승에는 아무 문제가 없었 고, 부친인 秦惠文王의 위업을 이어 받아 변경을 안정시키고,170) 周王室을 도모하려는 164) 史記 5 秦本紀 . (秦惠文王)十三年四月戊午 秦君爲王 魏ㆍ韓亦爲王;史記 5 秦本紀 .
(周顯王)四十四年 秦惠王稱王 其後諸侯皆爲王.
165) 史記 5 秦本紀 . (秦武王) 八月武王死 族孟說 武王取魏女爲后 無子 立異母弟 是爲昭襄王 昭襄王母楚人 姓羋氏 號宣太侯 武王死時 昭襄王爲質于燕 燕人送歸 得立.
166) 史記 72 穰侯列傳 . 武王卒 諸弟爭立 唯魏冉力爲能立昭王 昭王卽位 以冉爲將軍 衛咸陽 誅 季君之亂 而逐武王后出之魏 昭王諸兄弟不善者皆滅之 威振秦國.
167) 史記 5 秦本紀 . (秦昭王)二年 彗星見 庶長壯與大臣ㆍ諸公子爲逆 皆誅 及惠文后皆不得良死 悼武王后出歸魏.
168) 史記 72 穰侯列傳 . 魏冉者 秦昭王母宣太侯弟也 其先楚人 姓羋氏.
169) 盧鷹, 穰侯魏冉新論 , 人文雜志, 1998年 3期.
170) 史記 5 秦本紀 . (秦)武王元年與魏惠王會臨晋 誅蜀相莊 張儀ㆍ魏章皆東出之魏 伐義渠ㆍ丹 ㆍ犁;史記 45 韓世家 . (韓襄王)五年秦拔我宜陽 斬首六萬 涉河 城武遂.
야망을 드러냈으나, 그가 秦王으로 즉위할 때의 나이가 겨우 19세였다.171) 당시 秦의 권력 구도로 볼 때,172) 비록 秦武王의 王權은 강고하였으나, 秦武王이 周王室에 대한 야망을 가지고 外征하는 과정에서 국내에 있던 羋八子 세력은 부담스러운 존재였다.
특히 羋八子의 同母異父弟인 魏冉은 惠文王과 武王 시기에 官職에 나간 賢能했던 인 물이었다.173)
이에 秦武王은 이들 羋八子 세력을 약화시킬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秦에서 멀리 떨 어진 燕에 羋八子의 장남인 公子 稷을 質子로 보내 이들의 구심점을 제거하였던 것이 다. 公子 稷이 19세의 나이로 秦王이 되었다는 기사를 통해,174) 燕 入質 당시 公子 稷 의 나이는 대략 15세 전후였을 것이다. 公子 稷의 出質國이 燕이었던 것은 당시 三晋 은 秦의 주 공략 대상국이었고, 齊는 강대국이었고, 楚는 公子 稷의 모친인 羋八子의 선조의 나라였기 때문에 고려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公子 稷이 質子로 갔던 燕은 秦武王시기 秦의 공략 대상이 아니었다. 秦과 燕은 지 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 秦으로서는 군사 행동을 하기가 쉽지 않았고, 무엇보다 당 시 秦武王의 주관심사는 周王室을 도모하는데 있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秦武王은 韓을 공략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公子 稷의 燕 入質은 당시 위험 세력이었던 羋八 子 세력을 견제하는 한편 秦의 대외 정책인 ‘近攻遠交’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었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로 秦에서 列國으로 出質한 인물은 기원전 300年(秦昭襄王 7年) 齊에 質子로 간 秦昭襄王의 親弟인 涇陽君 公子 市였다. 아래 기록은 涇陽君 公子 市의 出質 내용 을 잘 보여주고 있다.
① (秦)昭王 7年, 樗里子가 죽었다. 涇陽君을 齊에 質子로 보냈다.175)
② 秦昭王은 그 현명함을 듣고, 이에 먼저 涇陽君을 齊에 質子로 보내 孟嘗君을 만날 것을 구하였다.176)
위 기사 ①ㆍ②와 같이 秦昭襄王은 涇陽君 公子 市를 齊에 質子로 보내 孟嘗君을 청하였다. 비록 이러한 秦昭襄王의 계획은 처음에 실패하였으나,177) 위의 涇陽君 公子
171) 史記 6 秦始皇本紀 . 悼武王生十九年而立 立三年.
172) 史記 5 秦本紀 . (秦武王)初置丞相 樗里疾ㆍ甘茂爲左右丞相···(秦武王)四年拔宜陽 斬首六 萬 涉河 城武遂 魏太子來朝 武王有力 好戱 力士任鄙ㆍ烏獲ㆍ孟說皆至大官.
173) 史記 72 穰侯列傳 . 魏冉者 秦昭王母宣太侯弟也 其先楚人 姓羋氏 秦武王卒 無子 立其弟爲 昭王. 昭王母號羋八子 及昭王卽位 羋八子號爲宣太后宣太后 宣太后非武王母 武王母號曰惠文后 先 武王死. 宣太后二弟 其異父長弟曰穰侯 姓魏氏 名冉 同父弟曰羋戎 爲華陽君 而昭王同母弟曰高陵 君ㆍ涇陽君. 而魏冉最賢 自惠王武王時 任職用事.
174) 史記 5 秦本紀 . (秦昭王)三年王冠 與楚王會黃棘 與楚上庸;史記 6 秦始皇本紀 . 昭襄王 生十九年而立 立三年.
175) 史記 72 穰侯列傳 (秦)昭王七年樗里子死, 而使涇陽君質于齊. 그러나 秦本紀 에는 昭襄王 6年, 涇陽君이 齊에 質子로 갔다고 적고 있어, 涇陽君의 出質시기에 있어서 1年의 시차가 있다( 史記 5 秦本紀 . (昭襄王)六年 涇陽君質于齊).
176) 史記 75 孟嘗君列傳 . 秦昭王聞其賢 乃先使涇陽君爲質于齊 以求見孟嘗君.
177) 史記 75 孟嘗君列傳 . 秦昭王聞其賢 乃先使涇陽君爲質于齊 以求見孟嘗君 孟嘗君將入秦 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