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 독일 통일과 EU
6. 결론
한반도 통일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등장한 분단국가 체제의 종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후 체제의 종막과 새로운 국제 평화질서의 상징이 될 것이다. 한반도의 통일로 등장할 새로운 동북아시아 국제질서는 지역적 차원을 넘어 아시아, 세계적 차원에서의 평화와 경 제 번영에 기여할 것이다. 특히 동북아 평화공동체의 등장이 가능해지고, 아시아·태평양지 역의 안보 및 경제 발전의 중추적 역할의 수행이 기대된다. 또한 통일한국은 세계적 차원 에서 평화와 번영의 촉진자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한반도 통일은 한민족의 입장에서는 분단으로 완성하지 못한 ‘민족통합’을 실현하는 상 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한국으로서는 선진일류국가 실현이라는 21세기의 국가비 전을 달성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다. 오랜 분단 기간 소모적인 경쟁으로 낭비되었던 남북한의 국가능력을 결집함으로써 지구화 시대에 부응하는 진취적이고 창의적인 국가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다.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한반도에서 민주적 평화를 달 성한 하나의 통합 국가를 등장시킴으로써 동북아지역 및 세계적 차원의 평화와 공동 번영 에 기여하는 길을 열게 될 것이다.
통일외교는 바로 이러한 미래의 인류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통일한국을 등장시키려는 노 력이다.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에 대한 주의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우리의 통일정책을 추 진하는 과정에서 통일외교의 중요성이 제대로 인식되지 못했다. 한반도 문제가 더욱 국제
화되고 지구화·정보화의 시대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뒤늦게나마 통일외교의 필요성을 각성 하게 되었다. 통일외교는 통일을 달성하기 위해 도움을 주려는 것이 주된 목적이지만, 보 다 근원적으로는 우리의 국가발전 전략을 주변국가와 국제사회에 알리고 이해시킴으로써 공생 발전의 길을 찾으려는 노력이다.
배정호 | 통일연구원 국제관계연구센터 소장
배정호 박사는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동경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일본의 국내정치와 외교안보정책, 한국의 대북 및 통일정책, 동북아 국제 정치 등이다. 국방부 정책자문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동경대학교 객원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뺷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 동북아전략환경의 변화와 한국의 동북아4국 통일외교전략뺸(공저, 2010), 뺷NPT체제와 핵안보뺸(공저, 2010), Nuclear Security 2012: Challenges of Proliferation and Implication for the Korean Peninsula(공저, 2010), The U.S.- ROK Alliance in the 21st Century(공 저, 2009), 뺷일본의 국가전략과 안보전략뺸(나남, 2006) 등 다수 있다.
염돈재 | 성균관대학교 국가전략대학원장
염돈재 박사는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노태우 정부에서 대통령 정책비서관으로 북방정책의 입안과 공산권과의 수교교섭에 핵심 실무역 할을 담당했고, 1990년 6월 비밀교섭을 통해 한·소 정상회담을 성사시켰다. 독일통일 직전에 주독일대 사관 공사로 부임하여 독일통일 과정을 현장에서 지켜보았고 노무현 정부에서 국정원 1차장(해외담당) 을 지냈다. 주로 국가정보, 국가안보 및 독일통일에 관한 연구 및 강의를 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뺷독일통 일의 과정과 교훈뺸(2010), 최근 논문으로는 “한반도 안보환경 전망과 국가정보의 과제”(2011) 등이 있다.
Ralph Hassig | 북한문제 전문가, 심리학 박사
Ralph Hassig 박사는 북한문제를 전공하는 독립연구자이며 메릴랜드 대학 심리학과에서 겸임 교수로 서 사회심리학, 조직행동론, 정치심리학 등을 강의하고 있다. Dr. Hassig은 Albion 대학에서 심리학 학 사를, UCLA에서 사회심리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각각 취득하였고, 샌프란시스코 대학에서 마케팅으로 MBA를 취득하였다. 그는 Albion 대학, 조지 메이슨 대학, 메릴랜드 대학과 국외 다수 기관에서 심리학을 가르쳐왔다. 그는 또한 남가주 대학과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에서 마케팅을, 샌프란시스코 대학에서 영어 를 가르치기도 했다. 저서로는 North Korea through the Looking Glass(2000)와 The Hidden People of North Korea(2009) 등의 공동저작이 있으며, 북한관련 최근 논문으로는 “Kim Jong-un Inherits the Bomb”(2011) 및 “North Korea in 2009: The Song Remains the Same”(2010) 등이 있다.
