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 독일 통일과 EU
4. 한국 통일에서 미국의 역할
를 제거하기 위하여 통일을 열망함에 반하여, 통일 그 자체는 거의 관심을 받지 못해왔다 고 말하는 편이 더 정확하다.25) 한국은 지구 반대쪽에 있고 한국의 국내 문제는 대부분의 미국인들에게 거의 관심거리가 아니다.
위에서 언급된 안보적 이익들은 또한, 일단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무기고가 안전 하게 확보되면, 한국에서 미국의 우선 관심사는 한·미 안보동맹 유지와 신속대응 및 안정 화 역할을 할 수 있는 일부 군대를 한국에 계속 주둔시키는 것일 것이다. 북한의 위협이 없어지면, 미군은 한·미 상호방위조약에 따라 유지될 수 있지만 유엔 사령부는 목표가 사 라질 것이다. 마찬가지로, 일본인들은 북한의 위협이 없다면 10만 미군이 일본에 주둔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할 것이다. 한국이나 일본에 미군이 주둔하는 가장 명백한 이유는 중국 의 군사력을 억제하는 것이며, 이 논의는 일본인들에게는 달리 한국인들에게는 그다지 호 소력이 없을 것이다.
어, 국제금융기구로부터) 얻게 해주는 것과 나아가 원조의 직접제공일 것이다. 다른 한편 으로는, 통일한국이 군사적 위협에 대해 미국이 확장억지를 계속해서 제공하기를 원하는지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많은 부분 한·중 관계를 핵심으로 하는 향후 지역 상황에 달려 있 다. 미국과의 동맹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중국이 통일한국에 가할 수 있는 어떠한 정치적 혹은 군사적 압력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겠지만, 이것은 또한 한국이 중립적인 세력이 되려는 희망을 좌절시킬 수 있다.
북한 붕괴 시나리오에서, 미국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를 초기에 확보하고 남한의 평화 유지군에 대해 지원할 수 있다. 미국의 원조도 또한 주어질 수 있으며, 미국은 중국이 한 반도의 북쪽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으려 국경을 굳게 지키거나 한반도에서 경제적 이해관 계를 보호하기 위하여 영향력을 행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붕괴 상황이 안정된 후에, 미국 은 계획에 의한 통일 시나리오에서와 같은 역할을 맡을 수 있을 것이다.
전쟁 혹은 충돌 시나리오에서, 미국은 북한군과 싸우고 북한을 점령하는 데 주요한 역 할을 할 것이며, 이후에는 붕괴 시나리오와 계획에 의한 통일 시나리오에서의 역할을 맡을 것이다.
장기적으로, 동북아시아에서 균형을 잡고 안정화시키는 정치적 역할을 하는 것, 특히 중 국의 힘을 억제하는 것은 미국, 일본 그리고 아마도 한국의 관심사일 것이다. 미국은 일본 인들이 새로운 동북아시아의 세력판도에서 두려워 할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확신시 켜 주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미국은 또한 미국의 동아시아 무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무역 항로를 계속 열어두고 싶어할 것이다. 요약해서, 미국은 통일한국이 또 다른 일본이 되기 를 원한다.
이러한 것들이 미국이 해야 할 부담스러운 역할들이지만, 미리 준비한다면 덜 어려울 것이다. 최근에야 남한 정부는 발생 가능한 통일대안들의 범위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 우기 시작했다. 그러나 미국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어떻게 신속하 게 개입하느냐를 고려하는 이상의 통일 준비를 했다는 보이지 않는다.27)
위에 언급한 CSIS 보고서는 통일한국에 대한 미국정책의 정책추천사항이 포함되어 있 다. 이 글의 관심과 부합하는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27) Edward A. Olson은 2005년 논문에서 이와 같은 주장을 한 바가 있다. 이에 관해서는, “U.S. Planning towards Korean Unification: A New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Vol. 14, No. 1 (2005), pp. 97~112 참조.
