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차원에서와 마찬가지로 COI 보고서 채택 이후 국가별로도 북한 인권침해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북한인권결의를 채택하는 국가의 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 이러한 흐름에 반대하는 목소리 또한 높아져 일종의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즉, 북한의 인권 상황을 강력하 게 규탄하는 국가들과 북한을 옹호하는 국가들의 의견 대립이 심화되었 다. 이러한 개별국가의 동향을 한반도 주변 4개국과 기타 국가들로 나누 어 살펴본다.
가. 미국
미국은 단연 북한인권 문제의 국제화를 선도해왔다. 미국은 2004년 처음으로 북한인권법(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of 2004)을 통과시켰으며, 2008년과 2012년, 2017년 연속으로 세 차례에 걸쳐 북 한인권법 재승인 법안을 통과시켜 2022년까지 효력이 연장되었다.
2003년부터 미국 의회 상하원에서 청문회를 통해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미국 내 여론을 제고해왔으며 다른 정부들과 북한의 인권침해 문제를 정 기적으로 논의하였다. 특히 미국은 유엔에서 북한인권결의 채택을 위해 노력하였다. 2005년 11월 유엔 총회에서 북한인권결의안을 공동제안 하였으며, 그 해 12월 총회 결의가 최초로 통과되었다.48)
48)U.S. Department of State, “Supporting Human Rights and Democracy: The U.S. Record of 2005~2006,” <http://allafrica.com/download/resource/main /main/idatcs/00010780:70c3735b4c74af78b9b5d915462a69ad.pdf> (검색일:
2017.07.01.).
미국은 유엔 인권이사회의 COI 설립을 적극 지지했으며 2014년 2월 COI 보고서 발표 직후 하원에서 공청회를 개최하여 정책적 보조를 맞추 었다. 2014년 9월에는 존 케리(John F. Kerry) 국무장관이 북한인권 관 련 고위급 회담을 주재하였으며, 12월에는 정보수권법안(H.R.4681)이 상하원을 통과하여 국가정보국(Office of the Director of National Intelligence, DNI)으로 하여금 북한 정치범 수용소 관련 실태를 조사 및 보고하도록 하였다.49) 또한, 미국은 COI 보고서 및 북한인권특별보 고관이 권고한 바대로 인권 침해 가해자를 특정하고 맞춤형 제재를 통해 압력을 강화한다.
북한인권에 대한 미국의 입장은 북한의 핵개발과 미사일 도발과도 관 계가 있다. 미국은 2016년 1월 북한이 4차 핵실험을 실시하고 2월에 장 거리 미사일 로켓을 발사하자 「대북제재법(H.R.757)」을 통과시켰으며50) 3월에는 재무부에서 핵 및 미사일 도발과 관련한 정부 인사와 기관들에 대한 제재를 가했다.51) 「대북제재법」 304(a)항은 국무부로 하여금 의회 에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였다. 보고서에는 북한의 심각한 인권침해와 검열의 책임자를 지적하고 침해 행위를 상술할 것, 최근 인권침해 상황을 담을 것을 요구하였다. 이에 따라 2016년 7월 6일 국무부는 “북한의 중
49)U.S. Congress, “Intelligence Authorization Act for Fiscal Year 2015 (H.R.4681),”
<https://congress.gov/bill/133th-congress/house-bill/4681> (검색일: 2017.07.
14.).
50)U.S. Congress, “North Korea Sanctions and Policy Enhancement Act of 2016 (H.R.757),” <http://www.congress.gov/114/plaws/publ122/PLAW-114publ1 22.pdf> (검색일: 2017.07.04.). 동 법의 제정 및 발표는 미국의 대북제재의 새로운 전 기라고 할 수 있다. 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의 기관에 대한 세컨더리 보이콧 재량권을 행정부에 부여하고 석탄, 철광석, 흑연 등 북한 광물의 거래 차단, 북한인권 침해 조사 범위 대상자 확대 등으로 차별화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신종호 외, 『대북제재 평가와 향후 정책 방향』 (서울: 통일연구원, 2016), pp. 45~46를 참조.