저자이력
Kongdan Oh | 미국 국방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오공단 박사는 미국 국방연구원의 선임연구위원이며 브루킹스(Brookings) 연구소의 객원연구위원이다.
오 박사는 랜드(Rand) 연구소의 전임 정치학 분과 멤버이자 여러 대학에서 관련 교과목을 강의해왔다.
또한 대외관계평의회(Council on Foreign Relations), 미 의회 산하 평화연구소(USIP) 한국 담당 작업 그룹, 아태지역 안보협력평의회의 미국위원회에서 활동중이다. 오 박사는 워싱턴의 한국클럽의 공동창설 자이자 공동대표이기도 하다. 서강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주립대(UC Berkeley)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오 박사는 North Korea through the Looking Glass(2000)와 The Hidden People of North Korea(2009) 등의 공동저작 이 있으며, 최근 논문으로는 “The United States between Japan and Korea,”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June 2010 및 Military Confront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DA 2011) 등이 있다.
Takashi Inoguchi | 일본 니가타현립대학 총장, 동경대학 명예교수
이노구치 박사는 동경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MIT)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이후 유엔대학 부학장, 아시아태평양대학교류기구(UMAP)사무 차장, 일본국제정치학회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정치이론, 비교정치, 동아시아정치, 국 제관계론, 국제안전보장, 국제정치경제이다. 이노구치 박사는 American Democracy Promotion(공저, 2000), Reinventing the Alliance(공저, 2003), Political Cultures in Asia and Europe(공저, 2006), Federalism in Asia(공저, 2007) Globalization, Public Opinion, and the State(공저, 2009) 등, 관련 분 야의 약 85편이 넘는 저서를 출판하였고 다수의 영어와 일본어 논문을 출판하였다. 이노구치 박사는 일 본 학술회의 위원이면서 The Japanese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및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의 편집인이다.
You Ji |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대학교 사회과학 및 국제학대학 부교수
여우지 박사는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대학교 사회과학 및 국제학대학(The School of Social Sciences and International Studies)의 부교수이다. 북경대학교를 졸업하고, 호주에서 유학하기 전, 다년간 중국 정부기관에서 근무했다. Armed Forces of China를 비롯한 세 권의 저서를 출간한 바 있으며, 그 외 다 수의 논문을 집필했다. 최근 논문으로는 “Hedging Opportunities and Crises against Pyongyang’s Hereditary Succession: A Chinese Perspective”(2011), “The Evolution of Beijing’s Military Strategy toward Taiwan”(2011), “China’s Response to the Deadly Triangle: Arms Race, Territorial Disputes and Energy Security”(2010), “Friends in Needs or Comrades in Arms: Sino-Russo Military Cooperation”(2010) 등이 있다. 여우지 박사는 China Journal; Provincial China; East Asia Policy;
Asian and Middle East Studies;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의 편집인으로 활동 중이다.
Alexander Panov | 러시아 특명전권대사
파노프 박사는 모스크바 국립국제관계대학(MGIMO)을 졸업하였다. 관련분야 약 50여 권 이상의 저서를 집필하였으며 “The Diplomatic Service of Japan”, “Post-War Reforms in Japan, 1945~1952”, “From Mistrust to Trust”(in Japanese), “It is Clear after the Storm”(in Japanese), “Russia and Japan: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Relations in the late 20th-the early 21st Century” 등 다수의 관련 저술을 출판하였다.
박영호 | 통일연구원 국제관계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
박영호 박사는 미국 신시내티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이후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 장(2007), 21세기 정치학회 부회장(2009)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대북정책과 통일정책, 미국외교‧안보정책, 북한 인권 및 인권과 국제정치, 북한정치‧외교‧안보정책 등이다. 주요 저술로는 Unification Clock: Predicting Korean Unification(2010), “The Helsinki Process in Comparative Perspectiv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Peninsula,”(2009), “북한의 급변사태와 개발지원”(2009), 뺷 한반도 통일외교 인프라 구축 연구뺸(공저, 2008), 뺷한·미 안보관계의 변화와 북·미관계의 전망뺸(2006) 등이 있다.
