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 맺음말
2. 만주사변 이후 남경국민정부 외교부의 조직
제2장에서는 만주사변 시기 남경정부의 외교부 조직은 어떠하였는지에 대해 고찰하 겠다. 외교부는 국제사회의 교류 확대로 관련 업무가 증가하면서 조직이 더욱 세분화 되었고, 실무를 담당하는 司가 점차 증설되었다. 외교부는 국내의 하위 부서와 주요한 해외 부속 기구로 구성되었으며, 해외 기구로는 주외국 공관과 주국제연합회 전권대표 사무처(辦事處) 등을 들 수 있다. 본장에서는 만주사변 시기 외교부의 조직에 대해 간 략하게 검토하고자 하며, 먼저 청말 총리아문(總理各國通商事務衙門) 및 외무부와 북 양정부 시기 외교부, 남경정부 시기 외교부로 변천되는 연혁을 간략하게 살펴보겠다.
淸朝는 아편전쟁 이후 대외관계에 관한 업무가 중요해지면서 전담 기구인 총리아문 (1861년)을 설립하였다. 중국은 전통적인 중화주의 사상을 갖고 중심 국가로 자부하면 서 주변국들을 오랑캐의 조공국으로 대우했고, 근대 서양 국가의 평등한 외교 관계를
7) Parks M. Coble, Facing Japan : Chinese Politics and Japanese Imperialism, 1931-1937, Harvard University East Asian Studies, 1991, p.1-6.
8) 북양정부 시기 외교 제도와 직업 외교관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王立誠, 『中國近代外交制 度史』(甘肅人民出版社, 1991), p.207. 여기에서는 남경정부 시기에 외교 제도와 직업 외교관에 대해 개략적으로 간략하게 언급하고 있다.; 岳謙厚, 「近代外交失敗與民國職業外交家勃興」, 『山 西師大學報』, 第27卷 第3期(2000年 7月), pp.97-98.; 石源華, 「論留美歸國學人與民國職業外交家 群體」, 『復旦學報』, 2007-4, p.32.; 川島眞, 『中國近代外交の形成』(東京: 名古屋大學出版會, 2004), p.136.; 岡本隆司 川島眞, 『中國近代外交の胎動』(東京: 東京大學出版會, 2009), p.181.; 중 일전쟁 시기에 외교부의 제도와 직업 외교관에 대해서는 陳雁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陳雁, 앞의 책, p.343.
인정하지 않아서 국외에 상주하는 공사도 두지 않았다. 그러나 1901년 의화단 운동으 로 서구 열강 11개국과 신축조약을 체결하면서, 청조는 총리아문을 외무부로 개편해 행정부의 산하 기구로 6部 중에 첫 번째에 두면서 점차 그 중요성을 인정하였다. 외무 부는 총리아문의 위원제를 수장제인 총리사무대신(會辦大臣, 좌우시랑)으로 개정했고, 司廳을 부속 기구로 설치하였다. 그러나 총리아문과 외무부는 그 조직과 인원 면에서 아직 체계적으로 근대화, 전문화되지 못하였다.
이후 북양정부 시기 육징상 외교총장은 외교부의 근대화, 전문화, 제도화에 중점을 두고 개혁을 실행하였고, 프랑스의 제도를 참작하여 ‘외교부조직장정’을 규정하였다.