51)U.S. Department of Treasury, “The U.S. Sanctions North Korean Government Officials and Organizations Tied to the Missile and Nuclear Programs,” Press Center, 2017.05.02., <http://www.treasury.gov/pre ss-center/press-releases /Pages/jl0372.aspx> (검색일: 2017.06.24.).
대한 인권침해와 검열 보고서”를 발표하였는데,52) 김정은을 비롯해 국 방위원회, 국가안전보위부, 인민보안부, 선전선동부, 정찰총국 등에 소 속된 최고위층 엘리트 및 기관을 인권침해 및 검열 혐의로 제재리스트에 포함시켰다.53) 이를 바탕으로 재무부에서는 특별제재리스트(Specially Designational Nationals List, SDN List)를 만들었다.54)
2017년 1월에는 대북제재법에 따른 국무부의 두 번째 보고서가 발표 되었고55) 제2차 대북인권제재 명단에는 김정은의 동생인 김여정(선전선 동부) 등 7명과, 국가계획위원회 및 노동성의 두 기관이 포함되었다.56) 2017년 10월, 국무부는 세 번째 보고서를 발표하였다.57) 제3차 대북 인권제재 명단에는 조경철 보위국장을 비롯한 7명과 인민군 보위국, 대 외건설지도국, 철현건설 등의 세 기관이 포함되었다.58) 특히, 스티븐
52)U.S. Department of State, “Report on Human Rights Abuses or Censorship in North Korea,” 2016.07.06., <http://www.state.gov/j/drl/rls/259366.htm> (검 색일: 2017.06.24.).
53)제재리스트에 포함된 인물과 조직은 김정은, 리용무, 오극렬, 황병서, 최부일, 박용식 (이상 국방위원회), 조연준, 김경옥(이상 조직지도부), 강성남(국가안전보위부), 최장 봉, 리성철(이상 인민보안부), 김기남, 리재일(이상 선전선동부), 조일우, 오정억(이상 정찰총국), 국가보위부 교도국, 인민보안부 교정국이다.
54)U.S. Department of Treasury, “North Korea Designations,” 2016.07.06., <http:
//www.treasury.gov/resou rce-center/sanctions/OFAC-Enforcement/Pages /20160706.aspx> (검색일: 2017.06.25.).
55)U.S. Department of State, “Report on Human Rights Abuses or Censorship in North Korea,” 2017.01.11., <http://www.state.gov/j/drl/rls/266853.htm> (검 색일: 2017.06.25.).
56)새로 추가된 제재리스트에는 김여정, 김원홍, 최휘(이상 선전선동부), 민병춘, 조용원 (이상 조직지도부), 김일남(보위국), 강필훈(인민내무군) 등의 인물과 국가계획위원회 와 노동성의 두 기관이 포함되었다. U.S. Department of Treasury, “North Korea Designations,” 2017.01.11., <http://www.treasury.gov/resource-c enter/san ctions/OFAC-Enforcement/Pages/20170111.aspx> (검색일: 2017.06.25.).
57)U.S. Department of State, “Report on Human Rights Abuses or Censorship in North Korea,” 2017.10.26., <http://www.state.gov/j/drl/rls/275095.htm> (검 색일: 2017.06.25.).
58)세 번째 제재리스트에는 조경철, 신영일(이상 보위국), 정영수(노동성), 리태철(인민보 안부), 김강진(대외건설지도국), 구승섭(선양주재 총영사), 김민철(주베트남대사관 서
므누신 재무장관은 이번 제재대상이 강제노동으로 벌어들인 외화로 북 한 정권 재정을 지탱하고 있는 북한의 금융 조력자(North Korean financial facilitators)를 겨냥했다고 설명하였다.59) 대외건설지도국 과 철현건설의 두 기관이 포함된 이유이다. 또한, 외교관인 구승섭 선양 주재 총영사와 김민철 주베트남 서기관이 포함된 것은 망명자를 추적하 고 강제송환에 관여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제재 대상에 해외 북한노동자 와 탈북자 강제송환을 둘러싼 인권 침해 가해자들이 추가되었다. 이로써 인권침해의 책임으로 인한 미국의 제재대상에 개인은 김정은과 김여정 을 포함한 29명, 기관은 13곳이 되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출범 초 현실주 의 국제정치를 바탕으로 하여 ‘가치’보다는 ‘힘과 국익’을 중시하고 있으 며, 정책적으로 북한인권특사를 임명하지 않을 것을 결정하여 북한인권 문제에 소극적인 것이 아닌가 하는 평가를 받았다.60)
그러나 북한의 연이은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로 인한 안보리의 제재와 함께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인권 상황에 대하여 강경한 입장을 내놓기 시 작하였다. 예컨대, 2017년 9월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한 응징으로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안을 준비하면서 미국은 김정은 위원장과 김여정 선전 선동부 부부장, 황병서 총정치국장, 김기남 선전선동부 부장 등을 제재 대상에 포함하려 하였다. 중국과 러시아의 강한 반대로 미국의 의도는 관철되지 않았지만,61)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9월 19일 유엔 총회 연
기관) 등의 인물과 인민군 보위국, 대외건설지도국, 철현건설의 세 기관이 포함되었다.