최근 발간자료 안내
연구총서
2009-01 북한 비핵화를 위한 한・미 전략적 협력에 관한 연구 전성훈 7,500원
2009-02 세계경제위기와 미・중관계 변화 연구: 북한 핵문제에 미치는 영향 황병덕, 신상진 9,000원
2009-03 북한의 국력 평가 연구 전현준 외 10,000원
2009-04 북한경제의 시장화 실태에 관한 연구 임강택 9,000원
2009-05 21세기 한국의 동아시아국가들과 전략적 협력 강화방안 여인곤 외 10,000원 2009-06 북한체제 전환을 위한 전략적 과제와 한국의 동북아 4국 협력전략 배정호 외 10,000원
2009-07 북한 ‘변화’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박형중 외 10,000원
2009-08 북한 개방 유도 전략: 목표, 기본방향 및 단계별 과제 최진욱 외 10,000원 2009-09 북한주민 인권의식 고취를 위한 전략적 인권외교의 방향 홍우택 외 6,500원
2009-10 통일대비 북한토지제도 개편방향 연구 허문영 외 9,000원
2009-11 북한인권 침해구조 및 개선전략 이금순, 김수암 7,500원
2009-12 통일대계 탐색연구 조 민 외 8,000원
2009-13 Modernization and Opening-Up of North Korean Economy:
Roles and Efforts of Neighboring Countries 김규륜 외 7,500원 2009-15 Peace-Keeping on the Korean Peninsula: The Role of Commissions Gabriel Jonsson 20,000원 2010-01 북한 핵 보유 고수 전략의 도전과 대응 박형중 외 9,500원 2010-02 탈사회주의 경제이행 국가의 권력구조 유형과 개혁 경로: 포스트-김정일 체제에 대한 시사점
최진욱, 김진하 8,000원 2010-03 북한 개방화와 인권개선 방안연구 김국신, 김연수, 서보혁 7,000원
2010-04 북한의 체제위기와 사회갈등 조한범, 양문수, 조대엽 7,500원
2010-05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 동북아전략 환경의 변화와 한국의 동북아 4국 통일외교전략 배정호 외 12,500원
2010-06 북한주민 인권의식 실태연구 이금순, 전현준 8,500원
2010-07 라진・선봉지역 물류분야 남북 협력방안 연구 김영윤, 추원서, 임을출 8,000원
2010-08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새로운 접근과 추진방안: 3대 공동체 통일구상 중심 박종철 외 11,500원
2010-09 통일한국의 정치체제 허문영 6,000원
2010-10 북한 핵에 대한 억지방향 연구 홍우택 5,000원
2010-11 북한의 포스트 김정일체제 전망 정영태 외 11,000원
2010-12 북한주민의 의식과 정체성: 자아의 독립, 국가의 그늘, 욕망의 부상 조정아 외 17,000원
2010-13 북・중 경제관계와 남북경협의 대북 파급효과 비교분석 최수영 7,500원
2010-14 East Asian Community Building: Issue Areas and Perspectives of Regional Countries 김규륜 외 10,000원
2010-15(Ⅰ) 신아시아 외교와 새로운 평화의 모색(Ⅰ) 김규륜 외 13,000원
2010-15(Ⅱ) 신아시아 외교와 새로운 평화의 모색(Ⅱ) 김규륜 외 13,000원
2011-01 제2차 핵안보정상회의와 북한 핵문제 전성훈 14,500원
2011-02 북한군의 기강 해이에 관한 연구 이교덕 외 11,000원
2011-03 통일 진입과정에서의 북한 재건 방향 최진욱, 김진하 5,500원
2011-04 북한의 부문별 조직실태 및 조직문화 변화 종합연구 정영태 16,000원
2011-05 북한형사재판제도 연구: 특징과 실태 이규창, 정광진 8,000원
2011-06 북한주민의 삶의 질: 실태와 인식 김수암 외 12,000원
2011-07 한반도 평화와 북한 비핵화: 협력적 위협감축(CTR)의 적용방안 박종철 외 10,000원
2011-08 대북한 핵협상 전략구상방향 홍우택 외 6,000원
2011-09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대응 허문영, 마민호 12,000원
2011-10 북한 핵의 국제정치와 한국의 대북 핵전략 배정호 외 11,000원
2011-11 평화통일을 위한 통일외교 전략 박영호 외 13,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