1912년 10월 8일 발표된 외교부의 조직은 총장 1인, 차장 1인, 參事 2-4인, 비서 4인, 司長 5인, 僉事 8인 이하(司마다 각각)로 구성되었고, 일상적인 업무를 주로 外政司, 通商司, 交際司, 庶政司의 4개 司에서 담당하도록 정하였다. 육징상은 외정사의 업무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해 國界, 자문, 조약, 禁令의 4科로 세분하여 부속 기구를 설립하 였다.9) 1920년대에 외교부는 조약사(1921년)와 정보국(1927년)을 증설하면서 조직을 더욱 확대·개편하였다. 이와 같이 북양정부 외교부는 淸末 총리아문과 외무부를 계승 하여 체계적으로 개혁되면서 이를 토대로 하여 남경정부의 외교부가 형성되는 근간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10)
그러면 만주사변 시기 남경정부의 외교부는 어떻게 조직되었는가? 남경정부 초기 외교부는 외교부장, 차장, 司, 비서처, 참사실로 구분되었고, 주로 司를 확대하면서 여 러 차례 개편되었다. 외교부는 1927년 7월 5일 외교부장 이외에 차장 2명, 비서처, 政 務司, 總務司의 2개 司를 새로 설립하였고, 11월에 참사청을 설치하여 참사를 2명에서 4명까지 증원하였다. 또한 정무사, 총무사를 제1사, 제2사, 제3사로 개편하여 제1사는 정무 사무를, 제2사는 총무 사무를, 제3사는 정보 사무를 담당시켰고, 司長 하에 과장 과 과원을 두었다.
이외에도 외교부는 1928년 2월 22일 각 司를 세계 각 지역에 따라서 총무처와 제1 사, 제2사, 제3사로 구분, 조정하였다. 第1司는 통상, 국적과 같은 국제적인 범위의 사 무를 담당하였고, 第2司는 아시아 각 국과 소련에 관한 업무를 처리했으며, 第3司는 서구 각국의 사무를 맡았다.11) 남경정부 시기 외교부는 청말 외무부와 북양정부 시기 외교부가 직무의 성질에 따라서 부속 기구를 구분하던 것에 비하여 점차 지역과 국가 를 기준으로 부서를 세분하였다. 또한 외교부는 1928년 7월 정보처를 정보사로 확대하 면서 정보 수집과 대외 선전을 담당시켰고, 제1사를 국제사로, 제2사를 亞洲司로, 제3 사를 歐美司로 개편하면서 총무처를 총무사로 확대하였다.
이와 같이 여러 차례 외교부 조직의 확대, 개편을 거쳐서, 남경정부는 1928년 12월 8 일 제1차 ‘외교부 조직법’을 발표하였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9) 劉達人 謝孟圜, 『中華民國外交行政史略』(臺北: 國史館, 2000), pp.53-54.
10) 國史館中華民國史外交志編纂委員會, 『中華民國史外交志(初稿)』(臺北: 國史館, 2002), p.225.
11) 陳體强, 陳體强, 『中國外交行政』(重慶: 商務印書館, 1943), p.55.
외교부 조직법(1928년 12월 8일 남경정부 공포)
제1조 외교부는 국제 교섭, 재외 교민, 거류 외국인, 중외 상업의 모든 사무를 관리한다.
제2조 외교부는 각 지방의 최고 행정장관이 본부의 주관 사무를 집행하는 것을 지시, 감독한다.
제3조 외교관은 주관 사무에 대하여 각 지방의 최고 행정장관의 명령 혹은 처분이 법령 에 위배되거나 혹은 권한을 유월했다고 인정되는 경우 행정원 원장에게 청구하여 국무회 의의 의결을 거친 후에 정지 혹은 폐지할 수 있다.
제4조 외교부는 총무사, 국제사, 亞洲司, 歐美司, 정보사의 각 司를 둔다.
제5조 외교부는 필요할 때에 각 위원회를 둘 수 있다.
제6조 외교부는 국무회의 및 입법원의 의결을 거쳐서 각 司 및 기타 기관을 증설할 수 있다.
제7조 총무사는 다음의 사항을 관리한다.
1) 문서나 우편물의 접수, 발송, 분류, 쓰기, 번역, 보존 등의 사항 2) 부령의 공포 사항
3) 官印의 보관 사항
4) 본부 및 소속 각 기관 직원의 임명, 면직, 징계 등에 관한 사항 5) 외교관, 영사관의 진급, 퇴직 및 선발 사항
6) 출판물, 書報, 통계 간행 사항 7) 대외 교류 사항
8) 본부 경비의 예산, 결산 및 회계 사항 9) 관할 각 기관의 경비 및 회계 사항 10) 본부 소속 물자의 보관 사항 11) 본부 서무 및 기타 각 司의 사항
제8조 국제사는 여러 국가와 관련된 다음의 사항을 관장한다.