U.S. Department of Treasury, “North Korea Designations,” 2017.01.11.,
<http://www.treasury.gov/resource-center/sanctions/OFAC-Enforcement/
Pages/20171026.aspx> (검색일: 2017.10.30.).
59)U.S. Department of the Treasury, “Treasury Sanctions Additional North Kore an Officials and Entities in Response to the Regime’s Serious Human Rights Abuses and Censorship Activities,” 2017.10.26., <https://www.treasury.gov/
press-center/press-releases/Pages/sm0191.aspx> (검색일: 2017.10.30.).
60)미국 국무부는 민간안보‧민주주의‧인권 담당 차관(Under Secretary of State for Civilian Security, Democracy and Human Rights)이 북한인권특사를 겸임하도록 했다.
61)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 2375호는 초안보다 훨씬 약화되어 김정은 위원장과 김여정
설에서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 사망 사건과 김정남의 독살 사건 등을 구체적으로 거론하며 북한인권 문제를 강하게 비판하였다.62)
또한, 미국의 대북정책이 인권문제와 맞물려 강경한 입장이 나타난 것 은 북한여행 금지조치이다.63) 미국은 2017년 6월 웜비어 사망 사건으로 9월부터 북한 여행봉쇄령을 내렸다. 미국 여권을 북한여행에 사용할 경 우 무효처리되고 중범으로 간주되어 형사처벌이 진행된다. 단, 국익과 관련되거나 취재, 인도적 사유 등 특수목적으로 북한을 방문할 때에는 사전에 허가 받은 특수여권을 사용해야 한다.
미국은 북한인권법을 채택한 과거 부시 행정부 시절부터 북한인권 문 제에 큰 관심을 기울였으며 대북인권정책을 강화해왔다. 트럼프 행정부 는 초기 북한인권 정책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해 보였으나 언제든지 북한 인권 문제를 제기하여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추진력을 지니고 있다. 향 후 미국은 필요하다면 핵 및 미사일 문제와 함께 인권문제를 북한문제로 규정하여 북한을 상당히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부부장은 포함되지 않고 대신 박영식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노동당 중앙군사위 원회·조직지도부·선전선동부 등 3개 기관에 한정되었다. 연합뉴스, 2017.09.12.
62)트럼프의 총회 연설 중 북한인권 관련 언급을 원문 그대로 발췌하였다. “No one has shown more contempt for other nations and for the well-being of their own people than the depraved regime in North Korea. It is responsible for the starvation deaths of millions of North Koreans, and for the imprisonment, torture, killing and oppression of countless more. We were all witness to the regime’s deadly abuse when an innocent American college student, Otto Warmbier, was returned to America only to die a few days later. We saw it in the assassination of the dictator’s brother using banned nerve agents in an international airport. We know it kidnapped a sweet 13-year-old Japanese girl from a beach in her own country to enslave her as a language tutor for North Korea’s spies.” “Read President Trump’s Speech Threatening to
‘Totally Destroy’ North Korea,” Times, 2017.09.19.
63)Secretary of State, Department of State, “United States Passports Invalid for Travel to, in, or through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2017.07.
21., <http://www.federalregister.gov/documents/2017/08/02/2017-16287/un ited-states-passports-invalid-for-travel-to-in-or-through-the-democratic- peoples-republic-of-korea> (검색일: 2017.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