• 한·미상호방위조약의 가치와 범위에 대해 한국과 논의하고 그 조건을 조정할 계획을 세워 안정화시키고 평화를 유지하는 미군이 통일한국에 남을 수 있게 할 것.
• 한국의 안보위협에 대해 미국이 확장억지를 계속하겠다는 안보공약을 제공할 것. 그 리하여 통일한국이 핵무기를 포함한 지역무기경쟁에 참가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게 할 것.
• 통일로 가는 어려운 전환기 속에서도 실제적 지원의 역할을 담당할 것.
• 통일국가의 북쪽 절반에 재건 노력을 위한 물질적 지원을 제공하는데 전력을 다할 것.
• 북한 정부에 의해 현재 보유되고 있거나 숨겨진 대량살상무기를 초기에 확보할 수 있 도록 준비할 것.
• 통일한국이 새로운 지역 질서에서 평화롭게 자리 잡을 수 있는 길을 열어 주도록 지 역에서 다자간 대화를 장려할 것.
• 현재, 그리고 미래에 두 나라 사이의 원만한 실무 관계를 위해 공공 이해와 지원을 한국과 미국에서 장려할 것.
• 통일 과정에서 의심할 여지없이 적어도 경제적 역할을 할 일본인과 한국인 사이에 화 해를 도모할 것.
이 글의 서두에서 했던 주의 사항들은 다시 반복할 만한 가치가 있다. 이러한 추천들은 불가피한 한국 통일을 준비하는데 신중하고 심지어 필요한 조처들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사람들이나 정부들이 마감시간이 없고 다루기 힘든 작업에 시간과 노력을 들이는 것은 어 렵다. 이것은 통일에만 나타나는 독특한 문제가 아니다. 훨씬 더 큰 규모로, 글로벌 환경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것을 주장하는 사람들도 부딪히는 도전이다. 그러나 미국인들 로서는, 세상사에 그들의 참여가 너무 광범위하여 그들의 관심이 많은 국제 문제들 사이에 서 끊임없이 확산되고 있는데, 어느 날 한반도에서의 상황이 미국 정부의 최우선 순위 중 하나가 되고, 바로 그 날 미국이 한국 통일에 관여할 때의 성공여부가 얼마나 많은 계획과 준비가 이미 투입되어 왔는지에 좌우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참고문헌
1. 단행본Park, Young-Ho and Hyeong Ki Kim. 2010 Unification Clock: When Will We See a Unified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2010.
2. 논문
Lewis, Peter M.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 Anti-Unification Policy or Just Too Many Uncertainties to Account For?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Vol. 16, No. 2, 2007.
Olson, Edward A. “US Planning towards Korean Unification: A New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Vol. 14, No. 1, 2005.
3. 기타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A Blueprint for U.S. Policy toward a Unified Korea. CSIS Working Group Report. August 2002.
Cossa, Ralph A. et al. The United States and the Asia-Pacific Region: Security Strategy for the Obama Administration. Sponsored by IDA, Pacific Forum CSIS, INSS, CNA, and the Center for a New American Security. February 2009.
The White House. “Joint Vision for the Allianc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Republic of Korea.” June 16, 2009. <http://www.whitehouse.gov/the_ press_office/Joint-vision-for-the-alliance-of-the-United-States-of-America- and-the-Republic-of-Korea Joint Vision.doc>.
The White House. National Security Strategy. May 2010.
U.S. Department of Defense. The United States Security Strategy for the East Asia-Pacific Region. November 1998.
뺷로동신문뺸 (인터넷 판). <http://dprkmedia.com>. 뺷KBS뺸. <http://www.kbs.co.kr/tv>.
뺷조선중앙통신뺸 (영문판). <http://www.kcna.co.jp>. 뺷The Daily NK뺸 (영문판). <http://www.dailynk.com>.
뺷연합뉴스뺸 (영문판). <http://english.yonhapnews.co.kr>. Interfax. <http://www.interfax.com>.
New York Daily News. <http://articles.nydailynews.com>.