1) 통상, 교섭 사항
2) 영사관 직무 및 관할 구역 사항 3) 무역 및 해외 경제 조사와 공포 사항 4) 재외 본국 교민 및 유학에 대한 보호 사항 5) 국적 문제 교섭 사항
6) 외국인의 국경 출입 사항 7) 국제공약 사항
8) 국제 공회, 박람회 및 기타 사항
제9조 亞洲司는 아시아 각 국가 및 소련에 관한 다음의 사항을 관장한다.
1) 정치 교섭 사항 2) 군사에 관한 외교 사항
3) 거류 외국인의 보호 및 규제 사항 4) 재정 차관 및 철로에 관한 외교 사항 5) 조례의 정립 및 해석 사항
제10조 歐美司는 구미 및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각 국가에 관한 제9조의 제1항에서 제5항까지의 사항을 관장한다.
제11조 정보사는 다음의 사항을 관장한다.
1) 국내외 정보의 수집 사항 2) 선전 및 외교에 관한 책략 사항 3) 중외 신문, 원고를 쓰고 번역하는 사항 4) 신문 기자의 초대, 회견에 관한 사항 5) 기타 정보에 관련된 사항
제12조 외교부 부장은 본부 사무의 감독, 소속 직원 및 각 기관을 종합, 관리한다.
제13조 외교부 정무 차장, 상무 차장은 부장의 업무 처리를 보조한다.
제14조 외교부는 4명에서 6명까지 비서를 둘 수 있고, 비서는 외교부의 회의, 외국 공사 와의 회견 및 그 기록과 지시 업무를 나누어 처리한다.
(그림 1-1) 남경국민정부의 조직
출처: 國史館中華民國史外交志編纂委員會, 『中華民國史外交志(初稿)』, 臺北: 國史館, 2002, p.1936.
* 1931년 12월 30일 공포한 ‘수정국민정부조직법’에 의거한 조직 표이다.
제15조 외교부는 2명에서 4명까지 參事를 둘 수 있고, 참사는 본부의 법률 명령을 심의, 입안한다.
제16조 외교부는 司長 5명을 두고, 사장은 각 司의 사무를 분장한다.
제17조 외교부는 科長, 科員 약간 명을 두고, 장관의 명령을 받아 각 科의 사무를 분장 한다.
제18조 외교부 부장은 特任職, 차장, 참사, 司長 및 비서 2명은 簡任職, 비서, 과장은 荐 任職, 과원은 委任職이다.
제19조 외교부는 업무상 필요할 때 고문 및 전문 인원을 초빙할 수 있다.
제20조 외교부는 업무 처리 규정을 부령으로 정한다.
제21조 본 법은 공포일로부터 시행한다.12)
위와 같이 제1차 외교부 조직법은 부서의 세분화, 직무의 분배, 소속 인원 등을 각 각 구분하여 비교적 체계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외교부의 일상적인 사무를 주로 담당 하는 司는 총무사, 국제사, 亞洲司, 구미사, 정보사의 다섯 개의 부서로 구분되었고, 아 주사가 아시아 각 국가와의 대외관계를, 구미사가 서구 열강과의 대외관계에 관련된 사항을 처리하였다. 외교부장은 외교부의 모든 사무에 대한 감독과 소속 기관 및 직원 의 종합적인 관리를 맡았고, 차장을 상무차장과 정무차장으로 2명을 두고 업무 처리를 보좌하도록 할 수 있었다.
이 외교부의 업무 운영에 대해 고유균은 회고록에서 남경정부의 외교 정책 결정 과 12) 中國第二歷史檔案館, 『中華民國史檔案資料滙編』 第五輯 第一編 外交(一)(江蘇古籍出版社,
1994), pp.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